학계 진출에 있어서 서울대 가 갖는 의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726611
원하는 분야의 학문 연구, 교수 임용, 학계 진출을 꿈꾸고 있는 사람에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정보] .커뮤. 난리난. 네이버페이 .이벤트 .요약. 0
bxtre.kr/
-
서울대 수리과학,수교과나 정치외교학과,아시아언어문명학부 가고싶어 뒤질거 같습니다....
-
뿔이 자라난 어른이 될테니 억지로 라도 웃어야지 하는데 그럼에도 좀 울적하더라고~
-
뭐가 더낫나용? 세젤쉬는 미친기분 시작편까지 같이하고 파데는 킥오프 같이하는거 맞나요?
-
행복이란 무엇일까 11
그것은 어디에도 없으며 동시에 어디에나 있구나우린 앞만 보고 살도록 배웠으니까주위에...
-
[정보] .커뮤. 난리난. 네이버페이 .이벤트 .요약. 0
bxtre.kr/
-
은퇴햇음 3
이젠 수능으로 완전히 체인지
-
바로 넘 어려운거 하면 힘들꺼 같은데
-
어려운거 던지게 8만덕검
-
매일 새벽 0
오늘 학교를 갈지말지 고민이 되는구나 너무 피곤해 점심시간에 갈까
-
금딸 1분차 2
구라임
-
군수 예정이라 인강 안듣고 독학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
학교에서 신청서에 사진 븥이는 게 없는데
-
금* 1일차 5
시작
-
남자분이 여자분한테 공개고백지르심 이것이 연평?
-
성대 인문논술 0
성대 논술은 특히 정형화 되어있다고 하잖아요. 그 중 성대 논술 1번 통합적...
-
논술 1
안해
-
메인 개씹창났네 4
애미
-
잘말 7
님들의 결정에 따름
-
아오
-
자는거랑 비슷한 효과가 있나요? 어디서 본 적 있는데
-
26요청 0
https://orbi.kr/00072669642/%EC%88%98%ED%95%99-...
-
.
-
끝까지간다 2
난 이제 몰라
-
수학 22번 공략을 위한 『TARGET 22』 배포! 9
안녕하세요, 모노모노입니다. 교육과정 개정 이후 평가원은 최고난도 문제의 출제를...
-
버거가 많이 땡기네
-
아니 왜 안되는건데
-
[정보] .커뮤. 난리난. 네이버페이 .이벤트 .요약. 0
bxtre.kr/
-
언제나 어디서나 흘리는것
-
아에이오우
-
야!!!!!!! 16
-
오르비 굿나잇 3
-
[정보] .커뮤. 난리난. 네이버페이 .이벤트 .요약. 0
bxtre.kr/
-
아 개졸려 ㅅㅂ 0
잔다
-
제가 5모에 몇 등급을 받을 수 있을까요?(5000덕) 6
맞추신 분껜 5모 당일 5000덕을 드리겠습니다 22322이런식으로 써주시면 됩니다
-
m 3
배고프네
-
프사복귀완 0
재밌었어요
-
졸업 고등학교를 쓰라네요 검정고시는 돈 받지 말라는 건가... 얼른 자야 하는데...
-
오랜밤오랜만 6
이에요 잘자용
-
배고파졋어 0
자러갈래
-
만우절 재밌었네 0
음
-
어째서저런모고를
-
애매한 시간 국어 수학 애매하게 할 바에야 그냥 경제로 다 때려야겠다
-
07현역인데 방학때 개 열심히 하다가 3모때 국어 높3뜨고 사기 꺾여서 다시...
-
오늘의 교훈 0
공간도형 문제를 공벡으로 풀려하지말자..
-
사정상 재수를 못 하게 되어서 양도해요 쪽지로 생각하시는 가격도 제시해주세요!...
-
아 졸려 2
아 너무 졸려 이제 진짜 자야겠다 잘자요
-
자x지 8
자야지
-
[정보] .커뮤. 난리난. 네이버페이 .이벤트 .요약. 0
bxtre.kr/
-
주무십셔 1
ㅂㅂ
서연고서성한 홈페이지가서 교수진 보면..ㅋㅋ
결과론적인 의미 말고는 또 어떤 것이 있을까요?
제가 학벌의 신호효과(signal effect)에 대해 글을 쓴 적이 있는데, 한 번 읽어 보세요: http://lacrimatory.blog.me/10122479776
교수 임용 심사에 영향을 주는 사람들이건, 유명한 저널의 논문 편집자이건, 똑같은 실력을 가지고 있는 임용 후보자고, 똑같은 내용의 논문이라 해도, 그 사람의 배경이나 경력에 영향을 받게 되어 있어요. 출신 학부가 나쁘면서도 출신 학부가 더 좋은 사람보다 더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학벌이 아닌 다른 경력으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권위를 부여받아야 해요. 이를테면 Cell, Science, NEJM 같은 누가 들어도 알만한 유명한 저널에 논문을 여러 번 실은 경력이라든지 말이죠. 그 경우에도 똑같은 경력을 가진 학벌 좋은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대신 교수직이나, 학계의 권위직을 꿰찰 것이고요.
사실은 이게 학문 연구, 교수 임용, 학계 진출에 있어서 서울대(혹은 그보다 더 평판이 좋은 몇몇 해외 학부)에 진학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 가장 주된 이유고요,
그 외에도 더 좋은 대학일수록, 협업을 할 사람이나 네트워크를 찾기가 쉽고, 더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다는 점도 장점이에요. 만약 후배님이 고등학생 신분으로, 논문을 쓰기 위해 수능 공부 말고, 관심이 있는 주제에 대해 실험을 해보고 싶다면, 공부 말고 다른 것에 관심이 있는 애들 모여있는 실업계 고등학교와, 영재고등학교 중에서 어디에서 선생님들께 자문을 구하고, 같이 연구할 사람을 찾기 쉬울까요? 그리고 그렇게 해서 논문을 냈을 때 누구랑 같이 연구를 했을 때 더 자신있게 그걸 경력으로 내세울 수 있을까요? 그것과 마찬가지 논리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