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하게.. [329466] · MS 2017 · 쪽지

2012-02-01 03:03:30
조회수 1,222

독서실 독학중인데 어느순간 멘붕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698384

고3인데 독서실 혼자다니고 있습니다.


근데 처음에 1시간정도는 집중잘되어서 하는데 어느순간 잠을 자게되네요..

조는순간에는 밖에 나가야하는데 독서실 분위기가 어둡고 하다보니 그냥 졸게되네요;

잠은 짝수로 자는게좋다고해서 딱6시간 맞춰서 자고있는데 잠을 더자야할까요?

아니면 체력이 부족한것일까요? 운동한다고 해도 당장 체력이 느는것도 아니고.. 어째야할지 모르겠네요..

p.s.)그리고 공부하다가 가끔식 휴식도 하라고 하시던데 혼자 독서실 다녀서 독서실에서 휴식할 수가없는데,
집에 가면 놀게 되고.. 10분휴식이런것 없이 밥먹을때만 휴식 해도 괜찮겠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완벽하게.. · 329466 · 12/02/01 03:04 · MS 2017

    독서실 이용해서 공부해보신분들~ 조언좀 부탁드려요.. ㅠㅠ

  • 꾸몬 · 379022 · 12/02/01 03:17 · MS 2011

    킁킁 과목을 자쥬 바꿔보세여.. 저같은 경우는 집중력이 딸려서 한과목 오래하면 졸려서 자쥬바꿨어여..

  • 완벽하게.. · 329466 · 12/02/01 03:40 · MS 2017

    님도 독서실에서 공부하시나요?? 매일매일 일요일도 빠짐없이 독서실에 가서 밥먹을때,운동 빼고 공부만 할 생각인데,
    휴식을 다른과목으로 바꿔서 공부하는것도 괜찮은 방법이군요..
    독서실에 가면 다른과목 바꿔가면서 공부하시면 밥먹을때만 빼고 올집중 가능하신가요??

  • 꾸몬 · 379022 · 12/02/01 04:27 · MS 2011

    아니영. 고3때 했었어영. 휴식시간엔 그냥 단어외우는게 나름 휴식시간이었어영..

  • 건강인 · 70183 · 12/02/01 04:47 · MS 2004

    6시간 수면이 몸에 안맞을 수도 있어요. 몸이 7시간~8시간 내지의 수면을 원하는데 6시간만 잘 경우 부족한 수면시간을 공부중에 얻는 것일수도 있어요. 그점 참고하시구요
    그리고, 독서실에서 수면시간이 1시간 이내라면,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약간의 선잠자고 공부에 집중이 잘 된다면 훨씬 더 효율적이니까요.
    저도 제대하고 복학해서 매일 공부중인데 저는 이런 습관이 있어요. 뭐냐면, 도서관에 앉아 책을 피고, 30분이내로 잠들어요.. 습관이죠.. 그러고 한 20~30분정도 자고 깨면
    아주 맑은 정신으로 공부에 임할 수 있더라구요. 저랑 비슷한 케이스면 걱정할 필요 없으실 것 같아요.
    많이는 아니지만 님보다는 더 오래 공부해본 경험으로는 '몇시간 자니', '낮잠은 자면 안되니' 이런 것과 같이 "규정"하는 것 보다 하루동안 얼마나 많은 양을 효율적으로 능률적으로 공부하였는가가
    더 중요한 것 같거든요.

    사람은 "규정"이 많아 질수록 정신적으로 피곤해져요.

  • 건강인 · 70183 · 12/02/01 04:57 · MS 2004

    그래도 최소한의 규정(규칙)은 정해놔야겠죠. 그래야 시스템이 원활히 돌아갈꺼니까요.

    그리고 휴식시간은 필요합니다. 공부과목을 바꿀때, 혹은 공부하다 내용이 어려워서 멘붕이 될때, 어느 정도 공부를 하고 집중력이 떨어져 잡생각이 들때,
    보통 이럴때 잠시동안의 휴식을 가지시면 좋을 것 같은데요. 휴식이라는 건 제가 생각하기엔 그저 멍 때리는 거나 공부가 아닌 다른 생각을 하는 것이라 봐요.
    기분 좋은 잡생각 그런거 있잖아요. 휴식 없이 다른 과목 바로 바꾸는건 추천하지 않습니다. 뇌의 피로를 풀어주기 위해 휴식을 취하는 건데 그 사이에 뇌에 부담감을 더 지우다니요.
    시간이 촉박하시다면(시험 1~2달전과 같이) 뇌도 그런 긴장을 알기에 부담이 되지 않지만, 아직까지 대략 300일 정도 남았을때는 장기적으로 공부효율에 좋지 않을꺼에요.
    물론 그 방법이 잘 맞으신다면 공부하기에 더 없이 좋겠지만요.

    제가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면, 저 같은 경우는 공부시간을 정해주지 않아요. 무슨말이냐면 50분 공부하고 10분 휴식 이런것 처럼 규정두지는 않구요.
    왜냐면 공부하다가 어렵지 않은 내용이거나, 재미있는 내용이면 2시간 집중도 무리없이 되거든요. 하지만 어려운내용이거나, 재미없는 내용이면 집중력이
    빨리 떨어지더라구요. 그렇게 해서 집중력이 떨어지면 5분 정도 휴식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5분짜리 모래시계를 이용해요
    공부하고 좀 지치면 모래시계 돌려놓고 보통은 멍때리죠. 이 틈에 화장실을 다녀와도 좋구요. 바람 좀 쐬고 와도 좋구요. 좀 걷기만 해도 좋구요.
    요즘 같은 경우는 하이킥 생각하네요. 서지석이랑 박하선커플 예쁘잖아요? 그런 생각도 좀하고, 어떤때는 당장 오늘 공부 끝내고 뭐할지, 나중에 준비하고 있는 공부가 다 마쳐졌을때 제 모습은 어떨지 이런 상상 하구요.

    이런저런 행동하다가 모래가 다 떨어지면 다시 공부를 시작하죠. 요즘은 할게 많아서 그런지 모래가 다 떨어지기도 전에 바로 공부시작 하네요..

    어쨋든 저는 저 나름대로의 공부방법이니까요. 잘 참고하시고 화이팅하세요~

  • 독학의달인 · 290113 · 12/02/01 08:40

    저같은 경우에는 한 과목을 계속 공부하다보면 지루해서 조금 특이한 방법을 써요.
    예를 들어, 수리 5문제 풀고 언어 1시간 공부하고 수리 5문제 풀고 외국어 1시간 공부하고 수리 5문제 풀고 탐구 1시간 공부하고 다음엔 외국어 5문제 풀고 언어 1시간 공부... 이런 식으로 공부하니까 재미도 있고 지루하지 않은 것 같아요~

  • jupi · 391028 · 12/02/01 10:08 · MS 2011

    잠을 풀로 자는게 아니라 20~30분 정도 자는 선잠 걱정할게 없다고 봅니다. 몰입이란 책을 보면 선잠 이후 집중력 상승 때문에 오히려 선잠을 권합니다. 휴식은 님이 쉬고 싶다 싶을때 쉬시되 최소 공부시간 50분으로 하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무엇 보다 중요한건 이런 시간 때문에 스트레스 받지 않으 셨으면 하는 것 입니다.

  • 격쓰 · 362199 · 12/02/01 11:42 · MS 2017

    근데 독서실에서 계속 꾸벅꾸벅 졸게되는건 좀 문제가 되죠,. 졸리시면 아예 엎드려서 자시고 ( 윗분들말처럼20~30분이 적당할듯해요) 근데 한번 엎어졌다하면 1~2시간 쭉 자게된다면 아예 안 자시는게 좋을듯해요., 졸리시면 힘드시더라도 즉시 일어나셔서 찬물로 세수하세요., 저도 혼자 독서실다닐땐 그랬네요 ㅎㅎ 그리고 전 독서실에서 혼자할때 항상 50분마다 적어도 5분은 쉰것같네요 ㅋ 그냥 일어나서 물마시러가거나 바람쐬러요.ㅋ 물론 열중해있을때는 50분이상 계속앉아있었고요., 굳이 공부많이하고싶어서 휴식도 안 갖을 필요는 없을것 같아요 개인차는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