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슈퍼문지문 몇분걸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6734663
두문제 밖에 안되는데도 다 맞추는데에 10분걸렸는데 넘많이 걸렸나요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ㅈㄱㄴ
-
[글로벌 포커스]전세계 쥐락펴락 미·중·러 3强…'73.6세' 올드보이들 0
'73.6세'. 보수주의와 자국중심주의를 전면에 내세우고 국제 경제와 정치를...
-
똥테였는데 2
싹다 은테됐네 나만도태
-
경제 사문 하기 싫어!
-
제가 모집요강을 보고 이해한 게 맞으면 의치수 샤대 아니면 사탐하는 게 나을 것...
-
하루에 세지 5강~6강씩 들으니까 내머리에 무수히 많은 정보가 쏟아짐 다행히 중딩...
-
만약 한다면 국어 영어 생1 가능할듯요
-
쪽잠은 신이야 0
그래그래 그건 사실이야
-
그냥 각자 알아서 지 돈 주고 사먹자…
-
매칭은 마스터 8명씩 잡히고 이래서 한 판 한 판 너무 힘들고 하기가 싫어짐 mmr...
-
수특왜어렵지 3
스텝3왜어려움엄
-
당당한 발걸음 4
쫙펴진 어깨로 거리를 활보하는 나는야 오르비 은테 껄껄껄
-
김민경vs이원준 0
체계적인 방법 알려주는강사 선호하고 둘다 각자 색이 강해서 풀커리 타야 체화되는걸로...
-
그때 돌아오려하는데
-
지금 3,798,130명이 토스에서 봄맞이 꽃돼지를 키우고 있어요. * 참여자가...
-
'야수다'라는 단어를 아시나요 (ft. ㅂ의 약화) 5
'틈이나 기회를 노리다.'라는 뜻의 동사입니다...
-
무료 특강 진행합니다...
-
우울하다 15
그냥 난 재활용도 불가능한 쓰레기야
-
오!!! 쎅쓔!!!!
-
독서 지문 최대한 이해하면서 읽다보면 문장하나 하나는 이해가 되지만 이해로 당연히...
-
울집근처신전떡볶이가아주매콤하니좋음보통맛인데아주매움캬캬캭
-
ㅈㄱㄴ
-
아 알약 ㅅㅂ 0
한 번에 4개 삼키려다 컨트롤 미스나서 입에 하나 남아버림 존나쓰다 ㅆㅂ
-
. 6
-
사진 찍는중
-
불쾌함을 넘어서 머리가 지끈거림... 옆자리 중학생들은 한마디에 비속어가 서너개 이상인듯
-
사람들이 얼굴 빤히 보면서 지나가면 입가에 고춧가루 묻었나 신경쓰임…
-
제가 우흥글 써드릴까요? 우흥후응흐응
-
밥이 문제임...
-
1일1딸 할바에 한번 거하게 푸는게 훨 나을듯
-
가리기 귀찮으니까 뒷내용은 알아서 찾아보셈 대충 여사친이랑 그런 사이가 돼서 삼수 성공했다 이런 글
-
님이 꽃돼지 밥주기를 요청했어요? 지금 3,777,863명이 토스에서 봄맞이...
-
으흐흐
-
오르비 대체 어케 끊노 13
인생 망했다
-
생윤 vs 지1 0
아직까지 고민 중... 원래는 생윤,사문 하려다가 생윤도 말장난 불확실성 심하다는거...
-
베르테르 60번 6
걍 깨달아버렸다 +원본문제
-
오늘 보안서약서 다 쓰고옴 내일은 전가기기 반출 허가증 쓸 예정
-
ㅈㅂ
-
처음에는 4천원주더니 이제는 십원단위로 주네 테뮤도 아니고 참내
-
응응... 후배들아 우리 문학 쌤 개더럽게 내니까 조심해 라고 하려고 ㅇㅇ
-
작수 백분위 68이였구요 개념 강의 다시 들을 정도로 부족하진 않은데 뉴런 들을...
-
규칙적인 생활인가? 일주일에 한번씩 만나서 하면 규칙적일거고 피폐한 삶을 안살수있고...
-
이게 최상위 수험생들의 커뮤니티 ㅋㅋ
-
이천원 뽀찌 떼드림 지금 3,888,430명이 토스에서 봄맞이 꽃돼지를 키우고...
-
4합 5를 맞춰야 하던데 걍 고대 가지... 학종으로 내신 컷도 둘이 비슷하던데.....
-
선택과목 정하기 0
한달전쯤 올라온 이투스 강윤구t의 선택과목 가이드 영상이 도움이 되어서 뒷북이지만...
-
얼른 입시판 떠야지
-
맞팔구 0
은테까지 4명!
우리는 가끔 평소보다 큰 보름달인 '슈퍼문'을 보게 된다. 실제 달의 크기는 일정한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 현상은 달의 공전 궤도가 타원 궤도라는 점과 관련이 있다.
타원은 두 개의 초점이 있고 두 초점으로부터의 거리를 합한 값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이다. 두 초점이 가까울수록 원 모양에 가까워진다. 타원에서 두 초점을 지나는 긴지름을 가리켜 장축이라 하는데, 두 초점 사이의 거리를 장축의 길이로 나눈 값을 이심률이라 한다. 두 초점이 가까울수록 이심률은 작아진다.
달은 지구를 한 초점으로 하면서 이심률이 약 0.055인 타원 궤도를 돌고 있다. 이 궤도의 장축 상에서 지구로부터 가장 먼 지점을 '원지점', 가장 가까운 지점을 '근지점' 이라 한다. 지구에서 보름달은 약 29.5일 주기로 세 천체가 '태양-지구-달'의 순서로 배열될 떄 볼 수 있는데, 이때 보름달이 근지점이나 그 근처에 위치하면 슈퍼문이 관측된다. 슈퍼문은 보름달 중 크기가 가장 작게 보이는 것보다 14% 정도 크게 보인다. 이는 지구에서 본 달의 겉보기 지름이 달라졌기 떄문이다. 지구에서 본 천체의 겉보기 지름을 각도로 나타낸 것을 각지름이라 하는데, 관측되는 천체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각지름이 커진다. 예를 들어, 달과 태양의 경우 평균적인 각지름은 각각 0.5º 정도이다.
지구의 공전 궤도에서도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지구 역시 태양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로 공전하고 있으므로, 궤도 상의 지구의 위치에 따라 태양과의 거리가 다르다. 달과 마찬가지로 지구도 공전 궤도의 장축 상에서 태양으로부터 가장 먼 지점과 가장 자까운 지점을 갖는데, 이를 각각 원일점과 근일점이라 한다. 지구와 태양 사이의 이러한 거리 차이에 따라 일식 현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세 천체가 '태양-달-지구'의 순서로 늘어서고, 달이 태양을 가릴 수 있는 특정한 위치에 있을 때, 일식 현상이 일어난다. 이떄 달이 근지점이나 그 근처에 위치하면 대부분의 경우 태양 면의 전체 면적이 달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 일식이 관측된다. 하지만 일식이 일어나는 같은 조건에서 달이 원지점이나 그 근처에 위치하면 대부분의 경우 태양 면이 달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지 않아 태양 면의 가장자리가 빛나는 고리처럼 보이는 금환 일식이 관측될 수 있다.
이러한 원일점, 근일점, 원지점, 근지점의 위치는 태양, 행성 등 다른 천체들의 인력에 의해 양향을 받아 미세하게 변한다. 현재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은 약 0.017인데, 일정한 주기로 이심률이 변한다. 천체의 다른 조건들을 고려하지 않을 때 지구 공저 궤도의 이심률만이 현재보다 더 작아지면 근일점은 현재보다 더 멀어지며 원일점은 현재보다 더 가까워지게 된다. 이는 달의 공전 궤도 상에 있는 근지점과 원지점도 마찬가지이다. 천체의 다른 조건들을 고려하지 않을 때 천체의 공전 궤도의 이심률만이 현재보다 커지면 반대의 현상이 일어난다.
5분 조금 넘게
이거 첨봤을때 20분넘게 걸리던데
타원의 방정식 기본정의 알면 독해가 조금 수월하긴 하네요~
이건 진짜쉽던데 저 국어 최대2임;
이건 진짜쉽던데 저 국어 최대2임;
이건 진짜쉽던데 저 국어 최대2임;
이건 진짜쉽던데 저 국어 최대2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