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수능만점 · 796072 · 20/01/05 13:22 · MS 2018

    고3 노베(고2 모고 1컷, 미적 확통 처음배움) 1년안에 가형1 가능하다 보시나요?
    다른 과목은 좀 탄탄해서 하루에 5~6시간씩은 투자 가능한데

  • #해바라기 · 884455 · 20/01/05 13:24 · MS 2019

    2달 안에도 가능이야 하다만
    어떻게 하느냐가 제일 중요할거같아요.

  • 2021수능만점 · 796072 · 20/01/05 13:25 · MS 2018

    어떻게 해야할런지요
    수학이 젤 막막해성.....

  • #해바라기 · 884455 · 20/01/05 13:35 · MS 2019

    # 개념공부
    개념 활용은 개념정의 그대로의 암기가 선행돼야해요.

    # 예제풀이
    미적, 확통은 이전 문제들보다 발문이 까다로울 수 있어요
    그 발문에서 특정 개념을 떠올리지 못해 풀이가 막힌 경우엔
    문제 위에 "어떤 개념이-어떤 발문으로 나왔을땐-어떻게 풀어야 하는지"를
    피드백 해주세요.

    # 피드백 총정리
    대단원, 교재별로 진도를 모두 나가셨다면
    피드백 정리해논 문제만 복습하시면서
    실수를 줄이고, 발문에서 개념을 읽어내고 풀이를 설계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 고난도 문제풀이
    이전과는 다르게 문제에 대한 접근법에 대해 고민해 봐야해요.
    새롭게 마주한 문제의 발문에 어떤 개념이 쓰였는지
    지금까지 작성한 피드백 중에 이 문제에 적용할만한 부분이 있는지
    있다면 풀이를 어떻게 설계해야할지
    풀이 작성 전에 고민해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이렇게 공부하는 목적은 새롭게 마주할 모든 문제의 발문에
    쓰인 개념을 꼼꼼히 읽어낼 수 있고, 그 개념에 대한 메뉴얼이 정립되어 있다면
    어떤 새로운 문제든 풀어낼 수 있기 때문이에요.

  • 2021수능만점 · 796072 · 20/01/05 13:44 · MS 2018

    하나만 더 여쭤보자면
    공식 유도과정같은것도 중요하다 보시나요
    아니면 그냥 공식이 먼지 알고 그게 언제 어떻게 쓰이는지만 알면 될까요

  • #해바라기 · 884455 · 20/01/05 13:49 · MS 2019

    문제상황에서 공식을 떠올리는 과정이
    공식을 유도해내는 과정과 비슷한 경우게 몇 있어
    알고 계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강의에서 설명되는 유도과정이 스스로 생각하기에 전혀 쓸모가 없다!
    하시는 경우 외에는 알아만 두세요!

  • 2021수능만점 · 796072 · 20/01/05 13:50 · MS 2018

    답변감사합니다

  • Clearlove · 784698 · 20/01/05 14:12 · MS 2017

    문과 수학 고정 1에 거의 96, 가끔 92정도 나옵니다. 1-2년 수학 안 접하다가 수학 조교를 해도 문제 없었고 수능 수학을 풀어 보아도 92이상이 나오는 정도입니다. 2021수능에 이과로 전향하여 칠 예정인데 92나 96 가능하다고 보시나요? 이과가 어렵다고 해서 좀 걱정이네요.
    문과에서 탑 찍은 분들도 이과가서 3,4맞는다고 하시더라구요..

  • #해바라기 · 884455 · 20/01/05 14:28 · MS 2019

    네! 범위가 다르니 추가적으로 공부가 필요하고 더 힘들기야 하시겠지만,
    이미 고득점자시니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에 초점 맞춰서 공부하시면 금방 올리실 수 있을거예요!

  • Clearlove · 784698 · 20/01/05 14:31 · MS 2017

    담변 감사합니다!

  • 울싸리안 · 928694 · 20/01/05 19:56 · MS 2019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해바라기 · 884455 · 20/01/05 20:17 · MS 2019

    빡대가리도 ㄱㄴ

  • 아이아 · 931934 · 20/01/12 20:32 · MS 2019

    쎈 풀때 얼마나 고민해보고 해설을 보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해설보고 푼건 어떻게 해야하나요?

  • #해바라기 · 884455 · 20/01/12 20:49 · MS 2019

    (#수가, 문제풀이가 어려울때, 편 참고해주세용)
    문제 풀이에 있어서 고민은
    당장 해결되지 않는 문제를 보고
    시간가는줄 모르고 끙끙대는게 아니라

    발문에 어떤 개념이 쓰였고
    어떤 메뉴얼을 적용해야 하는지
    고민해보시고

    그에대한 해답을 얻지 못하실때에
    답안지를 보시면 좋을거같아요.

  • 아이아 · 931934 · 20/01/12 20:58 · MS 2019

    어떠한 개념으로 이끌어내는지 보고 모르겠으면 답안지를 참고하라는거죠? 몇분정도 고민해보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해설 본건 다시 풀어봐야 하겠죠?

  • #해바라기 · 884455 · 20/01/12 21:01 · MS 2019

    해설에서 어떤 개념에 대해 어떻게 반응해야 했었는데 그러지 못했음을 얻어가시고 다시 풀어보시면서 그 메뉴얼을 적용시켜보시는게 좋을거같아용

  • 아이아 · 931934 · 20/01/12 21:02 · MS 2019

    그런데 한 10문제에 한 두문제 정도는 해설지를 보는것 같은데 그러다 보니 문제 푸는 속도가 너무 빠르네요.. 뭔가 실력이 느는게 안 느껴져서 고민입니다 ㅠㅠ

  • #해바라기 · 884455 · 20/01/12 21:06 · MS 2019

    그럼 오래걸리더라도 해설지 참고하지 마시고 위에 말씀 드린 부분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저는 제 나름의 풀이의 방향성(이런 개념은 그래도 이렇게 푸는게 맞지 않을까...?)이 나오기 전엔 해설지 참고를 안하면서 공부했어요.

  • 아이아 · 931934 · 20/01/12 21:13 · MS 2019

    아무리 고민해도 안나오면요? 최대 몇분까지 추천하시나용(너무 시간 써도 안될것 같아서.. 예비고2입니다!)

  • #해바라기 · 884455 · 20/01/12 21:30 · MS 2019 (수정됨)

    문제풀이에 머리가 아플 필요는 없습니다.
    문제풀이는 개념-메뉴얼의 정립을 확인하는 도구일뿐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닙니다.

    막히는 문제가 있으시다면 그냥 넘어가세요.
    그리고 나중에 돌아와서 확인하세요.
    "역시나 이 문제는 너무 어려워서 난 풀 수 없어"를 확인하는게 아니라
    어떤 개념이 어떤 발문으로 쓰였는데 그걸 발견하지 못했거나,
    발견 했음에도 그에대한 메뉴얼 정립이 안 되어있어서 못 풀었다 라는걸 피드백하세요.

    문제는 개념 잘 공부했어?
    를 묻는데 개념과 단절된 상태로
    그건 됐고 난 너 못풀겠어.. ㅠㅠ 이러고 있으니
    문제 발문과 소통이 단절되고
    수학 공부가 산으로 가는거람미다~




    이전댓글에 말씀드린 문제풀이가
    어려울때 칼럼입니다~참고해주세용
    학생분이 그 문제에 머무는 시간보다는
    무엇을 위해 머무는지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방향만 맞다면 한시간을 고민하셔도 값진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일단 넘기고 나중에 돌아와 고민해보시는것도 좋구요

  • 아이아 · 931934 · 20/01/12 21:37 · MS 2019

    칼럼은 읽어봤습니다 ㅠㅠ 어떠한 개념을 묻는진 알겠는데 그 개념을 변형시켜서 응용하기가 힘들면 연습이 필요한가요?

  • #해바라기 · 884455 · 20/01/12 22:10 · MS 2019

    과정이 쉽지많은 않겠지만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부분은https://orbi.kr/00026683345/%23%EC%88%98%EA%B0%80,%20%EB%A9%94%EB%89%B4%EC%96%BC%20%EC%A0%95%EB%A6%AC%EC%9D%98%20%EC%8B%9C%EC%9E%91 을 참고하셔서 특정 개념에 대한 메뉴얼 정립을 하신 뒤, 문제해서 어떤 개념을 마주했을때 어떤 반응을 함이 당연함을 인지할 수 있게끔 노력해주시면 좋을거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