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어 27번 해설은 왜 다 말이 다르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6511611
A강사:얘들아 이건 이상적인 이식편에 관한 이야기인데 인공 장기는 이식편이 아니잖아 그니까 틀렸지
B강사:이상적인 이식편이지? 그런데 정기 교체? 정기 교체가 뭐야 일시적으로 바꿔 끼우는 거라고 나와있지? '이상적'인데 왜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걸 쓰는데?
C강사:'이상적인' 이식편인데 1번 선지에 나온 건 일시적인 미봉책이지? 이상적인 건 완전하니까 그냥 교체할 필요도 없어야해. 모든 단점을 극복해야 한다고.
D강사:이 이상적인 이식편은 이종 이식편에 관해서 얘기하는데.인공 이식편이 나오네? 1번 오답.
죄다 말이 다른데 제대로 된 해설 아시는 분 계신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B랑 C는 같은 말 아님?
아 그런 듯
27번이 내용일치 밑에 있는 문제임?
ㅇㅇ 2번째 문제였어요
저 그거 틀렸는데
전 맞았는데 A관점으로 맞았음
근데 다시 생각해보니 인공장기도 장기긴 하니까 이식편 같아서 ㅋㅋㅋㅋㅋ
'이상적인'이 가장 그럴 듯 한데 그러면 너무 더러워서 더 명확한 해설 없나 찾는 중
없으면 그냥 제가 븅신인 듯요
아 ㅋㅋ 벌써기억안나네
기억 소멸☆
나도 저거 틀렸음
전 맞았는데 A 관점으로 맞았다가 인공장기도 세포랑 조직은 아니지만 장기긴 하니까 이식편 아닌가 생각 들어서 뇌절 옴 ㅋㅋㅋㅋ
지문에서 정기교체를 단점으로 언급하고 있는..
그럼 BC가 맞는 건가여
넹 그런거같아요 이식편자체는 틀린거같진 않다고 봐서 전
둘 다 이유임 첫째 이유가 인공장기는 이식편이 아니기 때문이고, 이상적인 이식편의 조건이 교체가 필요 없을 것인데 인공장기는 교체가 필요한 게 둘째 이유
인공장기는 왜 이식편이 아님? 이식편의 조건이 이식으로 옮겨붙이는 세포 조직 장기인데 일단 장기지 읺나요?
인공장기 설명에 기계장치라고 나와 있지 않았나요? 그랬던 걸로 기억하는데
전자기기인공장기 라고 나와있는데요
전자기기는 세포조직이 아니잖아요
근데 장기잖아요.
조건이 이식한 세포or조직or장기인뎀.
저는 이 문제 풀 때 우선 이식편과 인공장기는 별개 개념이고, 심지어 정기교체까지 필요하니 더 확실한 답이 된다고 생각했어요
그렇군요....저는 별개로 생각하고 체크했다가 지금 생각하니 아닌 것 같아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