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목요일 [913845] · MS 2019 · 쪽지

2019-12-22 20:50:02
조회수 150

대명사의 부적절한 사용 – 일인칭 대명사의 생략은 사건에 자신이 관여됨을 숨기고자 하는 심리를 반영한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6418222

① 혐의를 부인하지 않음 – 기만적 용의자는 진술 내에서 자신의 혐의를 부인하지 않는다

② 사회적 소개의 부재 – 진술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한 사회적 소개가 없으면 그에 대해 숨기는 것이 있는 것이다

③ 자발적 수정 – 진술 내용의 자발적 수정은 기만을 의미한다

④ 확신 또는 기억의 부족 – 진술에 대한 확신이 부족함을 의미하는 표현이나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는 진술은 기만을 의미한다

⑤ 진술의 구조 – 진실한 진술은 사건 전//후가 2:5:3의 비율을 보인다사건 중의 진술이 상당히 부족하면 생략의 가능성이 있다

⑥ 정서의 존재 및 위치 – 정서가 나타나야 할 곳에 없거나 부적절한 정서의 사용정서유발 사건 전에 정서표현이 있는 것은 기만을 의미한다

⑦ 객관적 시간과 주관적 시간 – 객관적 시간에 비하여 주관적 시간의 양이 다른 곳보다 많이 적은 것은 생략을 의미한다

⑧ 흐름에서 벗어난 정보 – 기만적 진술자는 논리적 흐름에서 벗어나는 정보를 제시하면서 때문에’, ‘그래서와 같은 문구를 사용한다

⑨ 불필요한 연결 정보의 생략 - ‘잠시 후에’, ‘마침내’, ‘나중에’, ‘그 다음에’ 등의 문구는 정보가 생략되었음을 의미, ‘시작했다’ 다음에는 연결되는 정보가 있어야 한다

⑩ 진실한 진술에 처음 등장하는 사람은 단수로시제는 과거시제로 진술된다현재시제는 기만의 의미가 있다

⑪ 대명사의 부적절한 사용 – 일인칭 대명사의 생략은 사건에 자신이 관여됨을 숨기고자 하는 심리를 반영한다

⑫ 언어의 변화 – 호칭이나 명칭의 변화는 관계의 변화를 의미하는데 변화의 이유가 생략되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⑬ 관련없거나 중요하지 않은 정보 – 불필요하고 관련성이 없는 정보를 진술하는 것은 중요한 정보를 숨기는 것을 의미한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