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카드 [332994] · 쪽지

2012-01-17 14:59:16
조회수 604

문항2번이걸리네요..너무표면적인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618134

논제 2에서 B국가분석한것만 복기하면 // 2-a에서 변수 간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는다. 인과관계는 상관관계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상관관계가 상위 개념이다. 따라서 상관관계가 없는 것은 인과관계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시문의 가설적 인과관계는 성립하지 않는다. 언어이질성과 소득이질성간에는 인과관계가 없다.
2-b에서 또한 변수 간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인과관계가 없다. 그러므로 제시문의 가설적 인과관계는 성립하지 않는다. 소득이질성과 공동체의식간에는 인과관계가 없다.

뭐 의미를 찾아야하나요 다른 의미를.... ㅠ
인과관계가 없음을 의미한다 도 의미 아닌가? 하..

그런데 논제 1,2는 그냥 표면적으로 답만 딱딱해주면되는거아닌가요? 3번이 의미문제인거같은데
자수제한도 1400플마200자인거보면 많은 걸 요구하진 않았다고 믿고있음 ㅠ
저는 논제3에서 나름 깊게들어가려고노력했는데....
논제3//
일단 언어이질성을 극복하는것이 공동체의식을 높일수있는 A와B유형의국가 공통의 방법이다 이런의미로 끄적인다음

언어이질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한 언어를 공용어로 정해서 다른 언어를 쓰지 않게 하는 방법이 있다.

반론: 언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집단의 반감으로 오히려 그 요인이 새로운 인과관계를 형성해서 공동체의식을 낮추는 결과가 발생할수도 있다.

재반론: 언어를 쓰지 않게 하지 말고 공용어가 아닌 표준어의 개념(원래언어+표준언어) 방식으로 같은 언어로 지역 전체를 묶으면 된다. 대강 예시로 중국 보통화 썼구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