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자취생 [374652] · 쪽지

2012-01-12 22:33:54
조회수 1,534

침이 플라시보가 아니라는 걸 설득시켜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588701

침과 가짜침에 대한 차이는 별로 없는 것 같은데 가짜침의 placebo가 다른 placebo보다 효과가 높은건 사실이라는군요. 

방금전까지 수많은 논문들을 검색하고 왔네요 ㅜㅜ

가짜침은 이거인 것 같구요

http://aim.bmj.com/content/17/2/110.full.pdf+html

검색에 도움이 될까해서 남깁니다 제가 가짜침 관련 찾던 방법 중 하나입니다. 
http://scholar.google.co.kr/scholar?start=10&q=sham+acupuncture+placebo+%EC%A0%80%EC%9E%90:ernst&hl=ko&as_sdt=0,5&as_vis=1 


참고로 전 한까가 절대 아니고, 한의학 믿습니다. 근데 검색하다보니까 갑자기 혼란이 오네요

한의대 지망생 하나 구해준다고 생각하시고, 침술이 단순 플라시보효과가 아니라는 것에 대해 제대로 된 근거를 제시해주실 수 있을까요??

또 요즘 침맞으러다니는데, 침술이 플라시보라고 생각하거나 정말 플라시보라면 치료효과가 떨어질 것 같네요

근거는 댓글로 달아주시면 좋지만, 쪽지를 주셔도 무방합니다. 이 글이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단순하고열정적으로 · 30449 · 12/01/12 22:41 · MS 2003

    일단 이렇게 글을 올리시면 저도 시간을 내어서 논문을 다 읽어봐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좀 걸리겠네요. 침술의 효과에 대한 논문도 많으니 찾아보시구요. 통계적으로 대조군보다 유의하다는 의미는 플라시보 효과 이상을 낸다는 의미니까요

  • 서울대자취생 · 374652 · 12/01/12 22:44

    시간이 걸려도 괜찮습니다

    아니면 그 시간에 책을 통해 찾아볼까요..??

  • 검은고양이네로 · 396384 · 12/01/13 00:13 · MS 2011

    '침술이 단순 플라시보효과가 아니라는 것에 대해 제대로 된 근거' 가 정말로 신뢰할 만한 자료로 존재한다면,
    아마 벌써 신뢰도높은 유명 학술지에 메인으로 올라왔을텐데....제가 아는한 아직 그런 수준 자료는 없구요,
    자료의 양은 많은데 대부분 믿을 게 못되는 질이 낮은 연구논문들 뿐입니다.

    치료효과에 대한 신뢰도 높은 증거(앞에 말한 유명 학술지에 메인으로 나올만한...) 가 없다면,
    이렇게 오래 연구를 했는데도 결과가 고작 이거면 위약효과(플라세보) 라고 추론하는 게 일반적인 상식으로 통하고 있죠.

    학계에서 침술에 대해 공격하는게 딱히 양방의학계의 시기 질투 그런거라기 보단
    그쪽에서 치료효과를 판정하는 기준에 따라 보고 있는게 바로 지금과 같은 양방계의 침술 평가입니다.
    한의학이라고 해서 특별히 더 미워하거나 그런 게 아니고 말이죠;;

    별로 특별할 건 없고 그냥 미약한 통증조절(안하는 거보다 나은거 같기도 아닌거 같기도...어느쪽이래도 상관없는)
    정도 되는 간단한 치료법 정도라는게 지금까지의 나온 침술에 대한 의학적 정설인 것 같습니다.

  • sdfsdaf · 348294 · 12/01/13 00:42

    아 난 또 한닷에 검은고양이네로 님인줄 알았네요 ,,ㅡㅡ 예전에 한닷 검은고양이네로님이오르비에 저를 사칭하는 한까 오르비에 있다고 하던데 아이디만 같은거라고,,뭐 진짜 한까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ㅋ
    한닷 검은고양이네로님은 지금 본4라 국시 준비중이시겟구나..

  • 검은고양이네로 · 396384 · 12/01/13 01:09 · MS 2011

    아 그런가요;;
    우연히 동명이인인가 보네요^^;;
    저 그분 누군지 잘 모른답니다...

  • 검은고양이네로 · 396384 · 12/01/13 00:15 · MS 2011

    아 참고로 placebo effect 는 '치료를 받는 자가 치료효과가 있다고 믿을 때' 에 발생하는 건데;;
    이런 정보를 알게 되셨으니 아마 앞으로 침 맞을때 효과가 떨어질 수도 있겠네요ㅡㅡ;;
    가끔은 모르는게 약이 되는 경우가 이런 걸 두고 하는 말일지도...

  • 달빛소년 · 278988 · 12/01/13 00:52 · MS 2009

    샴니들도 결국은 혈위에 자극을 주는거라 구분이 힘들다고 알고있네요.

  • 콘실크 · 309984 · 12/01/13 01:20 · MS 2009

    시술자가 누구인지도 중요하겠지요.
    예컨대, 한의사가 개복하고 맹장수술을 했더니 죽더라. 고로 의사들의 맹장수술은 위험하다. 라는 식의 결론 도출은 옳지 않겠지요?

  • 닉중확 · 372962 · 12/01/13 01:49 · MS 2011

    어디아프실때 침에 대한의심을 가득품고 한의원가보세요 ㅋㅋㅋ그름판별가능하지않을라나

  • 신침 · 344275 · 12/01/13 02:02

    플라시보는 일시적이고 그 효과가 지속되지 않고,
    치료효과는 지속적이고, 그 효과가 치료하면 할수록 누적되어 완치까지 이른다고 정의한다면, 치료효과는 확인가능합니다.

    만약에 가짜침의 플라시보 효과만으로 지속적이고, 그 효과가 누적되어 완치까지 이른다고 한다면 저는 할말이 없습니다. 모든 사람이 의학을 공부할 필요가 없겠지요.

  • prometeaous · 272216 · 12/01/13 09:55 · MS 2008

    이곳은 입시상담을 하는 곳 입니다... 전문지식은 전문가와.. 지나가던 1인....

  • 신침 · 344275 · 12/01/14 08:05

    양방에서 몇 달 동안 오십견으로 물리치료받고 하다가 아무런 치료효과가 없어서 한의원에 와서 침 한번에 팔이 들어올려졌다고 할때, 양방에서는 이것이 플라시보효과라고 합니다.
    양방에서 몇 달 동안 아무런 효과가 없었던 것은 대체 뭘로 해석해야 할까요. 그들은 왜 이런 플라시보 효과를 몇 달 동안 단 1회도 내지 못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