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수학공부란 무엇일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5658128
. 제 나이 18살 곧 인생에 다시없을 (없어야 하는) 수험생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본격적인 공부를 시작하게 되는데요. 다른 과목들의 공부법은 어느정도 알겠으나 ""수학""이라는 과목의 공부법은 아직 모르겠어서 말이죠... 어떤 문제집을 풀어라, 어떤 강의를 들어라 같은 것은 어느정도 알겠으니, 본질적인 (?) 수학 공부법을 좀 공유해주십시오. 저는 지금까지 인강듣고, 문제집을 풀고, 틀린거 고민하고, 고치고, 모르는건 질문하고. 다음문제 풀고. 이런 방법이었는데 어떤 커뮤니티(옯)에서 수학을 복습하라 라는 표현에 굉장히 놀랐습니다. 복습은 국어, 탐구 영역에서나 하는 것인줄 알았으니까요. 추가로 현재 과외도 하고 있는데요. 제가 문제를 풀어오면 과외시간에 풀어주는 그런 수업을 받고있는데요. 이게 이 거액을 줄 정도의 작업 (?)인가 싶은 생각이 드는데 친구한테 물어보니 자기도 그런다는걸 보면 원래 그런건가.. 싶기도 하고요. 과외, 원래 이런건가요?
주저리주저리 말이 많았습니다.
요약하자면, 수학공부법을 공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 과외의 이용방법 및 활용법, 유용성 (?)을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난도: 보통 (1등급 비율 10% 후반 예상) 틀릴만한 문항 13번: 연해주 지역을...
-
출처: 09 9모 국사
-
아니 원래 보통 5~6개는 들어본건데, 딱 2문제만 아는거엿음
-
쉽고 빠르게 점수 올릴수있는쌤은?
-
이건 뭐 답변 느린 수준이아니라 답변 달고 싶은거만 걸러서 다는 느낌이네요.
-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7차교육과정 국정교과서, 수능 국사의 지문을 OX 형 문제집으로 만들어봤어요.
-
더하고 싶었는데 영 시간이 안나네요 ㅠ일단 참가만하고다음대회가 또 열린다면 참여 ㄱㄱ
-
2015학년도 수능 사회탐구 한국사 고난도 문제 기출해설 0
2015학년도 수능은 6월, 9월 모의평가에 비해서 상당히 높은 난이도로...
-
ㅈㄱㄴ심심해서 국사 등급컷 둘러보니 이투스하고 비타에듀가 1컷 48로...
-
토지개혁 북한46-무상무상 이승만4950-유상유상 좌우합작46-유상무상(비현실적)
-
오늘은 1번 선사시대 문제입니다.~ 푸신 분은 오르비식으로 답글 달아주세요~ 답은10시 발표입니다
-
막판 스퍼트!오답 best 5
-
11 13 14 17 18 번 문제 제외하고 모든 해설 올립니다 ^^좋은 결과 있었으면 좋겠네요^^
-
[기출해설 자랑대회] 2014학년도 수능 한국사 1~10 1
은근히 오래걸리네요..산소수....문제원문; KICE.RE.KR
-
양진오교학사 대표이사(오른쪽 두번째)가 16일 오후 서울 마포구 공덕동 본사...
-
!!!!!!!!!!!!!!!한국사,국사,근현대사, 한문 전문 과외!!!!!!!!!! 0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2010학년도 익클 기준 상위 0.5%2010학년도...
-
그럼 우리 모두 지구인이니까 지구과학을 배웁시다. ㅈㅅ
-
집중이수제 대상서 사실상 제외한국사 교육이 부실하다는 지적이 커짐에 따라 고등학교의...
-
한국사 집중이수제 제외, 수능 사탐 필수 지정 검토 1
* 교육부 "수업시간 늘릴 것" * 5단위에서 6단위로 늘려 적어도 1년 간 한국사...
-
* 08년 '한국근현대사' 대안교과서 내놓은 적 있지만 일선 학교에서 사용하는...
-
* 초중등 교육과정 한국사를 필수과목으로 정하고, 수능 시험에 한국사를 반드시...
-
국사 2-3 등급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뭐 봐야 될까요?? 2
고3시기동안 강민성 인강 보면서 국사 했는데 절라 안나오드라고요ㅠㅠ모의 때 4~2...
-
1. 건원중보는 (철전/은전/금전)2. 구제도감은 환자 진료 및 빈민 구휼을 담당...
-
세종이 훈민정음 다 만들고 팔이 아팠을거 아니에요.그래서 세종때 만든 책들에 팔...
-
국사 교과서 말인데 갑자기 멘붕이에요 이번년도까진 그 녹색? 교과서 맞죠? 한국사 교과서 아니고 1
헉; 독재생이라 정보가 어둡다어둡다 했지만벌써 몇년 전에 받아놨던 활쏘는 인간...
-
안녕하세요 현역 고3이에요6평을 통해 객관적으로 본 실력은 언수외 112이고...
-
여태까지 국사는 학교수업으로 듣고 ebs 한번 들은 다음에 교과서 계속 돌리고...
-
안녕하세요 이번에 수능망해서 원서도 제대로 못쓰고 광탈한 외고생입니다. 고3때까지만...
-
첨부파일 육번 문제항상 국사 1은 찍습니다만솔직히 6번문제 푸는 데 필요한 개념이...
처음에 애매하시면 기출같은거 풀어보시면서 감이 올 수도 있어요 그 와중에 얻는 것도 많아요
특히 수학은 수동적으로 하면 너무 비효율적인 것 같아요 과외나 수업 들을 때도 머릿 속으로 ‘이건 저렇게 풀어도 되는데’ ‘선생님이 풀기 전에 먼저 풀어버리고 비교해봐야지’ 이런 마인드로 적극적으로 생각하면서 들으면 좋았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당! 구체적인 방법..같은건.. 제시해 주실수 없을까요 ㅎㅎ..
그리고 너무 성실하면 오히려 어떤 면에선 수학에 독이 될지도 몰라요
더 편하게 풀려는(계산을 줄인다거나) 욕심이 실력을 자극하기도 합니다
뭐 예를 들면 나올 수 있는 그래프의 개형을 일단 모조리 써 놓고 다 해봐야 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진짜 아닌 경우는 머릿속으로만 떠올리고 배제하고.. 이런 것들도 중요해요
아니면 함수식을 구해야할때 ax^3+bx^2+cx+d로 놓고 무작정 구하는 것은 정말 생각 안나고 그럴 때만 했어요
이것 보다는 더 빨리 찾는 식으로 하는게 좋아요
일단 기출문제 위주로 수능 준비 시작하시고 나중에 실모같은거 풀면서(난이도 확 올리면서) 실력 쌓으면 좋아요
복습이나,오답정리에 대한건 따로 필요없을까뇨?
복습도 능동적으로 하면 좋아요
좋았던 문제는 학교끝나고 집 오면서 머릿속으로 다시 푼다든가.. 오답정리는 따로 안했는데 틀릴때마다 억울해서 분노하면 저절로 돼요
기출 -> 뉴런 -> N제-> 실모
국룰
이런걸 그냥 풀고 고치기만 하면 되나요? 그걸 모르겠어요 ㅠㅠ 공부 컨텐츠 말고 방법을요 ㅠㅠ
https://youtu.be/9EAG_HMhu8A
넘....길.. 뭔 영상이죠...
한완수 ㄱㄱ
제가 들었던 인강 선생님은 문제를 시간 재고 푸는것&오답복습을 강조하셨어요. 시험장에서는 문제가 안 풀리는데 집에 와서 보니 풀리는 등의 시험장과 집에서의 괴리를 줄이기 위해서 평소부터 실전처럼 시간을 재고 최대한 빠르게 풀라고 하셨어요. 오답의 경우 틀린 문제와 시간이 오래 걸린 문제를 체크해 둔 뒤 그 문제를 잊어버릴 때 즈음 해서 다시 보는식으로 두세번 정도 다시 풀어보는 식으로 하라고 하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