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서울이뭐길래 [908958] · MS 2019 (수정됨) · 쪽지

2019-11-23 19:22:06
조회수 1,122

[대입잣대] 사립대학재정회계지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5657577

하나씩 표를 작성해서 올려야 보기 편하지만 귀찮은 관계로 한꺼번에

올립니다. 출처는 대학알리미( http://academyinfo.go.kr )

1인당 교육비(단위: 만원)

금액이 높을수록 대학의 학생에 대한 연구비·장학금 등 교육비로의 투자 성향이 높음을 의미함


포항공대: 9328

연세대: 3173.4

성균관대: 2791.8

고려대: 2430.7

아주대: 2217.7

한양대: 2190.4

이화여대: 1978.6

서강대: 1861.2

경희대: 1717.9

건국대: 1667.2

인하대: 1644.6

중앙대: 1583.9

국민대: 1548.2

숙명여대: 1493.7

세종대: 1483.9

동국대: 1448.9

단국대: 1338.4

숭실대: 1332.6

한국외대: 1180.9

홍익대: 1173.5


교육비 환원율

등록금의 교육비 환원정도를 의미함


포항공대: 1315.94%

연세대: 317.27%

성균관대: 283.74%

고려대: 254.5%

아주대: 254.28%

한양대: 228.29% 

서강대: 208.79% 

이화여대: 206.35% 

경희대: 202.14% 

인하대: 202.1% 

건국대: 199.9% 

국민대: 189.91% 

숙명여대: 184.26% 

세종대: 183.16% 

중앙대: 181.55% 

동국대: 175.43% 

숭실대: 164.77% 

단국대: 162.41% 

한국외대: 158.1% 

홍익대: 132.22% 


장학비 지급률 

비율이 높을수록 학생이 부담한 등록금 대비 학생에게 지급한 장학금이 높아 등록금 실제 부담률이 낮음을 의미함


포항공대: 34.4% 

성균관대: 26.45% 

인하대: 25.08% 

홍익대: 24.95% 

아주대: 24.93% 

중앙대: 24.85% 

고려대: 24.79% 

숙명여대: 24.06% 

이화여대: 23.81% 

세종대: 23.53% 

국민대: 23.41% 

동국대: 22.6% 

연세대: 22.45% 

숭실대: 22.26% 

경희대: 22.2% 

건국대: 21.75% 

단국대: 21.73% 

서강대: 21.68% 

한양대: 21.62% 

한국외대: 18.59% 


이월금 비율 

비율이 낮을수록 이월금을 최소화하기 위해, 합리적 자료를 기초로 예산을 편성·집행한 것을 의미함


서강대: 0.31% 

경희대: 0.57% 

인하대: 0.76% 

한국외대: 1.14% 

단국대: 1.21%

숙명여대: 1.25% 

국민대: 1.7% 

이화여대: 2.15% 

동국대: 2.42% 

한양대: 2.82% 

건국대: 3.05% 

고려대: 3.12% 

아주대: 3.44% 

중앙대: 3.44% 

연세대: 3.53% 

성균관대: 4.64% 

숭실대: 5.5% 

홍익대: 7.93% 

포항공대: 20.8% 

세종대: -3.98% 


등록금 의존율 

비율이 높을수록 등록금 수입에 대한 편중정도가 높아 교비회계 수입재원의 다변화가 요구되는 것을 의미함


포항공대: 11.82%

연세대: 37.73% 

성균관대: 42.39% 

아주대: 47.56% 

고려대: 48.25% 

이화여대: 48.71% 

숙명여대: 50.6% 

경희대: 58.22% 

건국대: 58.45% 

세종대: 59.22% 

숭실대: 59.45% 

한양대: 59.65% 

서강대: 60.56% 

중앙대: 62.21% 

인하대: 62.28% 

동국대: 63.02%

한국외대: 64.84%

국민대: 64.94%

단국대: 68.83% 

홍익대: 70.31%


부채비율 

비율이 낮을수록 타인자본에 비해 자기자본 보유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재무구조가 안정적인 것을 의미함


국민대: 0.01%

숙명여대: 0.14% 

고려대: 0.26% 

홍익대: 0.31% 

인하대: 0.34% 

숭실대: 0.35% 

서강대: 0.64% 

단국대: 1.27% 

이화여대: 1.37% 

포항공대: 2.42% 

성균관대: 2.72% 

아주대: 3.14% 

동국대: 3.91% 

한국외대: 3.92% 

건국대: 4.94% 

한양대: 4.95% 

세종대: 5.06% 

연세대: 8.14% 

중앙대: 8.63% 

경희대: 16.97% 


법인전입금 비율 

비율이 높을수록 운영수입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법인의 대학에 대한 재정적 책무성 정도가 높음을 의미함


포항공대: 43.68% 

연세대: 6.11% 

성균관대: 5.24% 

아주대: 4.8% 

동국대: 3.19% 

인하대: 2.94% 

단국대: 2.73% 

한양대: 2.71% 

경희대: 2.64% 

이화여대: 2.4% 

고려대: 2.33% 

중앙대: 2.16% 

국민대: 2.14% 

한국외대: 2.08% 

건국대: 1.24% 

서강대: 1.14% 

숭실대: 0.7% 

세종대: 0.59% 

홍익대: 0.37% 

숙명여대: 0.03%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 

학교법인은 대학의 연간학교회계 운영수익총액에 해당하는 가액의 수익용 기본재산을 확보 하여야 함


건국대: 307.68% 

세종대: 213.12% 

포항공대: 169.23% 

단국대: 168.96% 

연세대: 142.71% 

한양대: 122.07%

한국외대: 120.47% 

국민대: 83.01% 

아주대: 73.57% 

인하대: 63.2% 

홍익대: 56.42% 

이화여대: 55.9% 

중앙대: 46.51% 

동국대: 44.86% 

경희대: 33.62% 

고려대: 32.23% 

서강대: 29.48% 

숭실대: 15.66% 

숙명여대: 9.83% 

성균관대: 3.42% 


학교 운영경비 부담률 

학교법인은 매년 수익용 기본재산에서 발생한 소득의 80% 이상에 해당하는 가액을 대학운영경비로 충당 하여야 함


서강대: 381.92% 

건국대: 125% 

경희대: 125% 

단국대: 125% 

동국대: 125% 

성균관대: 125% 

숭실대: 125% 

아주대: 125% 

이화여대: 125% 

인하대: 125% 

중앙대: 125% 

포항공대: 125% 

한국외대: 125% 

홍익대: 125% 

고려대: 118.95%

세종대: 112.3%

한양대: 111.25%

국민대: 102.9%

연세대: 81.26%

숙명여대: 25.47%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