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ackson [840816] · MS 2018 · 쪽지

2019-11-23 14:09:55
조회수 269

세종대 오전 오늘 인문 비판점 어떻게 잡으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5650744

전 명확하게 한게 아니라 왠지 다들 비슷하게 썼을것 같음..


요약은 핵심키워드만 넣으면 무리없을 것 같고...


 비판 말하자면 주관적인 견해에 빠져있을 수록 통킹만사건과 같이(나)를 통해 사람들의 판단을 좌우함으로써 기만과 또는 속임수로 국민의 국가적 사건을 알 권리를 파괴할 수 있기때문에 가의 견해는 옳지않고 


(다) 인간의 무오류성을 통해 자신 능력의 한계를 이해하고 보완해야하나 주관이 개입하여 적극 수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의 주관적 견해 개입의 호의적인 입장은 적절치 않다라고 했는데


왠지 틀린 느낌이네요 너무 평범하게 쓴거같은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hannari130 · 807715 · 19/11/23 14:19 · MS 2018

    잘 쓰셨는데요 넘 걱정마세요

  • 나만재수가두려워? · 886708 · 19/11/23 16:29 · MS 2019

    저랑 다르네여

  • zackson · 840816 · 19/11/23 16:50 · MS 2018

    어떻게 하심??

  • 수능과연애한다 · 914880 · 19/11/23 16:56 · MS 2019 (수정됨)

    제시문 (가)는 특정 사건을 단편적으로 바라볼 것이 아닌, 전체적 시각과 역사적 가치의 개입을 통해 바라보아야만 사건의 진실된 의미에 다가갈 수 있음을 역설함. ~~~~ 즉, 특정 사건을 보도함에 있어 초점을 맞춰야 할 특성은 객관성보다는 주관성임.

    그러나 , 주관성에 기반한 언론 보도를 언제까지나 정확한 보도로 볼 순 없다.

    제시문 (나) 입장에선 통킹만 사건과 같은 국가의 조작 행위가 사회 구성원들의 사건을 향한 인식마저 선동할 우려가 있음.
    국가에 의해 의도된 일련의 사실과 과정을 마주한 언론은 이로 형성된 주관성을 통해 나름의 정확한 보도를 수행하고자 함 > 사회 구성원들 또한 이에 맹신함으로써 악순환이 반복됨. > 이에 대항하기 위해 (나)에 나타난 OOOO(이름생각안남)이 객관성에 기반해 사건의 부조리함을 폭로한 것과 같이, 새로운 언론 의식의 정립이 요구됨.

    제시문 (다)는 사회 내 주된 여론이 항상 사실과 부합하지 않을 수 있음 시사함.
    마찬가지로, 해당 사회에 팽배해있는 주관성에 기반한 보도 또한 사실과 다를 가능성이 존재함. > 그러나 사회 구성원들은 이에 얽매여 편협한 사고를 확장해 나감으로써 사회 내의 인간의 절대무오류성을 강화시킴 > 따라서, 이로부터 탈피하기 위해 객관성에 기반을 둔 새로운 성격의 보도 유형이 필요시됨.

  • 나만재수가두려워? · 886708 · 19/11/23 16:58 · MS 2019

    전 (다)를 이해를 잘 못해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