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수능 수리가형 17번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564723
11수능 수리 가형 17번 해설 made by 호랑.pdf

보기 ㄷ 에 대해서 하고픈 말이있어 부족한 실력이지만 써 보았습니다. ^^
처음 만드는 자료이므로 어설픈 점도 많고, 부족한 점도 많습니다. 궁금하거나 틀린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달아주세요 ~
미적분에 대해 고민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논리적오류 있는지 봐주실 수 있나요..?? (나)조건을 보고 일단 대입해보자 해서...
-
군대 전역 후 다시 공부중인데 머리가 굳은 느낌...? 0
마지막 수능이 2년전이었는데 그때보다 머리가 굳고 나빠진 느낌인데 ㅋㅋㅋ...
-
만우절도 끝났네 0
으아
-
메타 탑승 실패 2
요새 오르비 너무 안와서 모르는 오르비언 너무 많아짐..ㅜ
-
운명이 이끄는대로.
-
솔직히 나도 241128같은거 하나 더나왔을때 이걸 잘 풀수있다고 장담못하겠음 그때...
-
푸리 2
법선벡터으로 풀엇지만 굳이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법선벡터로 각도 구할때 잘보면 이면각끼리도 보임
-
어 그래 시계 똥글에 이은 만년필 똥글만 써줄게 두고보자
-
중간 4주 남았는데 ㅈㄴ 재밌어서 매일매일 1시간씩 한다... 이거 ㅈ된거임?
-
우르르 몰려다니는 오르비언들 귀여워요
-
건전해진듯
-
프사정하기어렵다 2
후
-
제적리스크 ON 6
(총장 ㅈ대로 바뀌는)학칙상 제적 D-2 끝까지 가보자 십새들아
-
소수점 둘째까지써드릴게요 호감도 00.00-100.00
-
똥먹기 10
미소녀 똥 우걱우걱
-
윤혜정 ㄷㄷ
-
언매 누구 들을까요 작수 언매 다맞았었는데 그뒤로 안 들여다봤더니 좀 까먹었어요...
-
복수했습니다 0
*주의 : 물1 실력이 낮아서 제 풀이가 쓸데없이 길 때가 있습니다. 가끔씩 물2...
-
두려움 따윈 없어 I say 호 You say 두
-
학교문법이라는 취지에 안 맞게 계속 견해가 다른 걸 둘 다 맞게 제시함. 통일된...
-
무슨 글을 쓰든 ㅈㄴ 웅장하게 느껴짐 중국 노래 나오는 것 같고..
-
공부는 올해 3월에 시작했고 작년에 그냥 재미로 풀어본 바로는 모고 기출들 대체로...
-
이건 난이도가 어케되나여 기하러분들 28번치고는 문제가 엄청 짫은거 같은데
-
칼바람 재밌어 1
-
잘자요 3
웅냥냥(하품물범이 우는소리)
-
간단해 4
애니프사 호 비애니프사 -
-
일단 난 이제 안함
-
고고링
-
좀만 스트레스 받아도 죽을려 해
-
그동안 속여서 죄송합니다..
-
업데이트된 호감도도 써드려요
-
오늘의 공부인증 3
국: 단과 복습, 강사 주간지 풀이, effect 문학 3지문풀이 수: 어싸...
-
수능때 어디 가셨나요....그리고 영어 커리 추천좀 해주세요...(고정3)
-
자 고고혓 감자깡 먹으면서 적어줄게요 는 아니고 지인선 풀고 적어줄게
-
무서워서안햇는데
-
뉴런때메 인강듣는 시간 너무 늘어나서 웬만한건 책으로만 해결하고 싶은데 도표는 힘듦?
-
I think i'm going dumb
-
이미지 적어드려요 14
맞팔도 같이 구합니다
-
호감도 메타 특 7
원래 본인기준 호감이 8 이상 중립이 7점대 비호감이 6점대 이하인데 비호감인...
-
사람들 이거 제일 힘들어 하지 않을까요
-
기각되면 국힘지지하는 식당 인용되면 민주당지지하는 식당 어느쪽이든 쌀먹가능해보이니...
-
처음 풀때 주기성 생각 안하고 풀다가 뭥미하면서 절었는데 지금은 슥하고 풀리네 가형...
-
절대 해달라는건아님뇨
-
호감도 이미지 한단어 41
기기혓
-
ㅈ반고 수시 칼럼..? 애피샌츄들이 보면서 비웃을거아냐
-
03이 5수라니 4
틀
-
엑셀 빡빡하구만 1
합성함수가니까 어지럽네 근데문제는좋은듯
헉 문과도 풀 수 있는 문제네요!
네. 다항함수의 적분을 다루고 있으므로 문과 분들께서도 푸는데 필요한 내용은 모두 알고 계십니다. ^^
헤헤
한석원t가 알려준듯?
넓이변화율은 함수값
제 책에서 자세히 다루고있는부분이네요.
근데 이렇게 푸는게 수능에서 의도한건 아니라는건아시겠죠..;;
단순히 평균변화율의 좌극한과 우극한을 통해 계산하는것이 수능출제의도입니다. 여기까지 이해해서 풀라고 낸건아니구요.
이과분들이라면 여기까지 이해해서 분석하는것 모두 좋은공부가 될거에요.
하지만 수능시험장에 들어설 때 저런마인드가지고 들어가면 위험합니다.. 말려요.. (수학 따위 항상 100점 맞을 수 있다 이런분은 제외)
혹시나 수능준비하는분들이 오해할수 있을것같아서 다는 댓글이구요;
난만한님 그렇다면 혹시 간략하게나마 시험장에 들어설 때 '어떠한 마인드가 위험하고, 어떠한 마인드를 가지고 들어가야 되는지' 조언 구할수 있을까요?
http://orbi.kr/0001666169 이거 참고하시면 될 듯 합니다. (제 수학과 동기가 쓴 글입니다.)
"수능 문제는 숨겨진 의미가 별로 없고 있더라도 문제푸는데 전혀 중요하지 않다."가 핵심인것같구요.
님처럼 공부하는게 안좋다고 말하는게 아니에요. 저런식으로 스스로 의미분석하고 하면 논술에도 많이 도움될테고
수학적 사고력향상에 많이 도움이 되겠죠 ㅎㅎ.. 문과학생이라면 진짜 저런건 필요없구요..
일단 시험장에서는 '닥치고 풀어' 마인드가 괜찮겠군요. 감사합니다.
"시험 볼땐 오로지 답만 내면 끝.문제 분석등은 시험이 끝난후에" 요 마인드아닌가요
글쓴이님의 풀이가 수능에서 의도한건지 아닌지는 수능출제의원님들만 아는거고..
(교과과정에서 가장 기본적이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출제한것이기때문에 아니라고 확언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시험장에서 저런풀이를 시도하는것 자체가 위험하다고 볼순 없죠.
저렇게 공부하다보면 시험장에서 자연스럽게 떠오를수도 있는겁니다.
저런풀이가 안됨에도 불구하고 시험장에서 고집하는태도가 위험하다는 의견은 저도 깊이 동의하는 바입니다.
11수능 제가 재수할 때 응시했던 시험인데 저도 ㄷ을 이렇게 떠올려서 풀긴 했네요...
식 세우려고 했는데 앞에서 시간을 많이 써버린 탓에, 빨리 풀고 넘어가야한다는 생각으로 운좋게 떠올랐고
풀면서도 확실하게 푼게 아니라 나쁘게 말하면 거의 야매로 푼거 같아서 찜찜했는데 나중에 다시 살펴보니 저도 이렇게 했었더라구요
그런데 식을 세우던 넓이 변화율의 의미를 생각해서 풀 던 내가 시험장에서 그 문제를 맞힐 수 있도록 하는 풀이가
적어도 시험장에서는 가장 훌륭한 풀이라고 생각해요
이 글과 관련하여, 댓글을 달던 중 그 내용이 간단하지는 않은 것 같아서, 따로 글을 써 보도록 하겠습니다.
한 마디만 예고(?)하자면, 저는 호랑.님의 풀이도 평가원의 출제 의도에 "포함된다"고 봅니다.
http://orbi.kr/0002565888 에 글 올려 두었습니다. 제 입장과 그 외 여러가지 생각이 담겨 있는 글이에요.
지금 읽어 보았는데..ㅎㅎ..정말 좋은 글이네요.
적어 놓으신 다른 글 1개 대충 읽었는데 정말 논리적으로 개념파악이 잘 되어 있네요. 수학과 학생이신가요? 신입생이 이정도 분석과 개념을 가지고 있기가 쉽지 않을 것 같아 드리는 말씀입니다.
수학과는 아닙니다만, 현재는 수학을 복수전공할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는 문과인데 저도 이문제 땜에 고민많이하고 물어보고 그랬던 기억이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