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트 [318411] · MS 2009 · 쪽지

2012-01-09 00:15:18
조회수 860

문과논술은 해설이 필요있나여?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562426

비꼬는게 아니고 실질적으로 궁금해서 물어보는 겁니다.
이과논술은 답이 존재하기 때문에 해설강의가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문과논술중에 이런거 있잖아요.
'좋은 음악이란 무엇인가?'

이런걸로 어떻게 해설강의같은거 하나여?

*비꼬는거 절대 아니에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도미노피자 · 381085 · 12/01/09 00:17 · MS 2017

    ㅎㅎ 원래 개소리 지껄이는게 문과 논술인데 머
    선생이나 학생이나 다 개소리 ㅋ

  • Kori · 397570 · 12/01/09 00:18 · MS 2016

    인문학의 가치를 폄하하시는 발언 좋지 않습니다.

  • 도미노피자 · 381085 · 12/01/09 00:19 · MS 2017

    인문학의 가치를 폄하해서 제가 좋을게 머있다고 그러겠어요. 근데 아무리 생각해도 학원에 앉아서 특정한 관점을 강요받고 그대로 써제끼는게 가치있는 인문학이라곤 생각이 안듬.

  • Kori · 397570 · 12/01/09 00:20 · MS 2016

    그건 동의합니다.

  • 리트 · 318411 · 12/01/09 00:22 · MS 2009

    밑분이 답의 방향이 존재한다고 하시고, 님께선 특정한 관점을 언급하시는데,
    그렇게 따지면 답의 방향이 여러가지 인가요?

  • Kori · 397570 · 12/01/09 00:24 · MS 2016

    개인이 갖는 의견에 따라 방향이 여러 가지로 갈라질 수 있습니다. 이 의견에 동의하는가? 반대하는가? 삶의 다양성은 필요한가? 필요하지 않은가? 필요한 부분도 있고 아닌 부분도 있는가? 해설은 이 점을 모두 고려해서 나옵니다. 중요한 건, 답의 방향이 아무리 다양하더라도 논제에 맞는 답의 방향의 수가 많지 않다는 거에요.

  • 도미노피자 · 381085 · 12/01/09 00:25 · MS 2017

    제가 생각하기에 인문학이 답을 찾는 학문이라곤 생각하지 않는데 논술 시험에선 답을 강요하니까요. 뭐 상경계열이나.. 이쪽에서 답이 있는 분야도 있긴하지만 서울대 문과 논술에서 그런 정량적 주제는 다루지도 않으니까요. 애초에 가르치길 사람의 배경지식에 따라 보고 느끼는게 다르다고 가르치면서 너흰 이런 식으로 생각해야만 해라는 느낌의 논술을 강요하니까

  • 리트 · 318411 · 12/01/09 00:26 · MS 2009

    아아..대충 의미이해는 하겠네요
    답변다신분들 전부 감사합니다.

  • 도지삽니다 · 348401 · 12/01/09 00:17

    ㄴㄴ 문과논술이라고 해서 바칼로레아 같은게 아니라더군요

    논제가 요구하는 내용을 제시문에서 찾아서 답안에 기록해야한다고 들었음
    따라서 정답이 존재해요
    대충 글빨로 부왘 ㅠㅠ 짱 잘썻다능
    이런게 아니라 분명히 평가 요소로 나누어서 평가하는 시험이라서 ㄷㄷ

  • Kori · 397570 · 12/01/09 00:17 · MS 2016

    해설이 있습니다. 논제를 분석하는 방향, 글을 쓰는 방향을 알려주는 게 해설입니다. 그냥 그 논제만 주어진 게 아니라 제시문과 함께 주어진 거기 때문이에요.

  • 떠돌이별 · 357339 · 12/01/09 00:18 · MS 2010

    문과논술도 모범답안은 있으니까요 ㅋㅋㅋ 좋은 음악은 무엇인가 저 문제도 답이 있어요

  • 리트 · 318411 · 12/01/09 00:18 · MS 2009

    아 그렇구나 제시문을 까먹고 있었네요
    님들 감사요

  • 완 벽 · 305056 · 12/01/09 00:20 · MS 2009

    문과논술도 정답은 아니지만 답의 방향은 존재해요ㅋㅋ
    채점 기준표도 있는데요

  • jdkslvs · 398560 · 12/01/09 00:27 · MS 2011

    논술에는 답은 없지만 오답은 있습니다. 학원에서는 그런 헛소리는 하지 말라고 가르쳐 주는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 편력☆남캐 · 303670 · 12/01/09 00:29

    ㅇㅇ 오답만은 확실함 그리고 fail..

  • ajy570 · 396120 · 12/01/09 08:06 · MS 2011

    논제의 요건만 충족한다면 내용의 논리성과 타당성이 중요한 거지 내용에 딱히 제한은 없다는 게 정확하다고 봅니다.
    단 고대는 조금 예외...계네는 채점표에 핵심단어같은 거 다 표기하고 채점하는 곳이라서...

  • 햇님1 · 352121 · 12/01/09 12:39 · MS 2010

    문과논술 쓰다보면 답 좀 정해져있어요ㅠ.ㅠ 예를 들어 찬반을 논하라고 하지만
    결국 논제에서 원하는건 둘 중 하나로 정해져있음..

  • Sevolky · 333183 · 12/01/09 21:16 · MS 2017

    서울대는 그렇지 않은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