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나 님들ㅡㅡ 이거 풀수 있는지 없는지 좀 봐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554854
문제를 풀 수 있는지 없는지만 좀 봐주세요....
[가] 원자나 분자에 일정한 빛을 쏘면 에너지 흡수의 결과로, 원자나 분자는 낮은 에너지상태(바닥상태, ground state)로부터 높은 에너지상태(들뜬상태, excited state)로 이동한다. (그림생략, 전자궤도와 전자의 이동시 나타나는 전자기파의 흡수와 방출)
[나] 2008년 노벨상 화학상은 '녹색 형광 단백질'(GFP)의 발견과 발전에 대한 공로로 오사무, 챌피, 첸에게 상을 수여했다. 지구상의 생명체가 갖는 단백질 개수는 1천만 개가 넘을 것이라고 한다. 아무리 빛을 내는 특이한 단백질이라곤 하지만 일개 해파리에서 얻은 녹색 형광 단백질이라는 하나의 단백질이 효소도 아니면서 노벨상 수상 업적이라니. 언뜻 들어서는 이해가 가지 않는다. 하지만 녹색 형광 단백질이 연구에서 표식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녹색 형광 단백질을 다른 생명체에 주입하면 해파리처럼 자외선이나 청색 빛을 받을 경우 녹색의 빛을 낸다. 이 점은 과학자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다] GFP가 형광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GFP를 구성하는 전체 아미노산 3238개에서 65번에서 67번까지의 아미노산이 형광을 내는데 관여된다. 바로 세린(S), 타이로신(Y), 글라이신(G)이라는 아미노산으로 이들은 다른 아미노산이 GFP의 겉을 마치 깡통처럼 둘러싸고 있으면 그 내부에 이 세 아미노산이 존재한다. 그 결합구조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이 <그림1.>과 <그림2.>의 구조가 가능하다. (그림생략, 단백질의 구조)
두 구조상의 차이는 화학적인 구조 변화를 통해 가능하다. 아미노산 사이에 고리화와 탈수소화 반응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산소와 에너지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라] 유기 화합물들도 여러 색을 띤다. 이들은 주어진 분자구조시에서 보듯이 단일 결합과 이중 결합이 길게 번갈아 있는 경우이다. 단일 결합과 이중 결합이 번갈아 있는 결합을 콘쥬케이션 이중 결합(conjugated double bond)이라고 한다. 콘쥬게이션이 길어지면 에너지 준위 차는 작아져서 긴 파장을 흡수하고 그 보색을 낸다.
[마] (그림생략, 보색대비표)
[바] DNA 전기영동이란 DNA 저편을 크기 별로 분류하는 실험 방법이다. DNA전기영동의 원리는 매우 간단하다. 덩치가 큰 친구와 덩치가 작은 친구가 여러 가지 장애물로 가득 채워진 좁은 길을 빠져나간다고 상상해 보자. 어떤 친구가 길을 빨리 지나갈 수 있겠는가? 당연히 덩치가 작은 친구일 것이다. 상대적으로 덩치가 작은 친구가 이러한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통과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DNA전기영동도 마찬가지이다. 한천을 이용해서 묵과 같은 젤(Gel)을 만든다. 젤은 구멍이 많은 구조인데,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고체 표면에 무수히 많은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한쪽 끝에 조그마한 홈을 파고 여기에 DNA를 넣고,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DNA를 지나가게 하면 DNA는 젤을 통과하면서 크기별로 분류된다. 즉 크기가 큰 DNA는 얼마 이동하지 못하고, 크기가 작은 DNA절편은 보다 많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DNA절편을 이동시키는 힘은 전기력을 사용한다. DNA는 무수히 많은 인산기가 존재하고, 각 인산기는 (-)전하를 띠고 있다. 따라서 한쪽 끝 DNA를 넣는 위치에 (-)극을, 반대쪽에 (+)극을 연결하고, 전압을 걸어주면 DNA는 (-)극에서 (+)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논제1)
물질이 빛을 내는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형광(fluorescence)이라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밤에도 빛을 내어 야광이 나타나는 인광(phosphorescence)이 있다. 이러한 차이는 에너지와 전자의 에너지 흡수, 방출과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 둘 사이의 차이점에 대해서 서술해 보시오.
위에 있는 제시문만으로 이 논제를 풀 수 있나여?
아무리 찾아도 근거가 없음..ㅡㅡ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최상위권에선 영향력 좆됨 반박안받음
-
콩나물라면 0
해장용 개꿀딱
-
이제 선배네... 으악 나도 새내기할래
-
경북대 합격 7
아무도 축하 안해줘서 여기다 올린다
-
눈물에 베인 것 처럼
-
우리는 대충 1대1인것같은데 분위기보니
-
심심이슈 3
대학붙으니까 오르비를 안보게되다가 대학을안가니 다시 보게됨
-
결과가 동률이다 3
11시까지 댓글에 추천 많은 팀을 택하겠다
-
어 난 5수야~~~
-
맞팔9 0
닉이랑 프사 바꾼 기념으로 구해봐요
-
ㅈㄱㄴ
-
뭔가 26수능때는 뉴스를 의식해서라도 22번 난이도를 낮추고 준킬러 위주로 변별하여...
-
이거 왜 이렇게 어려운거 같지…. 멍청이라 그런건가요
-
미적 77인데 26수능은 확통런이 맞을까요?
-
쿠쿠리
-
미필4수 3
미필 4수면 공대 갔을 때 앞으로가 많이 힘드나요? 재수해서 냥대 높공 갔고 3반수...
-
iq 90이라서 울었어
-
...
-
빗살무늬토기 같은데 신석기시대 가르치는 신석기인ㅋㅋㅋㅋ
-
동성이 아니라 이성이라 모르겟네…ㅜ 연인 x
-
30분을 밖에서 싸돌아댕김
-
최고기록 갱신 3
120점 할 수 있을까...
-
오늘 강대 스투랑 시대 대치 재종 둘다 성적순으로 대기접수했습니다. 인문계인데...
-
070 아니죠?
-
수시로 이대 경영이랑 경희대 자율전공붙었는데 결국 이대 갔는데 점공보니까 이대...
-
아주대 공대 4
가시는분 팔달관에 식당 있는데 만두라면 해장용으로 좋음 콩나물이 많이 들어서...
-
강민철 선생님은 예외입니다
-
이미 해봤음 ㅇㅇ
-
어떻게 올라프를 풀고 원딜은 비원딜챔 미드는 클레드 진짜 내눈이 잘못된줄 알았음...
-
ㅈㄱㄴ
-
사탐 과목 변경 0
생윤 너무 안맞는거같아서 생윤바꿀려는데 세제나 한지중 머가좋을까요 사문 세지가 베스트일까요
-
인제의 541이 전원불합인가? ㄹㅇ? 헐 진학사 540잡았는데 이거 ㄹㅇ이면...
-
냄새나
-
괜찮아 어휘편 0
문장 읽어서 복습하라던데 너무 오래걸리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
암튼 공포 극복 성공함
-
재종에서 집으로 ㄱㄱ혓
-
다군은 워낙 빵난거 유명해서 공자전 뺴고 아시는 거 있으면 공유좀요~~!!
-
32111이면 0
ㅇㄷ가나요 백분위 대략 83 92 1 99 99면
-
홍대 0
홍뱃 빨리달라노~ 오늘은 아주대에 자퇴서를 내고 학식으로 순두부찌개 만두라면 쫄면을...
-
삼수도 괜찮은데 ?
-
간혹 가다 유리한 게 나올 순 있는데 평교사경은 딱히..
-
그냥 수1으로 풀리길래 수1으로 풀었는데 풀이에 이상없는지 궁금합니다 !!
-
Ebs에서 돈 잘 벌리는 사업 접고 왜 가업 잇는 가게 운영하냐고 계속 돈돈 거리는...
-
적어도 몇점까지는 맞아야한다 하는 마지노선점수가 있나요??? 보통 1등급컷이...
-
새터신청 아직 안끝남 낼이라도 ㄱㄱ
-
1등급들 모여라 4
일단나부터
-
아이고
-
한티역에서 3
맥주마시기
ㅋㅋㅋ답없네//어디학원입니까
형광,인광ㅋㅋㅋ 저거만 읽고 에너지방출량의 차이인걸 알아낼수있나?
ㅍ린ㅋ피ㅇ 요......ㅠㅠㅠㅠㅠ
저 논제1번부터 멘붕함
ㅎㅎ;;저거 너무 독하네요..
저도 처음에 봤을땐
형광,인광이 뭔지도 몰랐는데...
제시문...이건 선생의 실수가 아닌가 싶네여...;;ㅋㅋㅋ설대도 이렇게까지 배경지식 요구하진 않을거 같은데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좀 심히 검토를 안하신 듯ㅠㅠ
프린키피아 그만 다니고 미탐 가셔요. 아님 피지에이도 뭐 괜찮고...
어...프린ㅋ피....ㅋ
같은학원이네옄ㅋㅋㅋ
같은반 아님?ㅋ
저거 미탐 유호진샘이 작년 연대파이널때 들고온거같은데...
문제는 돌고 도나여..?
음... 뻘말이지만...
형광은 빛이 있을 때도 보이고, 인광은 빛이 없을 때 보이니까...
좀 에너지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ㅇㅇ..근데 그게 제시문에서는 찾을 수 없잖아여..ㅠㅠ
형광은 가시광선(제시문에 예시 있는 듯...)이 비춰지면 나오고여.,,, 인광은 밤에(논제에나옴..) 보인다고...
????????????
ㅋㅋ인광이 밤에나오니깐,,
에너지 받은 것을 저장해뒀다가 나중에 약하게 방출한다..
이건 상당히 심한 추론을 요구하는거 아닐까요...?
21문제 이런식으로 나오면 뤠알 멘붕..
근데 이 차이가 에너지와 전자의 에너지 흡수, 방출과 관련이 있다니까, 유추할 만할 듯...
글구 야광 솔직히 대부분 알지 않을까요,,,,,
와 ㅋㅋ 여상진에서도 색광 형광 인광 구분하는문제 줫었는데 ㅋ 학원마다 문제가 다 비슷비슷한가보네요 ㅋ
형광은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방출하고 인광도 저장했다가 금 더 늦게 더 낮은준위에서 방출한다고들었는데 ㅋ 야광이 인광이라고 들었던것같음 ㅋ
프린키피아=박만규 ㅇㅇ
박만규???킁킁이??ㅋㅋㅋ 클날뻔했네 ㅋㅋ 거기갈뻔햇는데 ㅋ
무슨무슨 권택인가 그럴껀데요...ㅎㅎ
고권선생님하구요
박만규선생님이 프린키피아에서 선생님데려와서 수업했엇음
ㅇㅇ맞아여 형광은 빛을 받은 후 찰나의 순간에 다시 빛을 방출하고요
인광은 빛을 받고 에너지준위가 높아질 때 업스핀상태의 전자가 다운스핀상태로 바뀌어서 조금 더 낮은 준위에서 다시 업스핀 상태로 바꾼 다음 바닥상태로 되면서 빛을 방출합니다.....
이게 오늘 수업 내용이었습니닼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와 ㅋㅋ 근데 이건 완전 지식을 물어보는거네 ㅋㅋ 제시문을 왜주는거지요 ㅋ 여상진꺼는 그래프로 주던데
근데 이걸 저걸로 어덯게 풀지 ㅋ
ㅋㅋㅋㅋㅋ 못푸는문제인듯
개인적인생각인데
형광 - 자외선,청색(짧은파장,긴진동수)-단백질
이중결합이 길어지면 긴파장흡수-보색
그.. 파장흡수하고 방출할때 에너지준위 차이가 진동수랑 비례하니까...
이런차이인가;;저는잘모르겟네요ㅠㅠ
솔직히 풀 수 없는 문제인듯 한데요..
형광물질이 가시광선 자외선 다 흡수하지 않음??
제시문에는 GFP가 자외선과 청색을 흡수한다고 합니다..ㅠ
솔직히 학원문제들보면 제시문에 근거하지않고
그냥 냅다 던져놓고 풀어라하는 문제들 많아요 ㅋㅋㅋ..
정작 제시문에 나온 정보라고는 단위 정도?ㅋㅋㅋㅋ
수리 논술도 학원문제들 보면
그냥 경시대회 서술형 보는거같음...
ㅇㅇ공감합니다
수리논술에 고른연속, 절대연속 나와서 식겁했음..
첨삭할 때 수학과 2학년들이 배우는거라면서 못 푸는게 당연하다면서 얘기하시는게 그냥..
멘붕하려고 돈 주는거 같아요
저도 막 옛날에 파푸스굴딘정리도하고
또 뭐지 복소평면 이런거했는데
기출문제 성격이랑 너무 다른것같아요.
그냥 똑같은 소재 나오는거 잡으려고 다니는중..
익숙한 소재있으면 그래도 읽기는 편해질테니까요 ㅠ
제 상식으로는...;; 보이는 빛만 다룬다면 형광은 비교적 진동수가 큰 빛을 특정 물질에 쬐었을 때 그 에너지를 흡수한 뒤 거의 즉각적으로 가시광선으로 방출하는 것(즉 빛이 있을 때 나타남)이고.. 인광은 주변에 충분한 빛에너지가 존재했을 때 특정 물질이 그 에너지를 흡수했다가 주변의 빛 에너지가 좀 감소한다거나 해도 서서히 가시광선을 다시 방출하는 것... 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헛헛... 학원에선 이런 문제를 풀라고 하는 건가요.... 두뇌회전은 잘 되시겠어요
+인광문제하니까 생각나는데요.. 인광이 발현되기 위해서는 일단 물질이 빛에너지를 흡수하는 단계가 필요한데 그렇게 흡수하는 동안에도 계속 가시광선을 방출할까요? 문제 아닙니다...ㅜㅜㅜ 제가 몰라서 묻는 거임
얼핏 들은 바로는 흡수할 땐 형광과 같이 순식간에 흡수하고, 방출할 땐 들뜬 에너지준위 상태의 전자궤도에서 바닥상태의 에너지준위를 가지는 전자궤도까지 한번에 내려가지 않고 다른 특정한 궤도를 거쳐 내려가기 때문에 빛을 낸다고 하더라고요.
즉 흡수할 땐 방출 할 수 없겠죠
아아....ㅋㅋ 이것도 에너지준위랑 관련된 부분이었군요..(제시문 안 읽음....ㅎㅎ;;) 감사합니다~~ㅋㅋ 같이 불논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