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의 연세대 [905654] · MS 2019 (수정됨) · 쪽지

2019-11-08 12:35:18
조회수 726

가형황분들) 메인에 가형 적당한 새끼가 전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5261186

진짜 1~4 다 받아봐서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무서운데 

안정 2라도 꼭 받고싶은데 조언해주실거 있나요... 

안되면 좌표로 풀라든지 확통이랑 삼각함수 극한은 검토 꼭하기 이런거요ㅠㅠ 진짜 올해 입시 끝내야되고 너무 간절해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귀여운오르비언이좋아 · 827106 · 19/11/08 12:48 · MS 2018

    검토할땐 첫 풀이랑 다른 방법으로 풀기
    특히 확통

  • 14일의 연세대 · 905654 · 19/11/08 12:57 · MS 2019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경우의수/경우의수로 했으면 확률로 다시풀어보기 이런거죠?

  • 귀여운오르비언이좋아 · 827106 · 19/11/08 13:06 · MS 2018

    넵 아니면 세는 방식을 다르게 하는것도 좋고요
    그리고 확통 말고 딴거는 구한 답을 문제에 대입해서 진짜 그게 나오나 확인하는것도 좋고

  • 14일의 연세대 · 905654 · 19/11/08 13:11 · MS 2019

    정말 감사합니다 !!
  • D-44대박기원 · 893827 · 19/11/08 12:54 · MS 2019 (수정됨)

    9평 100인데요 저는 문제를 풀기 전에 큰그림 한번 봤음 좋겠어요. 예를 들어 9평 15번인가 지수로그함수 문제요. 전 보자마자 계산하지 않았고 평가원이 이걸 괜히 주지 않았을거라 믿고 도형 평행이동 대칭이동해보니까 바로 90도 회전인걸 발견할수 있었거든요. 그리고 수학문제를 푸는 일종의 정해진 루트같은거 많이 정리해두면 좋을거같아요 예를 들면 이등변삼각형 나오면 무조건 수선의발내리고, 공간상에 한 구와 한 점이 나오면 구의 중심과 점 사이의 거리랑 구 반지름 구해서 대소비교한다던지요

  • 14일의 연세대 · 905654 · 19/11/08 12:58 · MS 2019 (수정됨)

    자ㅏ세한답변 정말 감사합니다ㅠㅠㅠ 제가 실모를 5개정도밖에 안풀었는데 남은기간동안 하루에 1-2개씩 풀면서 감각올리고 루틴정리하는거 어떻게생각하시나요...?

  • D-44대박기원 · 893827 · 19/11/08 13:04 · MS 2019

    저는 사실 하루에 수학실모 1개식 풀기도 벅차요 ㅠㅠ 다 풀고 채점하고 복기에 이것저것 하고나면 3시간?은 훌쩍 가더라구요.. 만약 다른과목에서 공부시간 빼올수 있다면 그래도 3,4일 정도는 실모 푸시는게 좋을것같아요. 실모로 풀이 방향성이랑 제가 말했던 정해진 루트 생각해보면서 퓰어보세요!!

  • 14일의 연세대 · 905654 · 19/11/08 13:05 · MS 2019

    감사합니다 하루에 한개는 무조건 해야겠어요 !!
    수능도 꼭 100점 받으세요
  • D-44대박기원 · 893827 · 19/11/08 13:05 · MS 2019

    제가 올햐 수능 처음보는거라 정확한 진단?같은건 경험이 없어서 해드릴수는 없을거같아요 죄송해요 ㅠㅠ

  • 장수생19 · 917817 · 19/11/08 14:08 · MS 2019

    군 전역후 수능 한번 다시보겠다고 뛰어들게된 모 반수생입니다.
    다른분들이 많이 얘기해주셨지만 시험볼 때 마인드에 관해서 말씀드리자면은
    1. 확률과 통계 단원에서 경우의수, 확률 문제를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풀어내야 시간이 많이 세이브 되서 안정감있게 20 21 29 30 을 풀어 나갈 수 있을 겁니다.
    2. 2등급이 목표이시니 30번을 포기한다는 가정하에 나머지 문제를 다 푼 후에, 경우의 수, 확률 문제, 삼각함수의 극한, 로그문제 지수 밑 조건 잘 맞췄는지 이 4가지 꼭 체크하셨음 합니다.
    3. 간혹 27번, 28번, 19번에 툭하고 튀어나오는 조잡한 도형을 이용한 삼각함수 극한문제 잘 모르겠다 하시면 무조건 바로 건너뛰고 다음문제 푸시구요. 다시 돌아와서 풀 때는 꼭 몇가지를 체크합시다.
    <필수 보조선 꼭 그리기, 평행, 원주각, 삼각형의 외각(외각은 인접내각 을 제외한 나머지 두 각의 합과 일치), "중선정리"> 이정도 체크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4. 조잡한 타원곡선이나 포물선 문제 막혔을 때 체크해야할 몇가지 사항을 말씀 드리자면 <중선정리, 필수 보조선 꼭 그리기 그래도 안풀린다면 X축 Y축에 수선을 내려서 닮음 비>
    로 풀어나가시면 됩니다.
    5. 29번 기벡문제(공간도형) 팁을 드리자면 가장 정석적인 좌표도입, 벡터의 분할, 정사영 정도가 있겠네요.
    6. 시험 직전까지 6평 9평 모의고사나 풀었던 모의고사 보면서 조금이라도 막혔던 부분에 대해 내가 이런 문제에서는 뭘 떠올려야 하는지를 잘 정리해 가시면 됩니다.

    한 줄로 요약하자면 자신만의 알고리즘이나 계획을 세워가고 시험 직전에 꼭 되새기시고 시험 치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확통 정확하고 빠르게 푸는건 덤 ㅎ..)

    P.S 방금 수학 실모 한번 풀어보고 막상 떠오른 생각이 이것밖에 없네요 ㅠ..

  • 14일의 연세대 · 905654 · 19/11/08 15:04 · MS 2019 (수정됨)

    자세하게 알려주셔서 진짜 너무 감사합니다!! 정말 도움 많이됐어요
  • djeod · 829580 · 19/11/09 00:21 · MS 2018

    저 혹시 4등급대에서 기출3개년 정도 분석하려고 하는데 29 30도 분석해야하나요?? (목표3)

  • 장수생19 · 917817 · 19/11/09 20:18 · MS 2019

    목표 3등급이시면 29 30은 제외하고 하셔도됩니다. 단 시간이 남으실 경우는 30번은 버리고 29번 은 조금씩이라도 보시는게 나을껍니다. 어차피 29번은 기벡 높은 확률로 공간벡터, 낮은 확률로 평면벡터 문제일꺼라서 어느정도 기틀을 잡을 시간이 있다면은 무조건 하는게 맞습니다. 솔직히 제 수능 시험 볼때가 1컷이 100점인 사태가 일어난 시험이라서 막말로 "29번 버려!" 라고 말씀드리기가 무섭네요. (제 기억으로는 그때 3등급도 엄청 점수컷이 높았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래도 시간적 여유가 없으시면 29번 30번은 버리시는게 맞습니다. 16번과 29번은 같은 4점이거든요.

    P.S 답변 늦어 죄송합니다. 요새 한국사 벼락치기한다고 정신이 없었네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