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ongihs [906745] · MS 2019 · 쪽지

2019-11-08 08:43:42
조회수 209

생윤 질문이요 ㅜ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5260090


 롤스는 통치 체제가 부정의할 경우 시민에게 저항의 권리가 있다고 본다. 라는 선지와

롤스는 체제의 합법성을 인정하는 시민이 정부에 불복종할 수 있다고 본다. 라는 선지 모두 참인데요.


 체제 부정의 -> 저항 권리 생기지만 체제를 바꾸려고 하는 것x 을 의미하는 건가요? 둘이 모순되지 않은 문장인지 궁금해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침침착맨 · 905555 · 19/11/08 08:57 · MS 2019

    위에는 체제가 아주 부정의할 때고
    밑에는 체제나 구조는 거의 정의로운데 제도 몇개가 부정의한 경우에요
    위에는 저항권을 얘기하는거고
    밑에는 시민 불복종을 얘기하는겁니당
    상황의 심각성에 따라 저항권이냐 시민 불복종이냐를 나눈거라 두 개념을 합쳐서 이해하시면 안되고 다른 개념으로 봐야해요

  • gooongihs · 906745 · 19/11/08 09:07 · MS 2019

    저항권과 시민불복종은 정확히 어떻게 다른가요? ㅠㅠ 별게 다 헷갈리네요

  • 침침착맨 · 905555 · 19/11/08 09:22 · MS 2019

    저항권은 체제에 저항
    시민 불복종은 제도에 불복종
    예를 들자면 위에거는 자본주의 체제가 너무 부정의하다 생각해서 다른 사회체제로 바꾸려고 들고 일어나는 개념이라면
    밑에거는 자본주의체제는 거의 정의로운데 입시제도가 좀 불합리한거 같아서 1인 시위 같은 행위로 불복종하는거죠

  • gooongihs · 906745 · 19/11/08 09:34 · MS 2019

    아 완벽하게 이해했어요 감사합니다 ㅠㅠ 개념 빵꾸난 거 찾았네요 수능대박나세요

  • 칼마르크스 · 742994 · 19/11/08 12:14 · MS 2017

    저항은 폭력혁명 개념이고(다흔들어엎음) 시민불복종은 그냥 법을 지키지 않는 행위에요 (롤스에 따르면 비폭력적이고 공개적 위법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