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tr [889220] · MS 2019 (수정됨) · 쪽지

2019-11-05 21:46:24
조회수 1,170

6모 경제지문 이해가 안돼요 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5227502


용어는 이해를 했는데, 중간에 밑줄 친 "이때, 거시 건전성 정책~..." 문장이 무슨 말인지 못 알아먹겠는데 순한맛으로 바꿔서 설명해주실 착한 분 계신가요 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귓밥천국 · 875282 · 19/11/05 21:49 · MS 2019

    시험장에서 저런거 신경쓰면 망해요..미시건전성과의 차이점을 설명하기위한 설명인거같습니다
    밑 문장에 좀더 쉽게 서술돼 있네여

  • mentr · 889220 · 19/11/05 21:51 · MS 2019

    아 저런거 일일이 신경 안쓰는게 맞는건가요ㅠ? 풀 때 무슨 소린지 모르겠어서 패스하긴 했는데 지금 다시 봐도 이해가 안돼서요..

  • 가공 · 871692 · 19/11/05 21:54 · MS 2019

    저도그냥 이해안하고 거시랑 미시 대비잡고 읽었어요

  • 미분가능성 · 800120 · 19/11/05 21:55 · MS 2018 (수정됨)

    미시 건전성 유지 -> 거시 건전성 유지라는 명제가 항상 성립하지 않는다는 뜻이에요
    구성의 오류 단어 빼고 읽으시면 좋을 거 같아요
    따라서 미시랑 거시는 서로 구별된다 이런얘기

  • 냐모 · 918129 · 19/11/05 21:58 · MS 2019

    전체 금융 시스템이 문제가 없다고해서 개개의 금융회사들이 문제가 없다곤 말할 수 없다 이런 뜻이에요
    미시건전성은 회사별로 금융안정 시켜주는거고 거시는 시스템 전체를 안정 시켜주는 거잖아요

  • 냐모 · 918129 · 19/11/05 22:03 · MS 2019 (수정됨)

    대충 알아듣게 예시를 잡자면
    둘 다 꼴통인 반이라서 평균이 20점대인 학교라 치면
    미시건전성은 a반 학생 하나 하나 공부시켜서 한 명당 20점씩 올린거면
    거시건전성은 스타강사 한 명이 학교와서 b 반의 평균 점수를 30점 올려줬다 치면
    b반은 싹다 30점 오른게 아니라 누군 60점 누군 10점 누군 점수 도로 0점되고 해서 그 평균이 50점이 된거죠 즉 학생 하나하나 성적을 올리는 미시건전성을 B반은 장담 할 수 없음 이런느낌

  • 김동사 · 804992 · 19/11/05 21:59 · MS 2018

    충분 조건 맞족한다는게 A면 B다
    이런거일거예요

  • 김동사 · 804992 · 19/11/05 22:00 · MS 2018

    그리고 B가 좀더 포괄적인고요

  • 깨자 · 901901 · 19/11/11 21:36 · MS 2019

    미시정책이 개별기업차원에서 정책실시하는건데 그걸론 거시건정성 즉 시스템 전체적인 안정을 이루기 충분치 못하니까 따로 거시건정성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 구성의 오류라는건 맥락상 음.. 예를들어 반 애들 하나하나는착한데 모아두면 개판이되는 그런 현상에 비유할수 있을듯요. 기업 하나하나 신경써도 전체적으로 보면 폭망할수도 있다! 요런 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