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락만을 이 틀린거에여 우리가 살인범을 집에 숨겨줬다고 생각해봅시다 그리고 경찰이 찾아와서 숨겼냐고 물어봐요 여기서 따를 수 있는 규칙은 1. 알려준다 2. 안알려준다 에오 알려줄 경우 공익을 지키지만 배신을 했다는 죄책감에서 고통이 오겠죠 안알려줄경우 국가의 공무집행을 방해함으로써 고통이 오는거죠 그렇다면 규칙 공리주의는 여기서 쾌락을 더 극대화하고 고통이 더 적은 규칙을 따르라고 하는거에요 즉 순수한 쾌락만을 추구하는 규칙을 따르라는게 아닌거죠 규칙공리주의가 행위공리주의의 한계인 도덕적 직관에 부합하지 않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것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겠죠?
븅신 ㅋㅋ
쾌락하면은 추운 겨울날 뜨끈한 국밥에 흰 쌀밥 반은 말고 반은 공기에 두고 번갈아가면서 먹는거지
맞말 ㅇㅈ
더 많은 쾌락을 산출할 수 있는 규칙을 중시하는거지 고통이 없는 순수한 쾌락만을 중시하는건 아니라서가 아닌가 싶네요 근데 좀 지엽적인 것 같아요
그렇군요
고통을 최소화 하고 쾌락을 극대화 하는 규칙에 따르세요
순수한 쾌락이 틀린 이유가 뭘까요
쾌락만을 이 틀린거에여 우리가 살인범을 집에 숨겨줬다고 생각해봅시다 그리고 경찰이 찾아와서 숨겼냐고 물어봐요 여기서 따를 수 있는 규칙은 1. 알려준다 2. 안알려준다 에오 알려줄 경우 공익을 지키지만 배신을 했다는 죄책감에서 고통이 오겠죠 안알려줄경우 국가의 공무집행을 방해함으로써 고통이 오는거죠 그렇다면 규칙 공리주의는 여기서 쾌락을 더 극대화하고 고통이 더 적은 규칙을 따르라고 하는거에요 즉 순수한 쾌락만을 추구하는 규칙을 따르라는게 아닌거죠 규칙공리주의가 행위공리주의의 한계인 도덕적 직관에 부합하지 않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것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겠죠?
아 이제 좀 이해가되네요 감사합니다
순수한이 아니지 안항요?
규칙공리주의라고 순수한쾌락이 아닌걸까요?? 어쨌든 공리주의인데.. 순수한 쾌락이 왜 틀린건지..
고통 최소화, 쾌락 극대화 '규칙'에 따르라 했으므로 규칙 공리주의인데요 4번 선지는 순수한 쾌락이라 하잖아요? 그러면 이건 그냥 양적 공리주의라 안 맞는 거에요
그런건가요..
아니면 이런 관점에서 보셔도 되요 고통을 최소화하지 않고 쾌락만 극대화하라고 서술하고 있으므로 고통 최소화, 쾌락 극대화를 지향하는 공리주의의 의의에 맞지 않는다
따라서 틀리다
네 이제 좀 알겠네요 설명 감사합니다
네^^
규칙 공리주의에서 말하는 규칙도 결국 공리주의 입장으로서 쾌락 최대화, 고통 최소화를 지향하기에 고통이 없는 규칙 ‘만’을 산출해야만 한다는 점이 틀린 것 같네요. 약간의 고통과 큰 쾌락을 불러일으키는 사례가 있을 수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