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눌(知訥) [790812] · MS 2017 · 쪽지

2019-10-13 17:07:34
조회수 2,287

연대 경영 복기함 ㅋㅋ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4950344

1-(1) 소문 발생이 불가피하다 보는 (가), (나) 그렇지 않다는 (다)로 나뉜다. 어쩌구 저쩌구 요약. 그리고 공통적으로 (가)와 (다)는 소문이 꾸며진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가)는 이를 비판하지 않는 것과 달리 (다)는 비판한다. 


1-(2) <이거 아마 흄인 듯> 

(a)에서 볼 때 (가)와 (다)는 치우친 인식이다. 

(가)는 지식의 불완정성을 지나치게 강조한다. 지식은 실제에 대한 감각적 기억임으로 불완전 하다는 점에서 (가)에서 주장한 지식의 진위 판단의 모호성은 적절하다. 그러나 (a)에서 말한 것처럼 불완전한 지식이라도 지식 간 진위 판단은 가능하다. 따라서 지식의 진위 판단성을 전적으로 부정한 (가)는 타당하지 않다. 

반면 (다)는 지식의 완정성을 지나치게 강조한다. 


2-(1) 

(라)에서는 새로운 소문이 기존의 소문보다 수가 많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두 소문 모두 그 수가 양 끝 값인 높은 적합성과 낮은 적합성에 몰려 있다. 

 먼저 새로운 소문이 기존의 소문보다 높은 수를 가지는 것은 (나), (다) 모두와 부합한다. (나)에서는 새로운 사건에 적응하기 위해 인간이 소문을 만든다고 말하는데, 새로운 소문이 새로운 사건에 대한 것이라는 점에서 그 경향성이 드러난다. (다)에서는 새롭고 자극적인 소문을 찾는 사람들의 성향을 보여주는데, 이런 점에사 새로운 소문이 기존의 소문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2-(2) 

 f와 g 그래프는 <1>과 같다. 이는 거짓인 소문이 사실인 소문보다 퍼질 확률이 높음을 보여준다. <2>는 사실인 소문이  거짓인 소문의 기울기 즉 확률이 증가하는 정도가 x=1~9에서 큼을 보여준다. 또한 거짓인 소문은 x가 11 이상부터 0의 확률을 가지는 것도 보여준다

 이 두 조건을 합치면 거짓인 소문이 사실인 소문보다 빠르고 높은 확률로 전파되고 x=11 이상부터는 퍼지지 않음을 뜻한다.

 이를 (가)와 비교할 경우 부합하는 것과 부합하지 않는 점 모두 드러난다. 우선 거짓인 소문이 사실인 소문보다 높은 확률과 빠르게 퍼지는 이유는 (가)와 부합한다. 이는 (가)에서 말하 듯이 꾸며진 소문 즉 거짓인 사건일 수록 흥미가 높아서 빨리 퍼지기 때문이다. 반면 거짓인 소문이  x=11 즉 1100부터 퍼지지 않는 이유는 (가)와 부합하지 않는다. (가)에서는 소문의 진위를 판별하지 못 한다 말한 점에서 흥미로운 거짓 소문이 지속적으로 펴져나간다고 말한다. 그러나 거짓 소문은 1100명 이상인 사람부터 퍼져나 나가지 않음으로 상반된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