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노예 [851738] · MS 2018 · 쪽지

2019-09-26 23:04:16
조회수 562

이카루스 지구과학 1회 18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4754768

외계 행성의 시선 속도라는 말을 쓸 수 있나요? 시선 속도는 도플러 효과 편이량으로 구하는 것으로 아는데, 빛을 내지도 않는 외계 행성의 시선 속도라는 표현 자체가 옳지 않은거 아닌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가톨릭대학교 의예과 · 884455 · 19/09/26 23:06 · MS 2019

    시선속도로 편이량을 구할 수 있는거구, 둘은 구분되는 개념이에요
    시선속도는 말 그대로 멀어지나 가까워지나를 수치화 한 거구요

  • 정식노예 · 851738 · 19/09/26 23:08 · MS 2018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다는게 별빛의 스펙트럼 변화를 분석하는건데, 편이량으로 시선속도를 구하는게 맞지않나요

  • 산골소년 · 858126 · 19/09/26 23:07 · MS 2018

    거기서도 장파복사는 하죠

  • 정식노예 · 851738 · 19/09/26 23:15 · MS 2018

    그걸 직접 관측하는게 거의 불가능한것 아닌가요 그래서 간접적으로 탐사하는거고

  • 산골소년 · 858126 · 19/09/26 23:51 · MS 2018

    시선속도가 눈에 보이는거랑은 아무 상관없는거 아닌가요...
    지구 기준 천체가 움직이는 속도니까
    그냥 그 천체가 내는 빛의 파장이랑 그 편이량을 보는거고
    장파라도 전파망원경 같은걸로 관측할수있죠

  • 정식노예 · 851738 · 19/09/27 18:04 · MS 2018

    행성이 빛을 내지 않는데 빛의 파장과 편이량을 관측할 수 없지 않나요? 별빛의 편이량도 망원경으로 관측하는건데 외계행성을 직접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었으면 굳이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관측했겠죠.
    그리고 이름이 시선속도인데 눈에 보이는거랑 상관없다는것도 좀 그렇지않나요

  • 산골소년 · 858126 · 19/09/27 22:14 · MS 2018

    행성이 빛을 내긴 하는데 파장이 너무 길어서 그걸 볼 망원경기술이 없는거죠
    실제로 지구도 장파복사를 내기는 하는 것처럼요
    그리고 시선속도를 '시선방향의 속도'라고 생각하면 될듯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