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카루스 지구과학 1회 18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4754768
외계 행성의 시선 속도라는 말을 쓸 수 있나요? 시선 속도는 도플러 효과 편이량으로 구하는 것으로 아는데, 빛을 내지도 않는 외계 행성의 시선 속도라는 표현 자체가 옳지 않은거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D-20 동기부여★★★ 외국어5등급 인서울 포기하지마.. 대치동 마선일영어학원장 ▶▶동영상강의 0
희망의 밧줄을 놓지 말자.수능대박이라는 말이 왜 나왔을까? 생각해 보신적 있나요....
시선속도로 편이량을 구할 수 있는거구, 둘은 구분되는 개념이에요
시선속도는 말 그대로 멀어지나 가까워지나를 수치화 한 거구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다는게 별빛의 스펙트럼 변화를 분석하는건데, 편이량으로 시선속도를 구하는게 맞지않나요
거기서도 장파복사는 하죠
그걸 직접 관측하는게 거의 불가능한것 아닌가요 그래서 간접적으로 탐사하는거고
시선속도가 눈에 보이는거랑은 아무 상관없는거 아닌가요...
지구 기준 천체가 움직이는 속도니까
그냥 그 천체가 내는 빛의 파장이랑 그 편이량을 보는거고
장파라도 전파망원경 같은걸로 관측할수있죠
행성이 빛을 내지 않는데 빛의 파장과 편이량을 관측할 수 없지 않나요? 별빛의 편이량도 망원경으로 관측하는건데 외계행성을 직접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었으면 굳이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관측했겠죠.
그리고 이름이 시선속도인데 눈에 보이는거랑 상관없다는것도 좀 그렇지않나요
행성이 빛을 내긴 하는데 파장이 너무 길어서 그걸 볼 망원경기술이 없는거죠
실제로 지구도 장파복사를 내기는 하는 것처럼요
그리고 시선속도를 '시선방향의 속도'라고 생각하면 될듯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