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황님들 설명부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4676703
k에서 교점은 당연히 가지고 y=f(k)가 f(x)랑 접하니까 f'(k)=0해서 g(k)를 구하려고했는데 식이 하나더 필요한거같은데 뭐가 잘못된걸까요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방대2년제 졸업 후 편입을 고민하고 있는 편입초보자입니다.. 대형편입학원 정보 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4676703
k에서 교점은 당연히 가지고 y=f(k)가 f(x)랑 접하니까 f'(k)=0해서 g(k)를 구하려고했는데 식이 하나더 필요한거같은데 뭐가 잘못된걸까요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지방대2년제 졸업 후 편입을 고민하고 있는 편입초보자입니다.. 대형편입학원 정보 좀...
2차함수 판별식이 0보다 작다?
아니어도 상관없지 않나요..어차피 e x승이 곱해져서 점근선이 0인데?
f(x)가 0보다 크다는 건 x축과의 교점이 없다는 얘긴데
e의 x승은 당연히 x축과의 교점이 없고
교점이 생길 여지가 있는 건 2차함수밖에 없으니까 판별식이 0보다 작다는 걸 활용해야하지 않을까용
이차함수 판별식이 0이상이면 f가 0이되는 부분이 생김
간단한게 (x+1)^2*e^x 만 봐도 -1에서 0임
ㅇ
이거 18년 대성 모의고사 3월 30번이었을 텐데 ㄷㄷ
고인물이라 비슷한거 최소 한 번 이상 풀어본듯 아 ㅋㅋ
기울기0짜리 변곡접선을 가져야해요
그게 왜 그렇게 되는지 이해안되는중 ㅠㅠ
함수개형 뚝딱그려보면 3개중 하나일텐데 나조건 만족하는건 2번개형밖에 없네용
x가 -무한대로 가면 함수값이 0으로가고 x가 무한대로 가면 함수값이 무한대로 가니까
만약 x=k에서 변곡점이 아니고 극대값이나 극소값을 가진다면 다른 지점에서 무조건 한번은 변곡점을 가져야 함.
근데 그게 불가능
이거 답이 뭐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