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준T 브크 핵심이 스키마라고 생각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4667513
남은 시간 국어만 할 수 있어서 늦게나마 브크 듣고있는데
스키마(type of, CE DC 등등)를 그리든 떠올리든 그런거에 초점을 두어야하는지
3원칙, 이항대립 이런게 핵심인지 모호하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4667513
남은 시간 국어만 할 수 있어서 늦게나마 브크 듣고있는데
스키마(type of, CE DC 등등)를 그리든 떠올리든 그런거에 초점을 두어야하는지
3원칙, 이항대립 이런게 핵심인지 모호하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3원칙은 어차피 선지를 지워나가는 과정에 이름을 붙인거고
이항대립은 어느누구나 다 쓰기에
그게 초점은 아니라고 생각해용
스키마 떠올릴수 있도록 계속 연습?
음 오늘도 다시 들어봤는데요
스키마를 쓸때 시험지 여백이든 머릿속이든, 시험지본문위든(이건 기판력해설 참고)
문장읽고나서
type인지 part인지 분간하는것(사단법인해설 참고)
출제자가 뭘 말하고싶어했는지
본문 읽으면서 이부분이 출제되겠다 싶은 부분캐치하기
이런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중요한게 솔직히 많아서요ㅠ
(이건 사족인데 나중에 지문별로 중요하게 여겼던걸 정리해볼까도 싶어요
「기판력같은경우 -1)양도추론, 2) 법지문에서의 예외와 원칙
3)올해 3월 이의제기」)
결국 스키마가 핵심이군요
원준쌤 뇌피셜
Type of part of 따지지말라
CE DC 구분하지말라
그냥 스키마가 머리속에 자연스럽게 그려지고
이항대립이 느껴지면 된대요
type part를 따지지 말라하셨다고요???
네 연습때는 따져도 실전에서는 굳이 따지지 말고
그냥 스키마에 녹이라고 하셨어요
아아
그냥 가장 중요한건 정보가 그냥 숙숙 들어오게 하는것? 너무 추상적이네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