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러들 심심하면 OX 풀고가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4607183
나중에 답글로 정답 알려드림
1. 베이컨은 인간이 자연에 복종할 것을 강조한다.
2. 왈처는 전쟁을 평화적 수단이 끝나 후의 최후의 수단으로 여긴다.
3. 마르크스는 결과적 평등을 강조한다.
4. 요나스는 인간이 다른 생명체에 대해 모종의 우선권을 갖는다고 생각한다.
5. 통일비용을 사용하면 즉시 통일편익이 발생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oxxxx?
2개틀리심
XXXOX
2개틀리심
x
x
x
o(?)
x
2개틀리심
2번 o 4번 x 인가요??
oxxoo입니다
1. 베이컨은 인간이 자연에 복종할 것을 강조한다. x
자연을 사냥해서 노예로 만들어 인간의 이익에 봉사해야함
2. 왈처는 전쟁을 평화적 수단이 끝나 후의 최후의 수단으로 여긴다.x
최후의 수단으로 허용가능할 뿐, 최후의 수단으로 보지 않음
3. 마르크스는 결과적 평등을 강조한다. x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
4. 요나스는 인간이 다른 생명체에 대해 모종의 우선권을 갖는다고 생각한다. x
인간과 생태계중 누가 우선해야한다는 주장 X
5. 통일비용을 사용하면 즉시 통일편익이 발생한다. X
와 이건 생각도 안하고 있었는데 아닐 것 같음
와 엄청 많이 틀릴 것 같다
세개 틀리셨어요
5번은 몰랐으니.. 1,4번 근거좀 말해줘요 현기증 남 ㅠㅠ
1번은 수특이고 '자연에 복종함으로써 복종시키는 것'이라는 특이한 말을 합니다. 이 말은 즉슨 '자연에 복종' 한다는 것은 그들을 막 변형하는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지식을 확장하면 자연이 우리를 따른다는 말입니다.
죄송하지만 무슨말인지 이해가 안되서 수능특강을 찾아보았고, 98쪽 3번문제로 확인되네요. 그런데 아무리 찾아봐도 자연에 복종함으로써 복종시키는 것이라는 문장과 비슷한 뉘앙스는 찾아볼 수 없엇고, 정오표도 확인했지만 그런 정보를 찾을 수가 없네요.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자연이 우리를 따른다'는 말은 자연이 우리에게 복종한다.로 봐야하지 않나요? 어디서 정보를 찾으신거죠?
4번은 현돌님 블로그고 '책임'의 영역에서는 당연히 인간이 생명체보다 우선권을 갖습니다.
개념설명 부분에 있어요
올해 수특이 아닌 예년 수특일수도 있고
현자의돌님 블로그 가보면 자세한 설명 있어요
수특에 없고, 수완에 있네요... 감사합니다 못보던 부분을 봤네요
답 보여줘보셈
oxxoo 현돌 블로그랑 수특 참고함
근거 궁금한거는 말해드림
4번.작년 ebs정정한 선지인걸로 아는데 수정좀요 동등하다고 현돌님도 정정하심
5번선지는?
'모종의'라고 썼잖아요? 어떤 면에서는 우선권을 지닌다는 말인데 책임에 있어서는 우선권입니다
그 고친거보고 낸 문제에요
? 책임에 있어서 생태계보다 우선권이 아니라 인간만이 미래세대에 책임을 질 수 있는 것 아닌가요?
현돌님 블로그에 가보면 책임의 주체로서 인간이 다른 생명체보다 우선권을 가지니까 틀린 선지라고 ebs 정오표를 만들게 하셨어요
생태계가 아니라 다른 생명체요
지나치게 지엽적이기는 해도 틀린 선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5번은 그냥 수특에 그대로 있어요
김종익쌤 6,9모 해설보면 말하기도 하시고
생윤 공부는 안한지 하도 오래되서..xoxxx?
하나맞았네ㅋㄱㅋ
oxxox
ㅠ마지막틀리네
수특 수록이고 '책임'을 질수있는 존재는 현세대 인간밖에 없기때문에 다른 생명체보다 책임지는 일에 대한 우선권을 지닙니다. 우월하다는 것이 아닙니다.
1번 베이컨이 인간이 자연에 복종할 것을 강조한다는
왜 맞는 선지인가요?ㅠ 방황하고 있는 자연을 사냥해서 노예로 만들어 인간 이익에 봉사하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던거 같은데....
자연을 복종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자연에 복종하는 것입니다. 위에 설명있음
아 위에 있었네요 올려주셔서 감사해유
베이컨은 경험론자로, 아는 것이 힘이다라고 말항 사람입니다. 자연에 대한 탐구(이걸 복종이라고 본거죠)없이는 자연을 복종시킬 수 없다.. 이런 의미입니다. from.현돌, ebs
3번 질문이요ㅎㅎ 임정환t 인강 질문게시판 입니다! ㅠㅠ 여기선 결과적 평등을 강조한다구,, 게다가 교재에도 적혀있어요!
교재요!
균등분배(골고루 분배) 아니고 필요에 따른 분배입니다.
결과적 평등은 다른 문헌까지 다 참고해봤는데 아닌게 맞는것같아요
균등분배가 아닌것까지는 이해가 갔는데 결과적 평등을 고려한건 맞지않나요?
글쎄요 저도 '결과적 평등'이라는 단어가 실질적 평등이라는 의미같아서 고민을 많이 해봤는데 현자의 돌 측에서는 아닌것으로 보네요
아무래도 현돌이랑 인강쌤들이랑 의견이 조금씩 다른것 같네요 저는 3번 마르크스가 1/n이 아닌 결과적 평등은 지향해서 O라고 생각했는데,,,
강상식쌤도 결과적 평등 지향이라고 하던데 뭐가 맞는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