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의예과 [884455] · MS 2019 (수정됨) · 쪽지

2019-09-03 01:24:51
조회수 425

새로 정의된 함수 이정도면 새롭지 않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4424697

삼각함수&지수함수 합성된 함수 f가

(x<k) (x>=k) 에서 한 쪽에 y축 방향으로 +t만큼 평행이동 되어있는거임ㄷㄷ


이때 f(f(x))가 실수 전체집합에서 불연속점이 하나만 있을때

k가 최대일때의 t값을 g(k)라고 두는거임ㄷㄷ


근데 여기서 꿀잼인게 k값의 최대 조건을 말해버리는 뚠간

k가 열린구간에서 정의되는 case들이 다 정리되는거임ㄷㄷ


1. f(f(x)) 합성인게ㄷㄷ

2. 미분가능성 말구 연속 물은게ㄷㄷ

3. k가 특정 범위에서 주어지면 최댓값일때 t값이 g(k)인게ㄷㄷ

4. 이 각각은 기출에서 본적 있어도 섞이면 새롭지 않을까ㄷㄷ

아닌가 그게 안 새로운건가ㄷㄷ


힝ㄷㄷ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