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감 4차 이 문제 저만 이상한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4332387

전 일단 235는 당연히 말이 안되니..(총수입/10이 개당 가격)지우고 1은.. 11개일 때 100원인데 10개일 때도 100원일 리가 없어서 4번 고르긴 했는데요.
한계 수입이라는 게 특정 상태에서 하나를 더 팔 때 늘어나는 수입이라는 거잖아요. 그럼 저 조건은 현재 11개를 파는 상태에서 12개를 팔면 총수입이 1180원이 된다는 말 아닌가요? 해설지는 생산량이 10개일 때 한계 수입이 80원인 것으로 써놓았던데 전.. 저 문장을 아무리 읽어봐도 11개일 때의 한계 수입이 80원인 걸로 밖에 안 읽히는데.. 아니면 제가 한계 수입의 정의를 애초부터 잘못 이해한 건가요..
정확히 하자면 한계수입은 80원와 100원 사이의 어떤 숫자 일 거고 10개 팔때 총수입도 1000원과 1020 사이 그 어딘가가 되는 게 아닌가요..
경제 공부를 안 해봐서 잘못 알아먹은 건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금이 원시시대냐? 무당이 나라를 좌지우지하는 꼴이라니ㅋㅋㅋㅋ 으휴...기가차서...
-
지금까지 정책들이 시장에 유동성 공급하려고 부채를 서민에게 전이하는 방식으로...
-
이번 두산 구조조정 기업매각은 한국이 망한다는 신호탄같은 역사적 순간임누군가는...
11개일때 80원 맞음
그으래서 제 말이 맞는 건가유 ㅜㅜ
(1100-80)/10
그건 암
저두글케생각햇음
지문이 없어서 어떤지 잘 모르겠읍니다
ㅋㅋㅋ 지문 내용은 한계수입이 뭔지만 알면 풀리는 문제엥ㅇ
냥쌤이 정의가 불친절하다고는 했는데 평가원이여도 이정도 서술로 끝낼 수 있다고 하셨어요.
그런데 생각해보니까 경제학에서 배운 한계수입은 님이 말씀하신게 맞는거같긴 한데.. 잘 모르겠네요
저건 저정도로 끝낸다 수준이 아니라 걍 잘못 쓴 거 아닌가요..
이문제 옆동네에서 누가 오류라카던데
근데 지문엔 생산량 늘어날수록 한계비용 감소한다고 돼있어서 그건 아니에요 ㅋㅋㅋ 문제가 이상한 건가
어 그러네
지문에서 감소한다구 함 ㅋㅋㅋ
앗 잘못봄 ㅋㅎㅋㅎ
님생각도맞음 근데 님생각대로하면답에없으니깐 다시생각해서 끼워맞추는건 당연한사고과정임
그래서 맞앗죠
저도 님이랑 똑같이생각해서 뻘계산하다가 아니다싶어서 포기 ㅋㅋㅋ 뭐 이정도는 수능때도 내도별말없을듯요
흠윗댓보니 또아닌것같기도하고 ...
저 보기는 그냥 아예 잘못 쓴 거 아닌가 싶네요 ㅜㅡ..
한 단위 추가할때 80원 늘어나는건데 생산량 증가할수록 한계수입이 감소한다면 10개일때 수입은 1020보다 작아야함.. 10개일때 한계수입 80이라고 주는게 맞ㄴ,ㄴ듯
저도 저 문제 맞았는데 지금보니 좀..
맞아요 저도 이 생각함.. 그냥 4번 찍는 거 너무 걱정돼서 p=100-q였나 이 식을 사용해야 하는 건가.. 하다가 시간만 날렸네요 에휴
문제 조금 실망스럽네유..
저도 그거때문에 때려맞춰서 맞춤..
ㅋㅋㅋㅋ ㄹㅇ 나머지 4개가 싹다 말이 안되기는 하죠
저도 이거 1180 ÷ 12 하다가 3의 배수 아니길래 바로 다시 생각함 ㅋㅋㅋㅋㅋ
ㄹㅇ 문제가 픵신인 듯..
ㅇㅈ 왜 1100-80을 해야하는지 아직도 모르겠음... 그냥 문제가 문제있는걸로..
저는 지문 예시에 100원에서 90원으로 내렸을 때 한계수입과 비교하는 부분이 있어서, 거기서 100원 -> 90 원으로 갈때 한계수입을 100원이 아닌 90원이랑 비교를 했기 때문에 90원쪽에 종속되는 거라고 생각하고 똑같이 적용해서 풀었음
제 경제 배경지식 자료 보시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배경 지식과는 별개로, 본문에 있는 2개일때 총수입 180 한계수입 80이라는 예시를 보고 정의를 끌어 이해해야 합니다. 쉽게 말해, 그 문제는 본문 예시의 숫자만 바꾼 typical한 문제라는거지요!
한계 수입은 실제로도 저렇게 구하고.. 지문에서 한계 수입을 구하는 예시가 있고, 그 예시를 수용하면서 읽었는지를 묻는 문제입니다. 정의만으로 확정지어서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어디서 혼선이 발생하고 있는 건지 잘 모르겠네요..
한계 수입을 구하는 문제는 아닌데요.. 전 어순이 잘못된 거 아니냐 이소리엿습니다
생산량이 11개인데, 라는 표현 뒤에 그에 대응하는 한계수입이 걸리는 것이 어색하다는 말씀이신가요?
오 맞습니다.. 다른 샘도 표현이 좀 애매하다고 한 거 보면 말그대로 표현을 애매하게 한 것 같네요
지문의 표현을 긁어드리겠습니다. [지문 분석] 원고 그대로이니 같이 참조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문단 2] 예컨대 가격 100에 1개를 공급하여 총수입이 100인 상태에서 가격 90에 2개를 공급하여[→ 생산량을 한 단위 늘리자 가격이 10만큼 낮아진 상황] 총수입이 180[→ 낮아진 가격은 증가분뿐 아니라 모든 수량에 적용되어 총수입은 90 × 2 = 180이 됨.]이 될 때, 한계 수입인 80[→ 180 - 100]은 가격인 90보다 낮다.
이때 파악할 수 있는 것은 2개를 공급할 때[→ 생산량이 2개일 때] 총수입이 180이고 한계 수입은 80이며, 이는 곧 [180 - 100 = 2개일 때의 총수입 - 1개일 때의 총수입]으로 구해진다는 점입니다.
같은 문단의 이전 문장에서 "한계 수입이란 상품 하나를 추가 공급했을 때 총수입의 증가분을 뜻한다."이라는 정의에서 오해의 여지가 있는 것은 맞습니다. 추가 공급했을 때라는 표현이 지시하는 바가 확정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서 n+1개 일때의 총수입의 증가분인지, 아니면 n-1개와 비교했을 때 n개가 되었을 때의 총수입의 증가분인지가 불명확하기 때문이겠죠. 그걸 후자로 확정지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가장 먼저 인용해드린 예시의 문장입니다. [쉽게 말해서 생산량이 2개이고 총수입이 180일 때 한계 수입이 80이 된다는 것을 확정지으라는 뜻입니다. 37번 <보기>는 이걸 그대로 적용한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걸 요구하는 이유는, 추상화된 개념 표현을 구체적인 예시 표현으로 명확히 보충하는 것 역시 아주 중요한 독해 과정의 일부이기 때문입니다. <보기> 표현으로 헷갈릴 수 있는 것은 맞지만 글 자체가 그 헷갈림의 범위를 좁혀나가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처리될 수 있는 정보였습니다.
이해에 도움이 조금이나마 되셨길 바랍니다.
솔직히 저문제 저도 그냥 이거아니고 이거아니네 하면서 소거로 맞췄는데 ㄹㅇ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