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학년도 6평 5번에보면
보기박스에 c 는 비폭력적으로 대응하여 정치적인 힘을 활용하지 못했다라고 나와있는데
1.
그렇다면 니부어는 비폭력적으로 대응하여 정치적인 힘을 활용하라라고 주장하는건가요?
2.
선의지의 통제를 받는 폭력으로 집단 간 불균형을 해결하면 안되는 것인가요?
3.
니부어의 정의의 실현 주체는 누구인가요? 국가와 국민 모두 정의의 실현주체 맞죠?
4.
니부어는 선의지의 통제를 받는 비합리적인 방법으로 정의를 실현하라 했는데 그 방법을 사용하는 주체가 국민 국가 둘 다 될 수 있나요?
1.니부어는 선의지의 통제를 받는 강제력 사용을 정치적인 문제에 사용하는 것을 부정하지 않습니다 폭력은 이러한 강제력에 포함 될 수 있으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2.니부어는 선의지의 통제를 받는 강제력 사용을 부정하지 않습니다
니부어 선지볼때
선지가 말하는게 정의실현을 위한 개인적 접근(도덕심에 호소)인지 사회적접근(법, 정책, 제도)인지를 구분해야댐
니부어는 사회적인 접근을 통해서 정의를 실현해야 한다고했고
그방법이 비합리적(강제적)이라도 수용할 수 있다고 보았음
비합리적인 방법을 동원해야만 정의를 추구 할 수 있는 게 아니고
비합리적인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정의를 추구해야 한다는 맥락으로 바야댕
나머지는 오개념 말할까봐 빤스런 하겠습니다
생윤 황은 아니지만 제가 알고있는 대로 적어보면,
1. 넹
2. 니부어는 강제력을 비폭력과 폭력으로 구분하는게 어렵다고 합니다.
그리고 3,4번은 진짜 생각지도 못했네요. 개인의 도덕적 선의지가 사회의 도덕성을 실현 시킬 수 있지만, 집단 이기심으로 인해 충분히 발휘되기 어려워서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냥 개인의 선의지와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알고있는게 좋습니다. 그걸로도 문제가 다 풀려요...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ucuzz&logNo=221031863101&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해결완료
1.비폭력으로 정치적인 힘도 허용함
2.해도됨
4.그건 국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