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로 이해하는 논문 집필 - 1편 주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3454640
수능 국어로 이해하는 논문 집필 - 1편 주제
글쓴이가 온갖 컨텐츠를 뽑아내더니 결국에는 논문 집필까지 손대는구나, 대체 왜 논문까지 나오는거냐? 라고 하실 수도 있습니다
저는 여태까지 일관되게 ‘수능 국어는 인간의 총체적인 사고력과 연관된 과목이다’라고 하였으며, 이를 전쟁사 사례와 연관지어 설명했었습니다. 여지껏 연재한 칼럼들은 최소한 한 개씩 국어 지문과 연계시킬 수 있는 소재들을 포함해왔습니다.
지금 수능 공부를 하는 학생들은 나중에 대학에서 논문이라는 것을 읽고 공부하고, 또 집필할 것이고 오르비에는 대학생 분들도 꽤 계시더군요.
그래서 이 시리즈에서는 논문이라는 것과 수능 국어를 연관지어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결국 수능의 지문이나 논문이나 ‘글’이라는 범주 안에 존재하며 중요한 공통점들이 대단히 많이 보입니다.
‘수능 국어를 이해하면 나중에 논문 집필에도 써먹을 수 있는 생각법이 존재한다!’라는 의미로 한번 시리즈를 연재해보겠습니다.
(논문은 다른 글보다도 좀 더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신뢰성이 높은 자료를 근거해서 쓰는 글입니다
http://scienceon.hani.co.kr/66005)
여러분이 논문을 쓰고 싶다, 혹은 다른 대학원생이나 박사들이 논문을 쓰려고 할 때 가장 먼저 기준을 잡아야 합니다. 그 기준은 바로 ‘주제’입니다. 어떤 내용에 대해서, 어떤 의문에 대해서 글을 전개할 것인가?
논문의 주제는 곧 제목입니다. 실제로 과거에는 수능 국어에서 비문학 지문에 제목을 달아준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저를 포함해서 많은 수험생들은 제목이 없는 비문학 지문을 풀어왔을 것입니다. 왜 그럴까요? 한마디로 그 제목을 줘버리는 순간 글의 주제가 정해져버린 거거든요.
특히 논문에서 주제 선정은 매우 핵심적이면서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때 주제를 명료하고 구체적으로 잘 선정하면 앞으로의 연구나 집필이 매우 쉬워집니다. 반대로 주제가 딱히 학술적인 가치가 부족하다던지 너무 모호하게 잡아버리면 나중에 공부하면서 정말 개고생을 하게 됩니다.
결국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주제이며 이는 글의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제곧내는 완벽한 단어입니다. 제목 = 주제 = 가장 중요한 부분
위의 사진은 ‘대학내일’에서 교수님께 보내는 이메일 양식에 대한 조언을 한 내용입니다. 심지어 이메일을 보낼때도 제목은 곧 내용으로, 주제를 암시해야 합니다.
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주제이며, 다른 세세한 개념들은 빼더라도 주제는 빼버리면 안됩니다. 그것은 마치 건물에서 가장 중요한 기반을 빼버리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종류의 글을 쓰더라도 주제는 가장 근간이며, 논문을 쓸때도 수능 국어 지문을 쓸때도 주제부터 정해지고 모든 것이 시작됩니다.
이 집필 원리를 고려한다면, 수능 국어 지문을 공부하거나 풀어낼 때도 뭐부터 해야할지가 정해집니다. "주제를 찾아라" 수능 국어 뿐만 아니라 모든 형태의 글은 반드시 주제가 있어야 하며 이 주제에 충실한 글이 가치가 높고 쓰기 어려운 글입니다.
때문에 어떤 글이든 주제를 이해하거나 제대로 짚었다면, 이해가 훨씬 더 쉬워집니다.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어휘가 얼마든지 나오더라도 결국 주제를 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ㅇㅈ 10
그런건 없어
-
ㅇㅈ하거 자러감 20
오늘도 늘 보던거
-
ㅇㅈ 6
-
아무런 뜻이 없소이다
-
과탐 가산 좀 크다는데 과2하기엔 반수라 시간부담이 클거같음 작수 과탐 ㅈ박기도 했고..
-
잘생긴 성인 남자 아이돌한테 수치심을 줘보고싶다 ㄹㅇ 도파민 폭발
-
저 몇살이예요? 2
만으로
-
근데 친구들이 다 술 안마시는 애들임
-
저 몇살같아 보임뇨 20
ㅇㅇ
-
아니 하연님 저 실수로 11
잡담알림 끈다는게 차단해버렸어요 차단 어떻게풀지
-
님들 저 몇 15
살같아ㅇ
-
오르비 잘자
-
큐브 칼럼 글 봤는데 카이스트 아니고 가톨릭대 의예과로 학적 변경하셨네..?
-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다재무능합니다 6
그러슴ㅁ디ㅏ
-
화1 1학기 내신 선택자인 예비고2인데,, 정훈구t 고2 정답화학 듣다가 1단원...
-
변별도 관련해서 3
앞서 정답률이 낮으면 변별도가 낮다는 식으로 혼란이 생긴 감이 없지 않은데 0.4는...
-
와 역시 넘사www.youtube.com/shorts/3zwuOxVQUwE
-
공부시작 1
.
-
은테 달았다 12
드디어 똥테 탈출
-
너가 최고야! 2
>.<
-
이것때문에 잠을 못자고 있네요 ㅋㅋㅋ
-
저는 어떤 문제들은 20분 넘게 고민해야 뭔가 팍 보이는 문제들이 더러 있어서...
-
현역이고 지금 사려고하는 수특은 독서 문학 화작 사문, 세지 딱 이 5개정도만...
-
얼굴프사 안하면 과외 안 잡히나요?
-
내년 이맘때쯤엔 5
다들 오르비를 떠나있길 !!
-
기습 ㅇㅈ 21
외화유출범한테 기부 좀 해주세요
-
돈이 없어
-
키보드로 모니터 내려찍기 하고싶네
-
의사가 멋있는 이유가 옛날에 의대생이었어서 그런거 아님? 6
지금 당장 사람살리는 의사들 보면서 멋있다고 생각하는거 말고 동네 피부과 정형외과...
-
의뱃 들어왔다 3
히히
-
물1 물2 저울질중이라 여쭤봅니다
-
ㅜㅜ
-
수능날 아침감성 1
집 나갈때, 교문 입성할때의 감성
-
진지함 근데 합격증 사라져서 교뱃 홍뱃 못다는 게 너무 화남
-
항상 먹을거 설명하고 계심
-
작년의 악몽이 떠오른다 어쩌다보니 친구를 하나도 만들지 못했던 그 시간이
-
구라임
-
vs 나인
-
지금 김젬마T 봄봄 독서 듣기 시작했는데 그냥 뛰어넘고 10일 완성 선지강화부터...
-
똥테유지.
-
이대로만 가자..
-
수능아 ♡♡ 빨리오렴
-
ㅈㄱㄴ
-
해강 들어도 이해가 잘 안되던데ㅠㅠ 역시 정답률 한자릿수의 위엄일까요
-
맞팔 구합니당 14
혀녁이에용
-
2010년대가 그립다... 어리던 시절이지
-
정훈구 정답화학 고2 -> 고석용 cnr 특강 or 정훈구t 테마특강 0
예비고2고,, 1학기에 화학을 선택했는데요.. 정훈구t 정답화학 고2 한달 넘게...
-
작년에 이춘식 식스피드부터해서 과거 4등급에서(22슈능) 올해 4개월만에...
좋네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