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vs. 서울대 정말 고민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306458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람 피해다녔는데 행동발달 그거에 사교성잇고 리더쉽잇다 이렇게 써짐 한두번이 아님 복붙인거같음데
-
내일도화이또 3
화이또
-
새터 필살기 1
하리보 들고가요 맘에 드는 애 있으면 둘이 있을 때 같이 먹을래? 하면 되고 딱히...
-
키작은사람 특) 2
쇼핑몰에서 바지못삼.. 안맞음 근데 에이블리꺼 시키니까 핏 괜찮지만 옷감 퀄이...
-
스피킹 양식 같은 거 있다는데 좀 공부해갈까... 읽기 듣기는 27은 넘길 수 있을...
-
잠깐보려 했는데 양성피드백마냥 볼수록 중독되서 접습니다
-
”현역으로 중대갔잖아.. 거기서 멈췄어야지;..아오.;;….” 가 될까 두려워서...
-
주변에 잘 사는 사람 있는데 열등감 죳대네 ㄹㅇ
-
전제가 성립한다는 가정하에... 현역입니다
-
세계사고 고2 내신 때 100 100 나오기도 했고 제가 생각하기에도 완전 제대로...
-
상상력 제로 4
등장 뭘 어쨌다면인가... 좀비 나타난다면 때려잡으면 되고.. 극s(그런거...
-
현실 헤어보다 13
메이플 헤어가 비싼 건 피했다
-
철학과 메인글 보고 고민해봄
-
악어오름 얼굴 논란 11
진짜 이건 논란 될만하다 어떻게 이렇게 생겼냐 진짜 에바지 ㅅㅂ.. 근데 솔직히...
-
자야징 4
다들 안녕히주무세요
-
일단 수시로 대학갈 생각이거든요.최저를 국어,영어,사탐 이렇게 3개로 맞추려고...
-
내년 설대 기공 0
올해 빵났으니까 내년에 컷 올라감? 보통 어느정도 올라감?
-
ㅎㅎ 0
나른한 오후
-
영어해석막힙니다 흔히 복잡하고 관계부사나왔다가 생략되었다가 이판사판 투부정사,...
-
사실 하고 싶은 일이 전공이랑 별 관련없긴한데 그냥 잘 모르겠기도
-
하루종일 수능만 하는 재종에서도 언매 기준 53%는 1등급을 받지 못한다 심지어...
-
그럼 어케될까 ㄹㅇ 집에만 있어야되나
-
기숙갈놈이 패드가 왜필요해
-
오티 못가면 친해지는데 지장이 있을까요?
-
현역정시질받 19
ㄱㄱㄱㄱㄱㄱ
-
중딩때 짝됬는데 하필 짝녀가 판교대장아파트(ㅍㄹㅈㅇㄱㄹㅂ) 산다는거 나는...
-
검정 항공점퍼 카키색 카고바지
-
췌장암 같은거 뒤늦게 발견되고 막 다들 본인 죽는 상상 해본적있음? 근데 장례식에 부를사람이 없네
-
선 없는 아디다스 츄리닝에 후드티에 패딩 전날 귀국하고 3시간 자고 정신 없이 갔던 기억이...
-
야식 ㅇㅈ 7
항정살에 명란
-
안그럼 제가 찾아갑니다
-
영어잘하시는분들 3
18~24번처럼 초반 쉬운문제(요지같은거) 다 읽고 푸시나요??
-
착한 옵붕이 여러분 알려주세요
-
참을려고 삼키는걸 너무 많이해서 머리가 너무 아픔...
-
과 동기 남자애들이 엄청 꾸며서 아마 다들 새터에도 꾸꾸로 입고올듯한데 밸런스 좀...
-
몇번이고 널 지우고 싶어~~~~
-
헉 모밴당한줄 5
잘못했어요 ㅇㄹㅂ 여러분 다들 사랑해요
-
다시 너에게 달려가는 나를봐~ 하얀 모래위 우리의 사랑을 다시 새겨봐~ 이제는 내...
-
떨어지면 전문연을 해야겠어 조기졸업도하고 그러면 격차를 줄일수있겠지...
-
외대 경영 0
추합 몇 점대까지 돌 거 같음? 651점대인데 기대하기 힘들겠지?
-
회차까지딱알려주실분?
-
전에 동생들 과제자료 만들어볼때 제본기 써봤는데 플라스틱 링은 만들어둬도 쓰기...
-
뭐 잘생긴거알겠는데 보통 오글가려서라도 낮가려워서 자기입으로 자기가 잘생겼다고...
-
얼버잠 8
이틀 연속으로 2시간 잤어요…..
-
부모님한테도 얘기 안드림 지하철에서 토한적 있음 진지하게 죽고싶었음
-
ㅎㅏ면x했는데o
-
오비르에선 고등학교 생활의 중요성을 잘 모르겠지만 17
남자라면 모름지기 무단 결석이 있어선 안된다고 생각해요 무단 결석이 있으면 나중에 ...
-
인서울 공대가고 싶은데 탐구 때문에 머리아픔 지1생1 개념 보긴했는데 사탐으로...
-
현역때 국어 수학 영어 생윤 사문 4 5 4 6 6 재수 후 3(80) 2(90)...
-
너무 쉬웠던 모고 제외 22학년도~25학년도분석 2206,2211,2306 비문학...
저 두 대학에 대해 자세히 아는건 없지만 마음이 기우는쪽으로 가는게 맞지않나요. 근데 샤대 정말 좋은대학이니 천천히 생각 해보세요~ 카이스트도 좋지만 대한민국 일류대하면 딱떠오르는게 서울대니
저도 강그나연님처럼 질문자님이 가고 싶은 대학에 가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근데 전 문과생이지만 제 이과친구들은 카이스트를 더 선호하기는 하더라고요..
-
감사합니다!!! 다양한 사례들 말씀해주신 덕분에 진로고민하는 과정에서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설수통에서 꼴지하더라도 설수통가세요!
카이스트는 대학원때 가도 안 늦습니다.
윗윗분이 많이 설명해놓으셨는데요...
KPF는 낚시성이 있긴 한데 좋은 프로그램이죠... 서울대 갈애들 묶어놓으려고 작년에 급조한거긴 한데 교수임용은 당연히 믿을말 못되지만
재정적 지원이 많고, 교수와 1학년때부터 바로 연결이 되기 때문에 커리어 쌓아가고 진로 결정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건 맞습니다...
그리고 윗윗분이 현실적 문제(다양한 진로등등)에 대해 많이 설명해놓으셨는데 저는 어려서 그런건 잘 모르지만...
확실히 공부를 제대로 하려면 KAIST가 좋은 학교는 좋은 학교입니다...
포부가 원대하시다면 KAIST도 추천하지만ㅠㅠ
저도 결국 그냥 서울대 가시는거 추천...
제 아는형이 카이스트 박사까지 하셨는데
저보고는 무조건 서울대가 났다고 하시더라고요.
동기수 등 인맥, 종합대학 장점, 다양한 진로탐색 등등
공대 자체는 엇비슷해도 졸업하고 나서는 설대가 확실히 낫다고..
뭘 고민해요 수통이 짱임 ㄱㄱ
과고생인데요... 과고에서도 kpf 버리고 설대갑디다ㅋㅋ
저는 미국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유학생입니다. Science/Engineeing을 배우고 그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부하고 연구할 수 있는 기반(R의 질적수준, 교수의 수준, 동료의 수준, 글로벌 네트워크, 학업분위기(학풍), 연구기자재(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s))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어야만 합니다.
제가 카이스트 학부 4년 생활 동안 겪었던 바로는, 이러한 제반 환경/여건 측면에서 카이스트가 국내 어떤 대학과도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세계적 수준으로 성장했습니다.
카이스트가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긴 하지만, 졸업생 대비 성공확률을 기준으로 보면 서울대보다 카이스트를 선택하는 것이 좀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이공계에서는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실력이기 때문입니다. 세부전공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도와 통찰력, 새로운 지식정보 습득력, 글로벌 네트워크 기반의 공동연구 등을 통해 "Excellent한 Research Paper"를 산출하는 것이 이공계에서의 Key Success Factor입니다.
몇 가지 참고 정보입니다.
1) 제가 KAIST 재학시절 및 유학시절 동안 연락 드리고 지내는 KAIST 학부 출신 교수님 중 몇 분 홈페이지
(86년 400명 입학정원으로 개교한 KAIST의 학부 출신 교수님은 해외 대학에 100여 명, KAIST 100여 명, SKY 200여 명 등 국내외 대학에 900여 명 재직 중입니다)
Harvard Univ. Medical School 윤석현 교수 (KAIST 학.석.박사 후 Harvard 교수 임용 /광자 기반 당뇨병 치료 기술 개발)
http://connects.catalyst.harvard.edu/Profiles/display/Person/87345
MIT Department of Mathematics 김주리 교수 (종신교수)
http://math.mit.edu/people/profile.php?pid=132
Johns Hopkins Univ. Department of Applied Mathematics and Statistics 허영미 교수
http://www.ams.jhu.edu/~hur/myhome/home.html
Oxford Univ.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양홍석 교수
http://www.cs.ox.ac.uk/people/hongseok.yang/
2) 카이스트 학부 출신 30대 임원들(최근기사 기준)
'별들의 고향' 이공계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4/01/2014040105039.htm
카이스트 최연소 박사, 36살에 LG전자 최연소 임원 꿰차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2014112717042303052=1
2013.12 삼성의 '유리천장' 깬 30대 여성 상무는 누구?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12/05/2013120501903.html
2012.12 삼성전자 승진 - 38세, 부장 9개월만에 상무 발탁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814524
3) 2014년 카이스트 관련 기사 링크.
카이스트 연구진, 세계에서 가장 빠른 로봇 제작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5/23/2014052302569.html
KAIST 학부생들 논문, 잇따라 세계적 저널에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05/29/0200000000AKR20140529079100063.HTML?from=search
유룡 KAIST 교수, 올해의 유력 노벨화학상 후보 지목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9/25/2014092501879.html
KAIST '체온전력생산기술' 세계 10대 IT혁신기술 선정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1/29/0200000000AKR20150129055800063.HTML?input=1195m
[아시아 대학평가] KAIST 전체 2위… 서울대 제치고 국내 1위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05122561g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5/12/2014051200297.html
카이스트…세계 대학 공학기술 17위 랭크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91612400577054
KAIST,‘THE 세계대학평가’ 공학기술 26위,종합 52위
http://www.fnnews.com/news/201410021107136468
4) 2014년도 카이스트 정시 입시 최종결과
카이스트 입시가 과거~현재 항상 수시전형으로 진행되고 고2 조기졸업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관계로 일반적인 비교 지표가 없었습니다만,
카이스트 학부에는 최우수 등급의 과학고 조기졸업생이 86년 개교 시점부터 현재까지 입학해 왔습니다. 특히 비서울 과학고에서는 예나 지금이나 변함 없는 현상입니다.
일반적인 비교 지표에 해당하는 정시 수능 기준의 지표도 추가합니다.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22235
...KAIST는 지난해부터 정시모집을 수능점수로 30명을 선발한다. 도입배경에 대해 김 팀장은 “수능을 준비해온 일반고 학생들도 재수생에게 KAIST의 문을 더 개방하기 위함”이라 설명했다. 합격수준에 대해선 “지난해 30명 모집에 1118명이 지원, 37.3대 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보였고, 입학생의 표준점수 평균이 532점(당시 서울의대 540점, 서울대 이공계열 528점, 전국 의대계열 529점)..."
기술혁명이 가속화되고 있는 사회 속에서 카이스트라는 학력과 경력은 준비된 졸업생들에게 막강한 Knowledge Power와 Brand를 제공해 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