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학년도 6평 물1 손글씨 해설(+후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3048326



위 사진은 1번부터 20번까지의 손글씨 해설이고 마지막 사진은 처음에 직접 노트북으로 보면서 풀 때 푼 흔적입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해설은 하나부터 열까지 다 써 있는 거보다 기초 실력이 있는 학생이 보면서 '앗 이거 알았어야 하는데' 이런 느낌이 드는 해설을 좋아해서 개념 부분에서 좀 자세히 쓴 거를 제외하고는 역학 부분이나 전자기학 부분에서 꼭 생각해야 하는 부분, 문제를 해석해야 하는 순서 위주나 제가 현장에서 빨리 풀기 위해 생각했던 발상 같은 것을 짤막하게 정리해서 해설지를 작성했습니다. 제가 김성재t한테 강의를 들었기 때문에 일부 문제 풀이의 경우(특히나 돌림힘 풀이) 김성재t 풀이를 들은 학생이 편하게 볼 수 있는 풀이일 수 있습니다.
오늘 오후 5시 겸에 시간 재고 6평 물1을 풀어봤습니다. 아쉽게도 12번을 틀려 47을 맞았지만(12번 손글씨 해설은 평가원 답지를 보고 채점 후 다시 풀어보면서 쓴 해설입니다.) 전반적으로 문제들이 '와 이걸 어떻게 풀지' 이런 느낌의 킬러 문제라기 보다는 2-3줄 안에 매우 깔끔하게 풀리는 문제들이었습니다. 다만 작년이나 재작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느낌이 '전체적으로 은근히 까다로운 문제들'이 있어서 풀 때는 청산유수로 풀다가 의문사 당하기 쉬운 것들이 1-3페이지에서 보였습니다. 인상 깊은 문제들을 순으로 간략한 후기를 남기겠습니다.(써 보니 10번대는 다 있네요.)
10번
수험생 분들이 현장에서 볼 때 문제 길이 때문에 상당히 당황했을 만한 문제였습니다. 근데 그냥 쭉 읽으면서 상황을 판단하다 보면 그냥 형태만 무시무시할 뿐이지 정말 짧게 풀린다는 것을 손글씨 해설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2번
제가 틀린 문제라 그런 거일 수도 있지만, ㄱ선지가 상대론을 대충 공부한 학생들을 낚기 좋은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확실히 이 문제를 틀리신 경우 상대론에 대한 기본 개념이 흔들리고 있다는 거니 개념 공부를 다시 하시고 다시 볼 가치가 있는 문제라 봅니다.(반성 중)
13번
그냥 별 생각 없이 풀어도 i1과 i2의 크기 비교가 용이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엄연히 이건 어려운 문제입니다. i1=i2인 경우를 생각하고 그걸 토대로 i1 i2 크기 비교를 할 수 있게 연습하시는 게 나중에 수능에서 비슷한 문제가 나와도 풀 수 있는 실력을 키워줄 것입니다.
14번
개인적으로는 그닥 좋아하는 문제는 아닙니다. 귀류법을 쓰면 간단하게 풀리기는 한데 사설도 아니고 평가원에서 생1도 아니고 귀류법을 써서 풀면 훨씬 빠르게 풀리는 문제가 나왔습니다. 이런 문제가 주류가 되어서는 안 되지만 엄연히 평가원에서 출제했기에 사설에서 이런 문제를 보고 무조건 거르지는 마시고 해설의 아이디어 정도는 잘 체화시켜 수능 현장에서 풀 방법을 연구하시기 바랍니다.
15번
초창기 수능에서 볼 거 같은 문제였습니다. 정말 기본기만을 이용해서 아주 간결하게 문제 정답이 나오는 문제라 풀고 되게 맘에 들었고 기본기가 부족한 학생들은 이런 문제를 풀 때 (나)에서 시간이 주어지지 않아 은근히 고생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문제를 푸는 데 오래 걸리신 분들은 반성하시고 기본기를 잘 닦으시길 바랍니다.
16번
P-V 그래프를 하나 그리면 아주 간단하게 풀리는 문제였습니다. 물론 문제가 매우 쉬워 직관적으로도 충분히 풀리지만 문제 난이도가 올라가면 P-V 그래프를 그려서 푸는 게 훨씬 간결해지기에 그래프 그리기를 잘 연습하시길 바랍니다. 많은 분들이 오해하시는데, P-V 그래프 자체는 교육과정 내입니다! 실제로 수능이나 평가원에서 여러 번 그래프 자체를 직접 제시하기도 했고, 교과서에도 엄연히 명시해 놨습니다. 교육과정 외는 PV=nRT 방정식을 이용해서 푸는 풀이 뿐입니다.
17번
은근히 기본으로 풀리는데 많은 분들이 신유형이라고 하며 현장에서 오래 걸렸을 듯한 문젭니다. 사실 저는 처음 이 문제를 볼 때 맘에 안 든 게, '베르누이 법칙을 만족' 이거만 써놓고 문제 상황을 엄밀하게 정의하지 않은 건데, 사실 엄밀하게 문제를 내면 미분방정식 문제가 되므로 고등학교 과정을 벗어납니다. 그래도 그냥 물의 높이가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통해 높이가 5m로 고정이 되고 v와 g,h에 대한 식을 한 줄 세워 단위를 잘 맞추면 (평소에 수험생분들이 무시하고 잘 안 맞추는 거긴 한데, 대학교 일반물리학, 일반화학을 보시면 대놓고 한 단원이 단위 맞추기를 연습하는 단원입니다. 나름 대학 가서도 중요한 개념이기에 물1 교학사 교과서 p.14에 명시되어 있는 단위도 참고로 읽어보시고 단위를 잘 맞추는 연습을 하시길 바랍니다.) 2줄 안에 풀리는 문제이기에 잘 정리해 두시길 바랍니다.
18번
17학년도 9평 20번의 다운그레이드 버전 문제였습니다. 확실히 간결하게 풀리고 기본기만으로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
19번
약간 아쉬운 문제인 게, 그냥 같은 높이에서 같은 속도이다 이 기본이 너무 명시적으로 문제에 녹아 있기에 물리 고인물들은 눈으로 풀지 않았을까 싶은 문제였습니다. 그래서 이 문제가 한번에 잘 보이지 않으신 분들은 평균 속도에 대한 정의, 위치에너지-운동에너지 관계에 대한 기본이 약한 상태인 거니 해당 단원 개념을 다시 공부하시고 기본에 충실하시길 바랍니다.
이렇게 해서 간략한 리뷰를 마칩니다! 글 읽어주신 여러분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이고 0
Igo
-
그냥 어렵다고 해주셈 ㅇㅇ
-
할일이많은하루군 0
숙취견디기
-
더잘래
-
씻고 밥먹고 출발 에휴.. 파이팅파이팅
-
오늘이 수강신청이구만 오르비언들이 개강맞이 생활패턴 바꾸기를 한게 아니었
-
맨처음에 숫자 잘못 써서 조졌다 했는데 제 앞에 20명인가?밖에 없었어서 2트로 성공
-
국어 인강 질문 0
현역 국어 모고 5 나옵니다 일단 저 스스로를 돌아보면 글 읽는 속도 개느리고...
-
총선서 극우 정당 ‘독일대안당’ 2당으로 급부상…집권당 사민당은 3위 2
기민당·기사당 연합 29%로 1위 대안당, 창당 10여 년 만에 사민당 넘어...
-
pc방 처음 와봤는데 12
가서 헤매면 부끄러울까봐 문앞에서 pc방 이용방법 검색하고 들어감 ㅋㅎㅋㅎㅋㅎ...
-
인강은 언제나 평가원의 시퍼런 저격의 대상이 되니까 이게 무슨 의미인지 알려면...
-
처음 시작할땐 이게 뭐노...?했는데 개념 한 번 돌리고 작년 학평 38이면 올해 수능땐...?
-
그래도 오늘만 견디면 됨
-
어떻게 수능공부 얘기보다 수강신청 얘기가 더 많냐 ㅋㅋㅋㅋ 일단 본인도 10시에 수강신청이긴해
-
아빅이면 0
수강신청 하기는 편하긴 함
-
볼륨 적은 편이 낫긴 한데... 그냥 무지성 강e분 갈길까 이원준으로 갈까..
-
담아두기 없음 일괄신청 없고 과목 하나하나 신청 서버 자주 터짐 빡세네요
-
21학점 성공 5
수강신청
-
학장승인대기에서 거의 열흘 멈춰있는 것 같은데
-
경쟁률 2:1이었단 말야 결국 절반은 성공하고 절반은 실패할 운명이었는데 내가...
-
수강신청... 씁슬하다...
-
우흥
-
근전도, 신경전도 (예상) 운동신경원병만 아니길 빌고있음
-
졸려어 0
얼버기
-
1. 전필2 필교2 총 12학점 이 경우 4일 모두 통학해야하고 왕복 2시간...
-
소비기한 보니까 오늘 아침 8시까지임 하...어제먹을걸
-
밤에 맨날 앉아서 자는 중 으아
-
화학 만표 76에 47점이 백분위 100뜨는 꿈이었는데 시험지에 1단원 떡칠돼있고...
-
모든 세계의 새내기들은 수강신청으로 인해 고통받는다 0
우우 아무거나 규탄한다 이것저것 보장하라
-
ㅈㄱㄴ
-
필요하면 입학식 가기 전에 어디 들러서 사기라도 할 생각인데 과하진 않되 스타일 좋은 코디 있을까
-
10시 수강신청인데… 12
저번에 폭망하고 다시 하는 거… 응원 좀 해주세요…
-
풀어볼만한가요???
-
살짝 후회중 짜피 두개는 정원외 받아주는거였는데 흠 흠 흠 S/U인데 들을걸
-
그래서 안함 ㅎ
-
ㅈㄱㄴ
-
올클 성공 1
이게 되네 ㅅㅅㅅ
-
얼른 받아보고싶어요!
-
신성규T 기출해설 듣고있는데 한 귀로 들어와서 한 귀로 빠져나가는건 처음이네 문제 왜이리 어려움
-
-스카에서 오르비 하고 있는 고2모고 4346 수영지물 확통러
-
진짜모름
-
올클 -완- 6
-
배아파...ㅠㅠ 2
왜 아프지
-
하나빼고 올클 13
아무튼 올?클 이정도면 만족
-
Ai 얼평 ㅇㅈ 4
얼탱 +)
-
공지방에 야짤, 그것도 bl물을 올리냐...ㅋㅋㅋ 50명 봤던데 음
-
무휴학 반수 하면서 평가원이랑 수능 쳐본 결과 뻘짓만 안하면 공부를 많이 안해도...

휴 해설+리뷰 쓰는 데 3시간이 넘어가네요. 그래도 뿌-듯
지1도 하시나요
오르비 학습자료 보니까 지1은 좀 있는 거 같은데 물1은 없는 거 같아서 이렇게 올리는 겁니다.
스크랩!물리화학하는 사람보면 수학공부하는거 같아서 부러움 ㅠ

지1 천체는 그래도 나름 기하 공부 아닌가요궁데 화투님 먼가 글씨 하나하나 꼭꼭 눌러쓰는거같아서 생각하면 넘귀여움ㅋㅋㅌㅋㅋㅋ 매번 느낌

빨리 쓰다보면 글씨체가 개판이라서 그냥 천천히 꾹꾹 눌러쓰는 거 맞아요. 그래서 현장에서 풀 때는 저기 마지막 사진처럼 저만 알아볼 수 있게 휘갈겨 쓰든가 그냥 암산으로 풀어요.저 16번 아직도 문제가 이해가 안가는데
물이 빠져나가는데 수면으로부터 5m가 어케 유지되나요...?ㅠㅠ

솔직히 후기에도 남겼지만 엄밀하게 들어가면 미분방정식을 써야 하는 문제예요. 그냥 고등학교 과정이니까 엄밀성은 조금 포기하고 '높이는 5m 유지라고 하자~' 이런 식으로 정해놓고 낸 문제라 봐요. 초기 수능에서도 비슷한 문제들이 있었던 걸로 보아 초기 수능을 출제하신 분들이 들어가신 게 아닐까라는 다소 뇌피셜을 돌려봅니다.그럼 납득이 안가도 그런가보다 하고 풀어야하는걸까요? 셤보다가 저기서 멘붕와가지고요...

수능이라면 좀 더 엄밀하게 내줬을 거예요. 그냥 그런갑다~ 하고 넘기셔도 될 부분이라 봅니다.
글쿤요... 답변 감사합니다!!물이 어딘가로부터 계속 채워지고 있다는게 아닐까요??
그거 상황 맞춰보자면 바닥이 올라온다 생각하면 된대요! 학교쌤이 말해줌 ㅎ

뭐 고등학교 과정에서 직관적으로 이해하려면 그런데 실제로 공업수학 연습문제에서 풀 때는 미분방정식을 도입해서 문제를 풉니다.아하 감사합니당ㅎㅎ
20번에서 김성재가보인다...

김성재t 수업 들으시나요네 근데 김성재쌤은 스골만듣고 빠지는게 맞는것같아요 킬러대비하기에 너무 부족한것같아서..

그러셨군요. 저는 김성재t 수업 듣고 킬러 문제 푸는 속도가 비약적으로 빠르게 올라가서 그냥 풀커리 탔습니다. 그냥 취향차라 봐요.너무 기출만강조하시는것같으셔서 다양한문제를 접해보고싶은데ㅠㅠ 근데 김성재쌤실모는 진짜 좋더라고요
평소에 팔로우하고 도움 많이 받고있어요! 이번에도 꿀자료. 감사합니다

자료 잘 봐줘서 감사합니다.
18번 L=10 T=1초 L구간 처음속력 15 나중 5 2L구간 처음속력 20 이라설정했더니 얻어걸림19번 L2=L4=4m t0=2초 설정하니 바로 나와서 얻어걸림
이렇게 계속풀면 위험할까요 물론 대충 값 대입하고 풀면 안되는 느낌? 은 알긴합니다만

네. 수를 대입해서 푸는 발상이 위험한 게 실제로 특정 시간을 가지는 상황을 숫자를 제시하지 않고 주는 문제들이 있어서 대입했을 때 실제 시간과 가정한 시간이 꼬여서 틀리게 되는 문제를 내게 된 사례가 수능에서 있습니다. 아직은 제 뇌피셜이긴 하지만 초기 수능을 내신 분이 이번 6평을 내신 거 같으니 그런 문제가 다시 나오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교과서에서 쓰는 발상으로만 푸는 연습을 하세요.문돌이라서 글내용은 skip 좋아요는 누릅니다

떠오르는 갓갓
세상에 파급 형이 갓이라고 불러주시다니....그냥 물리를 좋아하는 건대생입니다.
고영준 선생님도 물리를 보시는군요
와! 국어 선생님도 이 칼럼을 보시다니! 영광입니다!성재쌤 들으셨나보네요 ㅋㅋㅋㅋㅋ 돌림힘 세모 역세모 ㅋㅋㅋㅋ
덕분에 체화되어 이번 물1도 수능 이후 공부 거의 안 하고도 25분컷 47이 나왔죠.
전 역학 체화가 안되서 베t로 넘어갔는데 ㅋㅋㅋㅋ
역학 괜찮으셨나요?
전 기출밖에 안다뤄주셔서 너무 어려웠으무ㅜㅜ
네. 기본만으로도 충분히 다 역학까지 풀리더라고요. 그 느낌이 너무나도 신기해서 아직도 학생들한테 물리 답해줄 때 기본을 강조하게 돼요.
ㄱㅁ
기만무새 차단
ㄹㅇ 님이 저보다 수능 영역 능력치 500배는 높은듯
와 에피 다시고 그런 소리를
제 2의 자아는 에피 아니고 노뱃지 노눈알 흑운데오
개인적으로 두번째페이지 왼쪽아래엿나 보어원자모형 에너지준위문제 맨날 나오던거랑 느낌이달라서 뇌정지해서 마지막페이지 볼시간이 없었ㅠ 답은맞았맞았는데 맞은게신기 ㅋㅋ 나중에 다시 봐봐야겠네요
너무 기출문제에 익숙해져 있는 듯합니다. 매너리즘이 오신 거 같으니 교과서를 읽어보면서 다소 생소한(보통 교과서 설명이 좀 거칩니다.) 글들을 읽어보며 다양한 상황을 가정해보세요. 저건 눈으로 풀릴 정도로 실력을 쌓아야 합니다.
화학도 해서 보어원자모형 엄청 공부했는데 문제 다시 천천히 읽어봐야겠네요 다시보기싫어서 안보구잇었는데 ㅋㅋ

17번 풀이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ㅠㅠv=루트(2gh)가 어떻게 나오는지 모르겠어요...
P(대기압)+pgh=P(대기압)+1/2 pv^2에서(이 때 대기압은 어디에서나 같으니) v=sqrt2gh가 유도됩니다. 상당히 유명한 식이니 저 정도는 암기하시는 걸 추천할게요.
와우.. hoxy 물1 과외할 생각은 없으신지 ..^0^(진지진지)
과외 4개나 하기에는 제가 좀 빠듯하네요. 그냥 오르비에 질문 올리시면 답해드리겠습니다.

멋지다 멋져문과지만
물리 해설은 닥추임

우주최고..
그나저나 글 마지막이랑 레어랑 이모티콘이 다 같네요 ㅋㅋ노렸죠.
멋있어요
4단원에서 부력,유체쪽이 너무 안되는데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ㅠㅠ
거기는 정말 기본으로 시작이자 끝이에요. 교과서에 적혀있는 문장들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때까지 해당 상황을 문장을 읽으면서 그려보세요.
파렉이나 다른 교재 킬러 풀때는 그나마 좀 풀리는데 왜 평가원 킬러는 손도 못댈까요?ㅠ
제가 기본이 부족한가요? 물리 공부만 몇년짼데 힝
물리 공부가 몇 년차인 게 중요하다기보단 한 문제를 풀고 '아 이거 몇 학년도 몇 번이랑 아이디어가 똑같네' 하고 유기적으로 문제를 보는 관점이 부족한 거 같습니다. 그게 되면 개념+기출+센스가 합쳐져 평가원 킬러가 그냥 귀여운 문제라는 게 느껴집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내일부터 실천할게용
18번 해설 조금만 더 자세히 써주실수있으신가요...?? v관련 연립이 안되네요...ㅠ
앗 해결햇습니다 감삼다
전기력선문제 너무 어려워요ㅠㅠㅠ

솔직히 좀 치사하게 낸 문제는 맞아요. 그냥 전기력선을 그리는 연습+제가 저기에 적어놓은 해당 기출을 푸는 것에 더 치중하셔도 될 듯해요.
짱이다 짱!단위계 변환을 알고 있으면 이런 짓도 가능합니다
https://orbi.kr/00022720319
안 그래도 17번 풀면서 님 칼럼 생각나긴 했어요
14번에서 -d 지점보다 왼쪽에서 전기력이 0이 된다는 부분이 이해가 잘 안되는데 설명 부탁드립니다 !
B의 전하량 크기가 A의 16배 미만인 걸 알아냈으면 전기장이 0인 지점이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직관적으로 이해가 잘 안 가시면 처음에는 그림을 직접 그려보시고 수식으로 확인해보세요. 일반적인 직관에 잘 안 부합하기도 하고 학생들이 순간적으로 착각하기 쉬운 개념이기에 평가원에서 충분히 다시 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15번 개인적으로 역학포함 평가원3년동안 젤 ㅈ같고어려웠음 시험장에서 저걸어떻게 논리적으로풀지..
어떤 면에서 막히셨나요? 혹시 시간을 안 줘서 그런가요? 저 유형은 초기 수능에서 자주 내던 유형입니다. 아마 저게 어렵다고 느끼신 이유가 난이도가 높아서가 아닌 익숙하지 않아서 그랬을 확률이 크다 봅니다.
전하의 경우의수를 힘의크기(부등호)로 판단한다는것 자체가 낯설은 것같았어유 또 부등호를 2개씩 나누면 3개가 나오는데 3개중 멀 먼저해야할지도 결정못해서 오래걸렸던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