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평)빈칸추론 분석. 그리고 출제위원님들아...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3030016
(좋아요는 옯창에게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모아보기밴 풀린 축축입니다.
긴말하지않고 바로 분석 들어가겠습니다.
(처음이라 그런지 사진 편집하기 참 힘드네요. 틀.딱 다된듯)
31번 문항. 첫번째 빈칸문제라서 난도 자체는 쉬운데.. 뭔가 좀 특이한 느낌이 드는 그런 문제였습니다.
일단 해석해볼게요.
1) wildlife damage management라는 것은 종종 "overabundant한, 즉 필요이상으로 넘쳐나는 species(동식물)에 대한 관리"라고 정의되곤 한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너무 narrow하다고 하네요. 여기까지 읽은 후에는, 너무나도 당연하게 그 다음 내용이 무엇일지 상상이 가야 합니다. 당연히 좀 더 넓은 의미의 wildlife damage management에 관해 얘기하겠죠? 그 말은 즉, overabundant하지 않은 species의 얘기를 다루겠다는 얘기입니다.
2) 아니나다를까, "모든" 야생 종은 인류에게 해를 끼치는 활동을 한다고 딱 뜸을 들이내요.
3) 1번에서 밑줄친 부분의 내용이 그대로 나옵니다. 이제부터 이 얘기를 하겠다.. 뭐 그런 말이죠
4) 이에 대한 예시로 California에 서식하는 peregrine falcon에 대한 얘기를 시작합니다. 대충 내용을 보면 이친구들도 endangered species에 속하는데 앙큼하게도 다른 endangered species를 사냥해서 잡아먹는다고 하네요. 즉, 여기서 주체가 되는 overabundant하지 않은 peregrine falcon이 인류에게 해를 끼치는 행동을 한다 이겁니다. 사실 저는 글 초반부에서 뭔가 직접적인 피해에 관해 말할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아서 좀 의외이긴 했어요.
5) 이후에는 peregrine falcon의 행동이 어째서 인류에게 해가 되는 행동인지를 간단하게 설명하는 내용이 나옵니다. 특이하게도, 이 문제에서 정답에 대한 근거는 딱 한 곳에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그냥 신경쓰지않고 정답을 쉽게 고르셨을거라 생각하는데, 근거는 반드시 있습니다. 그게 어디냐면 "In this case, ONE OF THE NEGATIVE VALUES associated with a peregrine falcon population is that ITS PREDATION REDUCES THE POPULATION OF ANOTHER ENDANGERED SPECIES" 이부분입니다.
즉, wildlife damage management의 목적이 "야생 종이 인간에게 주는 해를 줄이거나 방지하는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wildlife damage control이 절대 하지 말아야 하는 것(without)이 무엇인가를 알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바로 population of endangered species를 줄이는 행위란 말이죠.
결국 endangered species=the falcons로 연결되고, 빈칸에 들어갈 harming=reducing its population이 되는 것입니다.
이 문제는 쉽다보니 그냥 자연스럽게 푸신 분들이 많을 건데, 맞추셨더라도 복습하실 땐 항상 근거를 찾는 연습을 하도록 합시당(지금 생각해보니 다른 해설 강의에도 다 이런 내용 있긴 하겠네요.. 괜히 뒷북치는 건 아닌지 흑흑)
다음 문제 32번입니다
한마디로 말하자면...굉장히 실망스러웠던 문제입니다... 일단 해석부터 할게요.
1) 지난 수십년간 고고학자들은 가설세우기-검증하기 과정(hypothesis-testing procedure)을 가지고 연구나 발굴 등을 진행해왔다고 합니다. 여기까지 읽은 후 여러분은 2가지 포인트를 잡으셔야 합니다. 첫째, hypothesis-testing procedure가 무엇일까? 이걸 파악해야겠다는 것과 둘째, (거의 모든 독해문제에 적용되는 말이지만) 지금부터 어떤 내용이 나올 것인지를 대충 떠올려보는 것입니다.
영어지문 많이 읽어보신 분들은 너무나도 잘 아시겠지만, 보통 "지난 수십년간, 지난 수세기간~" 등으로 시작한 글은 그 이면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거의 다 그래요.
2) 첫번째 포인트에 대한 해답이 나옵니다. 대놓고 hypothesis-testing procedure란 이런거야~라고 말해주진 않지만, 흐름 상 이 문장이 뭘 말하는건지정도는 당연히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hypothesis-testing procedure란, 스스로 general theory를 만들고, (실험 등을 통해)테스트할수있는 propositions을 제시한 다음, 데이타를 통해 그것들을 걸러내는 과정이라고 합니다.
3) 그러나 사실 이 과학적 방법(=scientific method=hypothesis-testing procedure)은 종종 어려움에 부딪히곤?비딪치곤? 한답니다. 어떤 어려움일까요?
4) 이 과학적 방법에서 중요한 data가 예상치 못한 의문점이나 트러블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과학적 방법에서의 어려움이 발생한답니다.
5) 이러한 이유로, 이 과학적 방법을 따르는 고고학자들은 fiction을 창조해내곤 한다는데요.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아마 다음 문장에 나오겠죠.
6) 실제로는(in practice) 그들의 work와 이론상의 결론이 _______________와는 별개로 정해진다고 합니다.
ㅇㅁㅇ 오역입니다. 결론이 ______로부터 어느 정도(partly) 파생된다고 해석해야합니다. 오역죄송합니다.
피드백 주신 바나나기차님 감사드립니다.( __ )
7) 정답에 대한 근거가 되는 문장입니다. 이 문제가 실망스러웠다고 했던 게, 사실 이 문장만 보면 문제가 풀리고, 솔직히 지문의 다른 부분이 문제 푸는데 별 상관이 없는 것 같아서 그래요.
제 해석도 31번 문항에 비해 굉장히 밋밋한데, 사실 별다른 추론이나 생각을 하면서 읽을 필요가 없는 지문입니다. 지문 자체가 빈칸추론문제에 그닥 어울리지 않는 느낌이에요.
뭐 어찌됐든, In other words라고 대놓고 정답을 줍니다. 빈칸에 들어갈 말은 즉=(they already knew) the data (when they decided upon an interpretation(=theoretical conclusion))이란걸 너무나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감히 평가해보자면 정답에 대한 근거는 명확하나 답을 너무 대놓고 줘서 난도가 굉장히 낮아진 그런 문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33번 보겠습니다
딱 보니 보기가 짧네요. 정확한 독해가 필수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1) 디지털 기술은 (물리적인)상품에서 서비스로의 전환을 재촉함으로써 dematerialization을 가속화시킨다고 합니다. 이 짧은 문장 안에 중요한 개념이 4가지나 등장합니다. 디지털 기술 상품, 서비스, dematerialization.
2) 서비스의 유동적인 특성(liquid nature of services)은 서비스가 어떤 물질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중요한 점 한가지. 아무도 친절하게 말해주지 않지만, 결국 이것이 dematerialization의 의미와 같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지문의 다른 어떤 문장도 dematerialization이 뭔지 도무지 말해주지를 않아요. 이 문장을 통해 탈물질화의 의미를 파악하라는 것이 평가원의 의도이지 싶습니다. (스포지만, 이 문제도 문제 푸는 데만 초점을 둔다면, 이렇게까지 열심히 읽지 않아도 되는 문제입니다. 그래도 지금은 분석이니깐요 찡긋)이제부터는 서비스와 material의 차이점을 고려하며 글을 읽어가야겠네요. 하,,뭔가 내용이 ㅈㄴ 꼬아져 나올것같은 삘이 옵니다
3) 그런데, dematerialization은 디지털 상품에만 국한된 개념이 아니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다른 무언가에서도 적용될 수 있단 얘기겠죠?
4) 뭐에 적용되는지 바로 나옵니다. 소다 캔(왜 굳이 소다 캔을 예시로 든건지는 모르겠는데)과 같은 physical goods 에서도 역시 원래의 무거운 분자들이 weightless bits로 대체됨으로써 dematerialization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5) weightless bits=intangibles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결국 최종 단계로는 internet connectivity가 등장하네요. 이제 슬슬 윤곽이 잡히는 느낌입니다.
6) 앞서 나온 내용을 바꿔 말하자면, internet connectivity(대충 intelligence)와 같은 Soft(and wetㅎ)한 것들이 알류미늄과 같은 hard things에 embedded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전까지의 내용들로도 대충 빈칸에 들어갈 내용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material goods(hard things)가 bits(soft things)와 결합했으니 어떻게 될지는 뻔한 얘기죠. 하지만 뭔가 근거가 부족했다싶었는지 평가원이 그냥 답을 대놓고 줘버립니다.
Hardware behaves like software.
아.. 결국 동의어찾기놀이였네요..(저는 문제 검수할때 이런 문제는 바로 빠꾸시키는데... 평가원이 이런 문제를 내버리네요)
글 자체가 읽기 약간 까다로워 32번보다는 덜하지만, 약간 실망스러운 느낌이 안 들 수가 없는 그런 문제였습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불만을 말하자면.. 그냥 처음부터 냉장고같은걸로 예시를 들면 되지 인터넷 연결같은건 뒤져도 안될거같은 소다 캔 같은걸 예시랍시고 들고왔는지 참.. 그렇습니다.
마지막으로 어렵게 느끼셨다는 분들이 많은 34번인데요..후,,
흠
왜 이 문제를 어렵게 느낀 분들이 많을까요.
제가 어제 쓴 글에서 이런 말씀을 드렸습니다. 이번 영어 시험에서 킬러 문항은 없는 거나 마찬가지였다고요. 이게. 다른 측면에서 보면 "잘 만든" 문제가 없다는 얘기일 수도 있습니다. 32,33번 보세요. 33번은 말만 ㅈㄴ 꼬아놓고 대놓고 답주고있고, 32번은 말 꼬은거조차 없습니다. 그리고 이번 빈칸추론문항 4분제 다 공통점이 뭐냐면, 지문 앞에서 뭔가 잘 얘기하다가 막판가서 답고를라고할때쯤이면 갑자기 다른 소리를 해버려요. 여태껏 봐왔던 평가원문제에서는 느낄 수 없었던 신선한 병맛스러움입니다.
34번 문제도 보시면, 빈칸 앞까지 뭔가 철학적인 내용을 잘 전개시켜왔어요. negative한 golden rule은 restriction에 초점을 두고있고, positive한 golden rule은 enthusiastic action에 초점을 두고있다는 내용이요. 그런데 또 갑자기 딴길로 가버립니다.
까놓고 말해서 이 문제
이부분만 읽고 못 풀 사람 있나요?
유기적인 글 구성을 통해 정답을 추론해가는 소중한 과정은 깡그리 무시하고, 한두문장에 정답을 우겨넣은 그런...문제들입니다...
수능영어의 꽃은 빈칸추론인데 시발무슨 라플레시아를 가져다놨어요.
34번. 어려울수밖에없죠. 왜냐면, 요행을 바라지 않고 정상적으로 빈칸추론을 풀려는 학생이라면 누구나 지문의 한문장한문장을 정성들여 읽기 마련인데, 빈칸 이전까지의 내용을 문제 푸는데 전혀 도움안되고 오히려 정신만 산만하게 하는 것들로 갖다놨으니깐요.
물론 지문을 끝까지 집중해서 읽는다면, 34번도 앞선 문제들과 같은 방식으로 쉽게 풀 수 있습니다. 그래도 솔직히 이건 아니라는 생각이 드네요..
풀이하다가 갑자기 ㅂㄷㅂㄷ해서 죄송합니다...그런데 앞으로도 문제 이따위로 나오면,, 이게 본래 수능의 목적에 맞는 시험인지 잘 모르겠네요..
내일 빈칸추론 제외 오답률 best 3문항 분석 들고 찾아뵙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장 한줄 한줄 마다 끈덕지게 반응할수 있음 그냥 탈분극 재분극 없이 한방에...
-
중학수학도 모르는 정말 “진짜 노베”ㅇ라 고등수학과정부터 시작해서 대략 6개월정도...
-
6모 언제? 0
6모가 미뤄지나요? 아니면 땡겨지나요?
-
피곤할때 1시간 자고 공부하는것보다 졸음참고 하면서 공부하는게 더 뿌듯하게 느껴짐...
-
걍 사랑한다
-
그러니 여러분은 오르비에서 디씨자아를 너무 많이 꺼내지 말아주세요....
-
92세 김말숙 초반까지 보고 껐다
-
방학때 잠깐 다닐려는데 시스템이 어떻게 되는거임뇨?
-
안 먹고 남겼는데 요즘 입맛이 바뀌었는지 먹게 됨
-
미적 과탐 실수밖에 없어서 반응이 시원찮음 생윤러들아 같이 울어줘
-
"가능할까요?" 시즌4 14
?
-
국어 일타강사분 현강을 듣는데(강민철 아님) 잡담이 너무 많아요. 체감시간으론...
-
오늘 30분정도 상담했는데 쓸데없는 비유만 20분을 하고 뭐 물어봐도 비유적으로...
-
미친 개똥줄 한번 타보면 탐구 공부할때 눈빛부터 달라짐 ㅋㅋ
-
의대갈거 아니면 3
의대갈거 아니면 확통사탐화작이 맞나요? 고대목표 문과가도됨 지금 시발점 미적상 밖에...
-
아니 좀 그럴 수 있는거 아님?
-
계속 냄새 솔솔 올라와서 좆같음
-
민주국가의 국민 각자는 서로를 공동체의 대등한 동료로 존중하고 자신의 의견이 옳다고...
-
작가가 되고싶다 10
하지만 의대는 꼭 가야겠더라 오랜 생강이다...
-
문과 확통하는데 나머지 다 2 이상 띄운다는 가정하에 수학을 몇등급 띄워야 인서울 가능할까요?
-
실은 내가 근 11~12년 전에 대강 예상은 하고 잇엇음. 그 때도 취업 ㅈㄴ 안...
-
치킨피자파티 2
1/100
-
훈훈하다는애들보면 얼굴개나주고 그냥 머리 펌하고 스타일만갖추면 훈훈하다하네
-
야이 기요미야 3
너말이야 너~~
-
예상댓글 : 글씨 꼬라지 ㅋㅋㅋㅋㅋㅋ
-
투데이: 8
아니 제 프사 그만 좀
-
메인 제조기 0
나야나 흐흐ㅡ
-
오류라고 하기엔 좀 그렇고 그냥 질문인데 2번 보기에 단모음 ‘ㅣ’가 반모음...
-
난 진짜 병신이네 12
-
대학생들 와봐요 4
친구들 스토리 보니까 무슨 이름적혀져있고 목에 하나씩 걸고 활동하던데 뭐하는건가요
-
생윤동사꾼은 중간 고사 기간에 지속적인 오르비 활동을 하며 부모님의 기대를 갉아먹고...
-
두 가지 것이 나의 마음을 늘 새롭고 강하게 감동시킨다. 그것은 내 위에 있는 별이...
-
씨발 망했다 2
탄핵 보다가 시간 너무 써버렸다 하
-
있?
-
피자나라치킨공주 3
예전에 유튜버 뒷광고인가 뭐 논란있지 않았나요 왜이렇게 익숙하지
-
고전시가 공부하는데 잔나비라는 단어가 많이 나오길래 함 찾아보니까 원숭이라던데 그때...
-
오늘은 불금인데 6
다들 뭐하심?
-
재매이햄 비호 여론이 장난이 이니던데
-
수능수학 목표 변경 28
중간 2에서 낮은 3으로...
-
총선 졌으면 얌전히 있을것이지 ㅉㅉ
-
칸트는 자기 자신을 속이지 말 것 이란 정언명령에 어긋난다고 보겠군..
-
이것만은 안된다
-
혼술하기 좋은곳 추천좀 12
ㅈㄱㄴ
-
이거 진짜 3점급임? 14
아니라고 해줘
-
수능을 보신 분들이라면 수능장의 분위기에 대해서 잘 알고 계시겠죠. 하지만...
-
이제 안함 오늘은 못해
저도 영어 잘하고싶어요
영어몬하시나보네ㅎ
횽아 이러님가 달라보여
34번이 제일어려웟음
34번 신경써서 써보겠읍니다
후,,
개추
축축쟝 삭제하믄 안돼용
하모

모시쏘EBS라 안 읽은 게 승리자
수능에선 다 읽고 다 맞추는 진정한승리자가됩시다ㅎ

이게 축축좌지축축님이세용? 닉넴이.... 좋아요는 눌렀어요
닉넴은..ㅎ

재능을 멋진 곳에 써주시네요과찬이세요
노베라 34 맞아놓고도 어려운지 쉬운지도 모르겠는데 왜 어려웠던거죠
졵나쉬운문젠데 어렵게 느껴지는거라고 해야할까요 여튼 이번빈칸ㅈㄴ맘에안듦
쉬운거 맞죠? 어렵다길래 내가 잘못풀어서 이상하게 맞을줄
짜잔 문제가 이상헫던 걷이얻읍니다
갸륵 역시 영어황 존잘인싸축추기><
라플레시아 무시하지 마세요
한남다운 미적 감수성이네요
좋아요나 누르새요 라플레시아 닮은 고슬님

1일 1지문 올리는 옵챗 링크나 내놓아요좋아요는 눌렸고 92 100 74가 말입니까
https://open.kakao.com/o/gma8t2db
해설 잘 읽어보았습니다!
실제로는(in practice) 그들의 work와 이론상의 결론이 _______________와는 별개로 정해진다고 합니다.
여기서 partly의 해석이 저의 생각과 조금 다른 것 같습니다. 저는 '부분적으로, (완전하지는 못하지만) 어느정도'라고 해석을 했거든요. 제가 평소에 partly, in part에 대한 뉘앙스를 엄청 강조하는 터라.. 해설 중에 이 부분이 확 눈에 띄었습니다. 실제로 오답률 1위인 34번의 정답의 근거에 표현이 등장했기도 하구요.
아무튼 '별개로'라고 해석하면 제가 생각했던 의미와는 상당히 달라진다고 생각해서 의견을 여쭈어봅니다!
우선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확실히 제가 오역을 한 것 같습니다.
지문 후반부의 내용을 해석할 때 제 주관이 많이 개입한 것이 해당 문장을 해석할 때에도 영향을 미친 것 같습니다.
다시한번 피드백 감사드리고, 글 내용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원래 내용은 줄 그어놓고, 피드백 출처 밝히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 좀 더 꼼꼼하게 체크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 그렇게 까지는 하실 필요 없으셨는데.. 아무튼 제 궁금증이 해소되고 해서 좋네요! 앞으로도 많은 활동 부탁드립니당~!
넵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이 글을 읽으실 수험생들에게 잘못된 해석을 계속 보여주면 안될것같아 수정했습니다. 아래 남겨주신 댓글도 잘 봤습니다. 시간 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불어 한가지 여쭤보고싶은 부분이 있는데 시간 괜찮으시다면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3번 문항 해설강의를 여러편 봤는데, weightless를 "더 가벼운"이라고 해석하시는 선생님들(이름은 언급하기가 좀 그렇네요ㅎ)이 제법 계신 것 같습니다. 저는 그렇게 해석하면 weightless단어 자체의 의미는 제껴두더라도, 지문의 초반부에 나온 dematerialisation의 의미를 잘 파악하지 못한 해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에 관해 고견 여쭙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음 우선 제가 학생들이 아닌 해설하는 분에게 제 입장을 전달하는 상황이라 전달 방식에 신경을 쓰고 있다는 점 알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저도 젖~셍(?)님과 같은 의견입니다.
because 이하의 절을 보면 heavy atoms are substituted by weightless bits 라고 되어 있습니다. (비유적인 표현.. 좋아합니다.)
atoms은 material, 즉 tangible이고
bits는 digital, 즉 intangible 이니
weightless를 '더 가벼운'보다는 문자 그대로 '무게가 없는'으로 해석하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bit는 intangible하며 무게를 측정할 수 없으니까요.
사족을 붙이자면,
+수정) 사족은 없애겠습니다. 댓글이 너무 기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