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할당제로 보는 가성비 좋은 학과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2702183
지역할당제로 보는 가성비 좋은 지거국 학과
지역할당제 원래 권역은 원래 아래와 같이 10개였습니다.
부산
울산
경남
대구·경북
광주·전남
전북
충북
세종
강원
제주
그런데 이번에 새롭게 권역이 합쳐지면서 (진행중)
부산·울산·경남 (33곳)
대구·경북 (23곳)
광주·전남·전북 (28곳)
대전·세종·충남·충북 (31~41곳)
강원 (12곳)
제주 (8곳)
이렇게 6권역으로 바뀔 예정입니다.
(이 중 대전·세종·충남·충북은 이미 합쳐졌습니다.)
이에 따라 공기업에 대해 가성비 좋은 학과를 보면
부산대
- 경제 : 자산관리공사, 주택금융공사, 예탁결제원
- 전기, 기계 : 남부·남동·동서발전
- 화공 : 석유공사
- 토목, 건축 : 한국토지주택공사
경북대
- 토목 : 한국도로공사, 교통안전공단, 건설관리공사
- 화공 : 한국가스공사
전남대, 전북대
- 전기 : 한전, 한전KDS, 한전KPS, 한국전기안전공사, 농어촌공사
- 정보통신 : 한전
- 토목 : 농어촌공사, 국토정보공사
- 기계 : 농어촌공사
- 행정 : 국민연금공단
충남대, 충북대
- 전기 : 서부·중부발전
- 화공 : 가스안전공사
- 기계 : 서부·중부발전, 가스안전공사
+ 토목 : 코레일, 철도시설공단, 수자원공사
+ 기계 : 코레일, 수자원공사
+ 전기 : 코레일, 수자원공사
+ 건축 : 코레일
+ 경제 : 조폐공사
(대전 공기업 10곳이 추가로 지정될 수도)
강원대
- 관광경영 : 한국관광공사
- 토목 : 광물자원공사, 석탄공사, 도로교통공단
- 행정 : 국민건강보험공단
제주대
- 행정 : 공무원연금공단
대충 봤을 때 이정도가 있습니다.
경상대는 경남지역을 먹었다가 부산과 합쳐져서..
울산대도 울산에 자기밖에 없다가 부산과 합쳐져서..
안습해졌네요.
일단 여기 적힌 학과는 2라인 위의 인서울과 비교하여
취업적인 면에서 많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 이상 정보 전달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부산대 상경을 갑시다

ㄹㅇ 부산대 상경이 다른 지거국 상경보다 훨씬 많은 할당을 받음부산대 비상경은 그럼ㅂㄹ인가여

비상경도 상경계열 학과를 복·부전공이나 전과할 수 있고, 비상경이라고 전혀 안뽑는 것도 아니니 없는 것 보다는 낫죠.울산대는 국립아닌디
울산에 대학이 유니스트, 울산대, 울산과기대(2/3년제) 3개밖에 없었어요.
아닌데 님처럼 전문대도 치면 폴리텍은 빼도 춘해보건대도 있는데
그래요. 4년제 2개 밖에 없습니다.

지역할당제 에반디...흔히 말하는 인서울메리트, 서울라이프로 서울소재대학 선호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저거라도 없으면 지방대 선호도가 너무 떨어짐.
정보 감사합니다~!
그나저나 LH 독점하던 경상대와 울산쪽 독점하던 울산대는 안습되버렸네
그럼 세종이없어서지고 충북남이 할당제받나요?
충청권 할당 공공기관을 공유하는겁니다.
고려대세종이 받는다는소리를들었는데
맞는건가요?
네 충청도에 있는 대학이면 모두 받습니다.
부산대 공공정책은 ㅂㄹ?
저는 특히 많이 뽑는 분야만 적은거라 잘 찾아보면 있을거에요.
그리고 지거국이 지역할당제로만 공기업에 가는 것도 아니라..
충남대 건축공 적어욧.. 제발..
음
경북대 컴공이나 충북대 정보통신은 메리트 없나요?
제가 적은건 비교적 많이 뽑는 공기업이라 적게나마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어요
지역할당제 적폐라는생각은나만드나
서울·수도권 대학출신들이 지방으로 발령받으면 현타와서 이직하는 애들이 많기도 해서 생긴거기도 함.
처음부터 지방 근무할당을 두기 위해서.
서울애들 지방가면 죽는 줄 알잖아요. 그리고 지방균형발전 필요하대서 좌파우파 가리지 않고 다 공약으로 거는 건데 적ㅍㅖㅋ서울대 나오신 정치인분들이 만드신 정책인데 의도가 있어서 만든 거 아니겠오요??
좌파 우파 공약거는거랑 먼상관이죠? 그냥 정치인의 지방표를겨냥한 정책으로 밖에안보여요... 애초에 서울사람이 지방을 그렇게 기피하면 기업에서 지방사람을 고용하겠죠. 왜굳이 여성쿼터제마냥 지방할당제를하냐 이말입니다.
확실히 지역인재는 이미 있습니다. 다만 지역할당제를 하는 목표는 서울에 있는 공기업의 지방이전이 목표입니다.
지방에 기업이 적은게 문제인거죠.
그것 때문에 인구유출도 심각하고요.
전라도에 메이저 공기업들이 많네요
굳이이렇게 과별로나눌필요없음..그 기업에서 특정과만뽑는게아니니까 저 과들이 메이저를 이룬다는말이지 막말로 lh공사예로들면 전기직 경영직 등등 다양하게 다 뽑습니다 그니까 학교간판만 해당되면돼여
기업에서 채용할 때 특히 공대는 전공별로 뽑습니다.
쉽게 말해서 기계과가 전기직렬로 지원할 수 없는거죠.
그리고 기업마다 특성이 달라서 뽑는 직렬의 규모가 다 다르고요.
대표적으로 한전이 전기직렬과 정보통신직렬을 수백명 뽑으면 나머지 직렬은 10명 이상 뽑는 것도 별로 없죠.
그리고 인천국제공항공사 마사회 등 일부공기업은 그냥 서울경기인천이외 학교들이 지역인재범위안에 해당됩니다
지역인재랑 지역할당제는 달라요..
그 각종 ist 들도 해당되나요...? 카이스트 디지스트 같은 곳들이요..
그 아이들은 어차피 별로 신경도 안쓸걸요. 대부분이 석사이상이기도 하고.
글이 올라온지 꽤 지났는데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전자공학과로 진학했을때는 전기공학과가 가지는 지방할당제로 인한 혜택을 받기 힘든가요? 전자공학과 전기공학과가 따로 되어있다는 기준에서요..
전기기사따면 전기공과 똑같이 취급받을겁니다. 애초에 기사 난이도가 전기>토목>나머지로 여겨지기는 하지만요..
경북대, 충남대 상경 비교하면 어디가 낫나요?
공기업만 가는것도 아니라서 경북대가 더 낫지요.
부산대 경영이나 경제나 별차이 없나요? 차이있나요?
글이 조금 오래되긴 했지만 댓글 남겨봅니다
경희 상경 포기하고 강원 행정이나 충남 상경 어떻게 보세요?
아 그리고 강원대 행정과 충남 경제가 가성비 좋다고 말씀해주셨는데 지역할당 대충 몇퍼센트 정도 받는지 알 수 있을까요?
강원대는 관광공사와 건강보험공단이 있어서 많이 뽑고, 충남대는 코레일, 수자원, 조폐 등에서 많이 뽑습니다.
하지만.. 경희상경을 포기하신다면 차라리 부산대 상경계열을 가시는게 어떠하신가요?
2차 공공기관 이전에서 금융기관을 다시 부산대가 싹쓸이 할 예정이기도 하고 경희대 상경에서 충남대나 강원대는 너무 지나친 것 같습니다.
강원권 지방할당제 채용규모는 건강보험공단만 해도 100명 가까이 됩니다. (행정, 경영 등)
충남대도 채용규모에 변동은 있겠지만 ~100명 정도 됩니다.
일단 경희대를 생각해보시고, 공기업을 원하신다면 부산대 상경을 쓰세요.
어차피 경희대 상경 갈 성적이면 부산대 상경도 그냥 갈겁니다.
사실 당연히 길게보면 부산대 상경쪽이 당연히 맞는것 같기는한데 아무래도 정시라 이번성적이 평소만큼 안나와 아쉬움이 좀 커서 아웃풋 확실한 지거국쪽가서 안정적으로 하나 만들어 놓고 삼반수 생각을 하고 있는데 부모님께서는 삼반수 할거면 지역인 강원대를 가서 하길 바라시네요...강원대 행정도 건강관리공단을 본다면 나쁘지 않은 선택이겠죠?100명정도면 전체에서 봤을때 대략 20~25%정도가 지역할당을 받는다고 보면 될까요?
감사합니다
지거국이 아닌 일반 지방 국립/사립대도 포함되는 사항인가요?
네. 포항공대같은 지방사립대도 포함됩니다
충남대 신소재공이 나은가요, 숭실대 화학공학과/컴퓨터공학과가 더 나은가요?
충남경제 경북경제 비교하시면 어디가 나은것 같나요?
결국 통합 무산된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