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로케로 [773888] · MS 2017 · 쪽지

2019-03-29 22:10:29
조회수 1,187

등가원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2103163


중력에 의해서 빛이 휘어진다는게 잘 이해가 안되는데 지표면에서의 중력이 약해서 그런가..


한 지구 핵 부근까지 까지 가면 이 사진대로 관측할수 있을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우산과함께연습하다보니우산과한몸이 · 423222 · 19/03/29 22:39 · MS 2012

    빛의속도 영향력이 매우 큰겁니다.
    지표면인지 지구핵까지 가야하는지가 의미 없어요.

  • 케로케로 · 773888 · 19/03/29 22:43 · MS 2017

    빛의 속도의 영향력이 크다는게 무슨뜻인가요?

  • 정식노예 · 851738 · 19/03/30 01:42 · MS 2018

    중력장은 공간을 휘게합니다. 그리고 빛은 이 휘어진 공간을 따라가며 휘어집니다.

  • 정식노예 · 851738 · 19/03/30 01:43 · MS 2018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케로케로 · 773888 · 19/03/30 14:07 · MS 2017

    빛이 중력을 받아 휘어지는게 아니라 중력에 의해 휘어진 공간을 따라 직진하다보니 관찰자가 보기에는 중력을 받아 휘는것처럼 보인다 이 말씀이신가요?
    제가 잘 이해 했나 모르겠네욤ㅎㅎ;
  • 정식노예 · 851738 · 19/03/30 18:13 · MS 2018

    앞으로 쭉 뻗어있는 도로가 있고, 빛의 목적지는 그 도로 너머여서 그 도로를 따라서 쭉 간다고 생각해봅시다.(도로 밖으로는 나갈 수 없다고 가정합시다) 그런데 도로 중간에서 중력장이라는 이름의 업체가 공사를 시작하고 그 공사현장을 중심으로 양옆으로 약간 돌아서가는 길을 만들어놨어요. 그러면 빛은 그 샛길을 따라서 선회해서 가게되는겁니다

  • 케로케로 · 773888 · 19/03/30 14:15 · MS 2017

    그리고 물리에 대해서 잘 아시는거같은데 혹시 빛의 직진성과 굴절에서 빛이 최단시간이 걸리는 이동경로를 택한다는것 두 특성의 차이점도 좀 설명해주실수있나요..?
    참고로 저는 그냥 빛이 지나가는 환경의 밀도에 따라 빛이 방향 전환을 하는구나 이런 식으로 알고있는데, 빛이 자신의 미래(목적지)를 아는것도 아니고 최단시간에 대한 내용이 잘 이해가 안가네요ㅠ

  • 정식노예 · 851738 · 19/03/30 18:07 · MS 2018

    빛의 직진성이라는게 최단시간의 이동경로를 선택하는거와 같은말이 됩니다. 손전등 켜보시면 아시겠지만 빛은 일직선으로 뻗어가는데, 중력이 큰 물체로 인해 그 물체 주변의 공간이 휘어버리면 빛은 그 물체 주변의 휘어있는 공간을 따라서 직진하던 도중 행성 주변을 돈 후에 다시 직진해서 가는거에요!

  • 케로케로 · 773888 · 19/03/30 19:15 · MS 2017

    답변 감사합니다!
    이렇게 지식이 부족한 사람에게 지식을 나누어주고 계시는것을 보니 정말 멋있으세요!
    앞으로도 저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에게 지식을 나누어주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