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1?)빗면에서의 연결물체의 운동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1368682

그림과 같은 상황에서 두 물체의 질량이 같다면 어떻게 운동할지를 생각해봤는데 처음 접해보는 상황이라 제가 함부로 맞다 틀리다를 판단할수없어서 여기서 자문을 구해봅니다. 제가 종이에 작성한 내용이 맞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1368682
그림과 같은 상황에서 두 물체의 질량이 같다면 어떻게 운동할지를 생각해봤는데 처음 접해보는 상황이라 제가 함부로 맞다 틀리다를 판단할수없어서 여기서 자문을 구해봅니다. 제가 종이에 작성한 내용이 맞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빗면 물체에는 m g sin(theta) 쓰세용
근데 그러면 계산 복잡해질텐에요
가속도 구하는 부분에서 분모가 2m이 되어야함요
빗면에서는 중력이 분산되기 때문에 힘이 덜 작용됨
어차피 도르래라는거는 힘의 방향만 바꿔주는 거니까요.
경사가 없고, 각자 다른 크기의 힘 mgsin(theta), mg가 작용한다고 봅시다.
그러면 합력은 mg(1-sin(theta))이고 질량은 2m이니까 가속도 구할수 있겠지요
T는 가속도가 같아야 함을 염두에 두고, 각 물체 A, B에 대해서 Free Body Diagram그려보면 쉽게 구할 수 있고요.
알겠습니다!
여러분들 말씀대로 가속도구할때 질량부분만 2m으로 바꿔서 계산해봤습니다. 그런데 제가 이 상황에서 당황한 이유가 도르래에서는 두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이 평행하게 작용해서 그냥 둘의 차가 알짜힘이잖아요. 근데 이렇게 경사진 비탈에서도 '그냥 빼도 되는건가?' 이 생각이 계속 들었는데 결론만 말씀드리자면그냥 mg-mgsin(theta)로 계산하면 되는건가요?
네넹
경사가 중요한게 아니라, 경사 때문에 생긴 힘의 크기 변화(mg -> mgsin(theta))를 생각하셔야합니다.
경사는 중력의 방향, 크기만 바꿔줄 뿐이죠.
물체에 가해지는 힘만을 고려할 때(=FBD를 그릴 때)물체가 어디에 있는지는 안 고려하고 그냥 힘 벡터 크기, 방향 정도만 고려하잖아요.
이런 맥락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덕분에 많이 알았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