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더타임즈-톰슨로이터 세계대학평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113322
더타임즈(THE TIMES) 2011년 세계 탑 400 대학평가
[TOP400 WORLD UNIVERSITY RANKINGS 2011/12]
포스텍(POSTECH, 옛 포항공대)이 영국 일간지 더 타임스가 실시한 ‘2011 세계 대학평가’에서 53위로 국내 대학 중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 KAIST·서울대는 각각 94위와 124위로 세계 200개 대학에 들었다.
중앙일보 대학평가팀은 더 타임스와 공동으로 세계 대학평가 순위를 6일 동시에 발표했다. 2004년부터 실시된 더 타임스 대학평가는 세계 대학의 수준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자료다. 평가 대상은 세계 600여 대학의 교육 여건·국제화·외부연구비·연구·논문 피인용 등 5개 부문 13개 지표다. 평가 항목이 34개인 본지 평가와는 차이가 있다.
올해는 8년간 미국 하버드대가 지켜온 1위를 캘리포니아공과대(Caltech·칼텍)가 차지한 게 특징이다. 칼텍의 외부연구비가 지난해보다 16% 늘어났고, 논문 피인용이 매사추세츠공대(MIT)와 프린스턴대 다음으로 뛰어오른 게 힘이 됐다.
하버드대는 스탠퍼드대와 공동 2위를 했고, 영국 옥스퍼드대(4위)는 라이벌 케임브리지대(6위)를 따돌렸다. 톱10 중 7곳은 미국 대학이지만 동부 전통 명문인 아이비리그 대학은 하버드·프린스턴 두 곳뿐이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 도쿄대(30위)가 가장 높았다.
포스텍은 논문 피인용에서 세계 39위에 올라 종합 53위를 했지만 지난해(28위)보다 평판도 등에서 밀려 순위가 떨어졌다.
KAIST와 서울대는 지난해 79위, 109위보다 모두 떨어졌다. 연구부문 부진 영향이 컸다. 더 타임스 대학평가 자문위원인 서의호 포스텍 산업경영공학과 교수는 “논문 피인용도가 전체 점수의 30%를 차지할 만큼 명성보다 성과가 중요시되고 있다”고 말했다. 개별 대학 순위는 200위까지만 공개된다.
[중앙일보]입력 2011.10.06
http://www.timeshighereducation.co.uk/world-university-rankings/2011-2012/top-400.html
1. 평가방법
총점 = 교육여건[30%] - 국제화[7.5%] - 외부연구비[2.5%] - 연구[30%] - 논문피인용[30%]
2. 200위 이하 대학은 윗 공식을 이용해서 직접 총점산출이 가능함.
포스텍, 논문 피인용 92점 … 도쿄대 제치고 아시아 1위
이중 아시아 순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30위 동경대 : 총점 74.3 [교육여건86.1-국제화23.0 -외부연구비76.6 -연구80.3 -논문피인용69.1]
49위 북경대 : 총점 65.6 [교육여건82.3-국제화51.7 -외부연구비99.9 -연구64.1 -논문피인용51.0]
53위 포스텍 : 총점 64.6 [교육여건56.4 -국제화25.0 -외부연구비100.0 -연구51.9 -논문피인용92.3]
94위 KAIST : 총점 54.5 [교육여건64.2 -국제화29.3 -외부연구비100.0 -연구54.6 -논문피인용47.1]
124위 서울대 : 총점 50.1 [교육여건64.6 -국제화16.2 -외부연구비42.6 -연구50.8 -논문피인용44.0]
226-250위 연세대:총점 36.5[교육여건41.5-국제화23.3-외부연구비47.9-연구33.6-논문피인용36.9]
226-250위 고려대 :총점 35.8[교육여건39.5-국제화23.4-외부연구비49.7-연구39.6-논문피인용30.2]
301-350위 성균관 :총점 30.7[교육여건31.4-국제화26.6-외부연구비99.4-연구32.1-논문피인용23.9]
351-400위 경희대 :총점 22.8[교육여건37.1-국제화31.4-외부연구비79.9-연구17.9-논문피인용6.6]
이 같은 추세는 6일 중앙일보와 더 타임스가 공동으로 발표한 세계대학평가에도 나타났다. 포스텍은 전체 점수 비중이 30%에 이르는 피인용 부문에서 국내 대학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피인용 부문에서 92.3점(100점 만점)을 얻었기 때문인데 화학·물리·재료과학 분야에서는 압도적으로 인용 횟수가 많았다.
피인용 부문 순위에서 포스텍은 영국 에든버러대, 미국의 뉴욕대와 함께 공동 39위였으며 아시아 대학 가운데 1위였다. 이 부문에서 전 세계 1위(100점)는 프린스턴대와 매사추세츠공과대(MIT)였다. 이에 비해 KAIST·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은 피인용 점수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50점 미만을 기록했다. 아시아 주요 대학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이다. 도쿄대는 피인용 점수에서 69.1점(세계 127위, 아시아 4위)을 받았지만 서울대는 피인용 점수에서 44점(세계 188위, 아시아 12위)을 받는 데 그쳤다.
피인용 횟수만으로 연구 성과를 평가한다는 건 한계가 있다는 게 학계의 대체적인 평가다. 하지만 전 세계 학술지 논문 중 피인용 횟수로 상위 0.1% 안에 드는 논문을 쓴 국내 대학 교수들은 “피인용 횟수가 적다는 것은 남들이 따라 할 수 없는 창의적인 연구 성과가 부족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외국 대학과의 차이는 비단 피인용 횟수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전체 점수의 30%를 차지하는 연구 부문에서 1위를 한 UC 버클리가 100점 만점에 99.4점을 기록한 반면 국내 대학에선 KAIST가 54.6점(세계 71위)을 나타냈다.
국내 대학들은 전체 연구비 중 정부 지원 연구비 비중에서는 외국 대학과 큰 격차가 없었다. 그러나 전 세계 교수와 연구자 등을 대상으로 연구 성과에 대한 평판도를 묻는 여론조사 항목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국내 대학들의 인지도가 낮다 보니 나타난 현상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중국대수 풀어라 0
-
좀 졸리네 5
허
-
생명과학I에서 다인자 문제를 풀 때는 델타와 비율을 활용하면 편해요. 델타는 상동...
-
물2 자작 (old:4-Idioms Included!) 9
...풀어보기 전에 잠깐 제 말 좀 들어보세요. 몇몇 분들은 모르시겠지만, 저는...
-
왜 스카만 오면 티처스가 보고싶지
-
고1에 통합과학, 사회 후 고2에 사탐. 과탐 선택하는 건가요?? 물화생지1은 모두...
-
ㅇㅈ 5
어릴 때 사진 찍기 싫어해서 인상 찌푸리고 찍음 항상 카메라 피해다녀서 사진 많이 안 남은 거 아쉽
-
중국기하 풀어라 5
-
25분 컷이 나노 ㅋㅋㅋㅋㅋㅋㅋㅋ
-
사1과1로 롱숏 다 발라먹어보자
-
재수생이고 작년에 사놓고 안푼 국어 실모가 있는데 시간 맞추는 연습용으로 풀어도 되겠죠
-
유체역학할 때의 그 짜릿함 근데 지1은 정성적인 것 같아서 좀 그러ㅁ
-
갓생산다 7
오르비 뜸해지기 시작함
-
지금 중3이고 고1 독서 파트는 한 지문당 가끔가다 한개씩 틀리고 거의 대부분은 다...
-
스탠모 나온다 2
기대된다
-
오르비안녕 11
-
유네스코랑 문학론 뭔차이인가여 유네스코만 해도 됨??
-
ㅋㅋㅋㅋ
-
문 안열어주길래 좀 더 앞으로 가서 열어주려나보다 하고 기다리는데 갑자기 빨리 와요...
-
스킨케어도 다바꿈 목표는 걍 평범해지는거임뇨 뒤처지지 않도록 조금씩 진전은 있어요 레츠기릿
-
무시하지마라노ㅠ
-
초코민또 요리모 아나따~!
-
기출코드 <-- 이건씨발그냥신임
-
이 있을까요?언제 다시 독서가 어려워질지는 모르지만 최근 몇년은 독서가 무난하다는 평이었는데
-
4개월만인데 요즘은 이런거 안하나??
-
와세다vs연세 5
wow strong vs year strong
-
동의대를 쓴다 놀랍게도 고졸이면 어떻게든 붙기가능
-
그렇게 새로운거 주고 분석시키는걸 고난도로 끌어올린 언매 장지문같은거 잘 대비가능한 문제집 있음?
-
Yonsei univ. 욘세이 다이가쿠
-
5등급이면서 일요일 풀로 쉬는 하...
-
Lnx 질문 1000덬 21
미분은 무시하고 버ㅏ주세요 항상 저렇게 내릴때 절댓값을 씌워야하는거에요??
-
'그림자'란 물체에 의해 빛이 차단되어 생기는 그늘이다. 19
빛의 직진성의 결과 중 하나로, 불투명한 물체가 광선을 막아 원래라면 빛이 있었을...
-
색스(칼)를 보여주마
-
아직 둘다 갈 수 있는 성적대도 아니고 좀 주제넘는 이야기 같긴한데 그래도...
-
수1때는 뭘 체화해야 할지도 느껴졌고 실제로도 도움됐는데 수2 개형추론 킬러에선 난...
-
개정 시발점 1
교육과정 마지막인 08인데 시발점 수2랑 미적1(개정)중에서 뭘 듣는게 나을까요?...
-
우리 사촌누나 고려대라고 잔뜩 뻥치고 다녔는데 ㅋㅋ 오늘 과잠을 보니까 "korea...
-
안 계시려나..
-
화작이랑 언매랑 표점 차이로 되게 신중하게들 고민하시잖아요 회작선택이랑 언매선택에...
-
거의 문제풀이 강좌죠??? 어떠셨나요???
-
나는 자지 않는다
-
음 이래야 커뮤지
-
학교 진로진학 쌤이랑 상담했는데 내가 6수의 쓴다고 말씀은 안드렸는데 쌤께서...
-
폰 급나누던 세대 있나요
-
제목 그대로 26수능 준비하는 군수생인데 탐구 생1지1으로 하다가 과탐폭망 이슈로...
-
세지 vs 정법 2
뭐가 더 만백 잘 나올까요?
-
아 배부르다 3
임신 8주차임요
-
빰빰빰 마취된거같아 손오공
-
0에서 극대 X=양수 지점에서 접한다 무조건 하나는 근을 가지는데 저 형태는 됩니까
-
포스트 아포칼립스 서울대(편의상 서울대로 설정) 학과 데스매치 과+이유 ㄱㄱ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