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헌법적인 대입현실(수시 비리와 문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1052330

대한민국 헌법 전문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민주이념을 계승하고, (생략)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각인의 기회를 균등히 하고, 능력을 최고도로 발휘하게 하며, 자유와 권리에 따르는 책임과 의무를 완수하게 하여, (생략)
제11조 ①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 누구든지 성별 · 종교 또는 사회적 신분에 의하여 정치적 · 경제적 · 사회적 · 문화적 생활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
제31조 ①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2001년 전면적으로 실시된 대입 수시 제도는 벌써 19년째이다. 1980년대 학력고사와 내신 및 1990년대 수능 또는 내신만으로 대학 신입생을 선발하던 제도에 비해 2001년부터 지금까지 수시와 정시 대입 제도는 과연 능력 중심의 차별 없는 기회균등이라는 대한민국의 헌법 정신과 가치를 제대로 구현하고 있는것일까? 2001년 수시 첫 해부터 지금까지 많은 학생과 학부모들을 상담하면서 우리나라의 교육현실과 대입제도는 매우 반헌법적임을 뼈저리게 느낄 수 있었다!
2001년부터 지금까지 수시 현장에서 직접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수시 비리 또는 비리가 의심되는 사례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시 초창기(2001년 ∼ 2003년)
면접 이틀 전날 한 학생이 문제지를 들고 와서 연습을 시켜달라고 했는데, 그 문제지는 단국대 실제 면접문제였다. 아버지가 단국대 교직원이라고 했다. 합격을 했는지는 따로 확인하지 않았다.
한 여학생이 서강대 가톨릭추전전형 자기소개서와 추천서를 써달라고 했는데, 성적이 너무 안 좋아서 어렵다고 했더니, 아버지가 서울시 교육청 고위간부라고 했고, 아버지가 교육부 관료인 한 학생도 성균관대 자기소개서와 추천서를 쓰기만 하면 합격한다고 써달라고 부탁을 했었다. 두 명 다 시간이 없어서 써주지는 못했다.
고려대 언론학부에 지원한 한 남학생은 아버님 지인이 그 대학 교수인데, 합격자 발표 일주일 전에 논술, 면접, 종합 등수를 전부 알려주었다. 내신 성적은 불합격인데, 면접은 1등, 논술은 2등을 해서 종합점수는 합격을 했다고 한다.
고려대에 지원한 한 남학생은 성적이 안 좋았는데도 합격이 되었다. 알고 보니 부모님이 두 분 다 사립명문대 교수였다. 면접을 상당히 잘했다고 한다.
2. 수시 중반기(2004년 ∼ 2009년)
연세대 치대를 지원한 학생 아버지가 서울대 자연과학부 교수였는데, 면접문제가 수학 어느 단원에서 나온다는 것을 미리 알려주었다. 수시로 연대 치대에 합격한 8명 중에 7명이 과학고 출신이었고, 이 학생만 강남의 일반고 출신이었다.
경희대를 지원한, 지방대를 다니던 학생이 성적도 부족하고 논술과 면접 다 전혀 준비가 안 되었는데도 합격했는데, 어머님이 단과대 학장과 절친이었고, 4년 뒤에 성적이 더 안 좋은 동생도 그 학과에 수시로 또 합격했다
연세대 공대를 지원한 학생이 내신이 크게 부족했는데도 합격을 했다. 아버님이 중견기업체 사장이고, 지원한 학과가 그 업체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고, 그걸 자소서에 썼다. 면접도 없는 우선선발로 합격했는데, 일반선발로도 합격되기 어려운 내신이었고, 비교과 활동도 거의 없었다.
3. 수시 초기부터 지금까지
자소서 문항 중에 지원동기를 쓰는 것이 있었는데(지금은 4번 문항으로 대학에 따라서는 없기도 하다), 여기에 가정, 학교, 지역 환경이나 부모님 직업을 쓸 수 있었다. 이 문항만 잘 써도 성적이 크게 부족하지 않으면 대부분 합격했다. 주로 부모가 재벌, 사업가, 기업간부, 법조인, 의료인, 고위공무원, 대학교수와 교직원 및 재단관계자, 교직자, 사학재단간부, 부동산 임대업자, 성공한 자영업자 등등. 그리고 대입 실적이 좋은 고등학교와 지역의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합격이 잘되었고, 면접을 잘하지 않았어도 가정, 학교, 지역이 좋으면 합격이 되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실제 많은 대학들이 여전히 서류와 면접 평가 때 학생거주지, 출신학교, 부모님 직업 등을 노출하고, 심지어 일부 대학들은 면접관에게 지원자의 이름과 주소도 공개한다.
능력 중심의 차별 없는 기회균등이라는 헌법 정신과 가치가 대입 현실에서는 심각하게 훼손, 파괴되고 있는 것이다!
현재의 수시제도를 정시 특별전형으로 대체하여 축소하고, 수능을 7월과 10월에 두 번 실시하고, 수능 국 • 수 • 영은 원점수로 하고, 나머지 수능 과목과 내신 전과목은 절대평가로 변경하고, 대교협이나 교육과정평가원 또는 새 대입기구에서 정시 일반전형과 특별전형을 10지망까지 일괄적으로 지원을 받아서 통일적으로 결과를 발표하면, 수능을 잘 보고도 이번 정시처럼 원서접수를 잘 못하여 억울한 결과를 받게 되는 경우도 없어지게 될 것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근데 텝스는 0
327이 백분위50이 되게 만든 절상평 절충 시험이라 표본 수준이 제일 중요함 내가...
-
네 대영 1 스타트한 사람 살아있어요
-
비냉먹고싶은데 0
배달은 개비싼데
-
씹년들아
-
청해 뒷부분은 뭐라는지 들리지도 않았고 어휘는 키보드에 머리 박은 것 같은 단어가...
-
융전이 왤캐 좋아보이지
-
얼버기 1
이제 공부하러
-
내가 장바구니에 담고 결재를 안했네 크아아악
-
크크 합격했어요
-
“구슬아이스크림 4가지 맛 한 번에 먹기“
-
자신감을 갖고 텝스 진심을 다해서 봄 존나 넉넉한 점수로 기영 뜸 아
-
수학 자이풀때 0
근데 수학 자이풀때 해설은 인강 강의로 봐요 보통? 자이 해설구리다던데
-
후자 고르는 사람 많을까? 진짜 요즘입시 모른다면
-
수특존나못생겼네 0
크아악
-
얼버기 4
진짜임
-
조금만.
-
전 감바스요 감바스기온앤온을낋여오너라
-
얼버기 4
-
알려주삼
-
절 대 적 백 해 한문지 땜에 설대식 4.5점정도가 왔다갔다해 에혀 수학 실수만 안하면 좋겠다
-
작년에 못딴 에피 올해는 딴다
-
몇위???
-
오늘 깔끔해지네 역시 통제 불가능한 우울감이 들 때는 잠이 답이야
-
효과가 좋군 4시간 잤는데 괜찮네
-
오댕이는 귀여운데 뭔가…..좀 그럼 혹시 구매한 분 계신가요
-
"해마다 만표는 달라지는데 " 라는 말이 만점말하는거임???
-
수능 미적분 2
27~30번 출제 어떻게 되나요 매번 올해 20번처럼 신유형처럼 팍 튀어나오나요...
-
무등비 삼도극 1
드릴 3,4에 무등비 삼도극 풀어야할까요?
-
설문과를 노려보자
-
시장상황인듯 요즘 에타보면 하닉 칼취>의사 라는 이야기도 보이는데, 하닉이 지금처럼...
-
물개물개라고 합니다. 300점으로 합류하게 되지 못해 조금 아쉽네요 앞으로 잘 부탁드립니다
-
캬...... 처음타봄
-
다들 알고계셧겟지만.. 참고하세요
-
이게 맞나?
-
최소한 저한테는 후자가 훨씬 확률 높음 후자는 현역시절 모고 경험 있음 + 최근...
-
설대식 379 16
수학두개 맞으면 +8.4점 387.4 물리 대신 경제 44하면 +8점 395.4...
-
2026 수능특강 영어 자료 n빵 하실 분 구합니다. 0
안녕하세요. 독학하는 고3입니다. 2026 수능특강 영어 지문 분석 또는 워크북...
-
어삼쉬사 자이스토리 별 1,2개 푸는게 맞지? ㅠㅠㅠ
-
"블랙슈트에 날렵한 턱선".. 방시혁, 홀쭉해진 비주얼로 공식 석상 7
[파이낸셜뉴스]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체중을 감량한 모습으로 공식 석상에 나타나...
-
ㅈㄱㄴ.. 허들링부터 다니려 하는데 들어보신 분들의 후기가 궁금합니다
-
근데 돈은 없다 월급날이 멀다...
-
진로 취업 회사생활 학교생활등 다 괜찮습니당
-
문제는 2509급 나와도 다풀 생각을 안한다는 거임
-
베르테르 66번 8
결국 패배를 인정하고 외적써서 품 안쓰고 하는 풀이를 도저히 모르겟다
-
화작확통사탐기준이요
-
궁?금
-
아개졸리뇌 8
-
ㅈㄴ 열심히 썼는데...
-
16학점인데도 으하하
현실은 서민이 교육을 받을 권리가 박탈되는 현실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