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하★ [270362] · MS 2008 · 쪽지

2011-11-14 12:26:51
조회수 264

서강경영논술후기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069679


1번문제요;..

810자를 반반 해서 두 단락으로 구성했구요..


개념을 정의할 때 규범적인 성격과 기술적인 성격을 함께 고려해야한다.. 라는 관점은 가 다 라  로 봤구요..


규범적인 성격과 기술적인 성격을 구분해야한다 라는 관점은 나 마   로 봤어요..

구체적으로.. 가 는 중국에서 어떤 개념을 정의할 때 기술적인 성격과 규범적인 성격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다 는  '명'이라는 개념을 정의할 때에서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라 는 중국의 언어는 표현적인 성격만 지니는데..


이것은 잘못된 관점이기 때문에.. 기술적 성격또한 고려해야한다고 보는 게 필자의 관점이다,..


반면에,, 나 는 윤리적 가치주의?와 심리적 가치주의? 는 별개의 것으로 구분되듯이.. 규범적 성격과 기술적

성격을구분해야한다, 마..또한 유전적 지식이라는 기술적 성격이 인간에 대한 윤리 라는 규범적 성격을  반드

시 보장할 수 없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두 개는 서로 별개의 것으로 구분해야한다.라고 썼어요..


두 번 째 단락... 타당성과 관련해서는..두 견해 모두를 비판했는데요... 개념이 의미하는 바가 어떤 것이냐에

따라서 규범적인 성격과 기술적인 성격이 구분될 수도 있고 함께 고려되어야할 수도 있다고 썼어요.... 이를

위해서 '규범' 과 '기술'이라는 것의 의미를 제 나름대로 정의했구요.. 규범은 보편적인 가치를 내포하는 것이고..

기술은 관찰가능한  현상에 대한 해석이라고 정의하고 나서.... 결국.. 정의하고자 하는 개념이 윤리적 가치, 도덕적 덕목 같은 경우에는 규범적 성격이 기술적 성격보다 우선한다.. 예컨대.. 생명윤리와 같은 경우에 보

편적인 가치가 현상에 대한 해석보다 우선한 것이다.... 하지만.. 정의하고자 하는 개념이 문화 , 언어와 같은 경우에는 기술적 성격과 규범적 성격이
함꼐 고려되어야한다.. 예컨대.. 문화는 보편적인 가치와 사회 구성원들이 나타내는 현상에 의해서 규정된다..라고 했어요



2번문제요....
이 문제는 크게 3단락으로 구성했어요..


첫번째 단락은 가 나 다 를 각각 분석했구요... 두 번째 단락은 가나다 를 통해 뽑아낼 수 있는 개념의 틀을 제시햇구요..
마지막 단락은  라를 분석하고 이를 위에서 정의한 개념의 틀을 통해 다시 분석햇어요..

구체적으로.. 1단락,... 가 는 밈에 대해서 말한다. 가에 의하면 밈이란 모방의 단위로서 어떠한 것이 꾸준히 전승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밈은 두 가지의 특징을 가진다. 첫번째로 밈은 개체들이 서로 경쟁을 하면서 발전하는 특징을 가진다.두번째로.. 밈은 인간 뿐 아니라 새와 같은 동물에서도 나타난다.  나 는 인간의 마음에는 이성이 내재함을


말한다. 여기서 이성은 추론적 능력을 의미한다. 나에서 알 수 있듯이 이러한 추론적 능력은 3개월 된 아기도가지고 있는 것이다. 즉, 내재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다. 다 는 마음은 다양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즉, 언어, 교육 등의 능력을 나타낼 수 있다.

2단락...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세 가지의 마음에 대한 개념을 구성해볼 수 있다. 첫째로.. 마음은 내재적으로구성되면서 외적 상황에 의해서 변화, 발전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인간은 이성적 능력을 지닌다. 마지막으로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마음은 다양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3단락... 라 는 세 가지의 것을 제시한다. 먼저. 문화는 각각의 사회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라의 설명은2번째 단락에서 제시한 첫번째 개념의 틀로 해석이 가능하다. 인간의 마음은 모방적 단위인 밈을 부여받지

만사회적 상황에 의해서 변이. 발전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라는 문화가 인간만의 소유물인지를 의문시하면서인간이외의 동물도 지닐 수 있다고 본다. 이는 2단락에서 제시한 세 번째 개념으로 제시할 수 잇다.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마음 또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 이외의 동물사회에서도 문화가 나타날 수 잇는 것이다.마지막으로 라는 인간과 인간이외의 동물을 구별할 수 잇는 뚜렷한 차이점은 상징능력이라고 본다,. 이는


2단락에서 제시한 두 번째 개념의 틀로 해석할 수 잇다. 즉. 인간은 인간 이외의 동물과 다르게 이성적 능력을가지고 태어난다. 이러한 이성적 능력은 상징화 할 수 잇는 상징능력을 포함하는 것이다.

방향 제대로 잡은 것 맞나요...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