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아틀라스 [821148] · MS 2018 · 쪽지

2019-01-11 18:19:00
조회수 414

여성혐오라는 말에서 혐오는 사전적 의미를 벗어난 뜻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0679125

그럼 전 “ 따귀를 맞았다 “ 문장 에서 따귀 를 “ 파프리카 “ 로 바꿔서“ 파프리카를 맞았다 “ 라고 하겠습니다.

어색해보이지만 전 파프리카를 사전적의미를 넘어선 의도로 썼기에 문제될거없다고 생각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액양이는고체 · 845388 · 19/01/11 18:21 · MS 2018

    번역할 말이 마땅치 않은 거랑 임의로 아무 뜻이나 갖다붙이는거랑은 본질적으로 다르죠?

  • 잭아틀라스 · 821148 · 19/01/11 18:22 · MS 2018

    여성혐오라는말이 뭐 해외에서 굴러들어온 미소짓니니 뭐니 그걸 번역할 말이 마땅치않다는거죠?

  • 액양이는고체 · 845388 · 19/01/11 18:22 · MS 2018

  • 잭아틀라스 · 821148 · 19/01/11 18:25 · MS 2018

    번역할 말이 마땅치않아 모호하고 논란이 있을법한 단어를 마음대로 붙이면 그걸 모르는 일반인들에겐 혼란이 오고 오판을 할 수 있다는것도 그렇죠?

  • Cyberpunk · 940305 · 20/07/05 21:35 · MS 2019

    뒷북이지만 예를들면 외국에서 여성을 만만하게보다 라는 내용의 s@@#@라는 단어를가지고와서
    한국어로 여성강간이라고 오역해서 누가 여성을 만만하게보면 여성강간하지마세요! 라고 하는꼴
    그리고 그게 널리퍼져서 모두가 만만하게 보다를 강간이라는 단어랑 동일시하고있다는거

  • Cyberpunk · 940305 · 20/07/05 21:37 · MS 2019 (수정됨)

    그리고 그게 여성강간이면 남자를 만만하게보는 남성강간은 없냐?라고 따지니깐
    여성강간은 s@@#@에서 나온말로~~어쩌구 저쩌구 해서 결론은 남성강간이라는 단어는 없다 이렇게 말하고 다니는거

  • 장판 · 734100 · 19/01/11 19:30 · MS 2017

    근데 번역이 마땅치 않으면 그냥 외래어 그대로 쓰면서 모르면 공부하라고 하면 되지 굳이 논란이 생기는 단어를 꿋꿋이 고수하는 이유는 뭐죠?

  • 21cent · 815770 · 19/01/11 22:32 · MS 2018

    마땅치 않으면 번역을 안하고 원어 그대로 쓰면 되죠? 왜 마땅치 않은 걸 알면서 굳이 번역을 할까요?

  • ku20 · 844426 · 19/01/13 00:14 · MS 2018

    실기 잘 하고 계시나요?

  • 잭아틀라스 · 821148 · 19/01/13 00:33 · MS 2018

    아.. 네 국민대는 최종발표만 기다리고있고 홍대는 미활보넣었고 단국대 준비하려고 기디 하고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