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벌식 키보드 10개월 쓴 후기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0679101
안녕하세요 블록체인 글도 쓰다말고 술 글도 쓰다만 게으름벵이 개발자입니다. https://orbi.kr/00016791211 로 2018년 3월부터 세벌식을 쓰겠다 했는데 벌써 1년 가까이 됐네요. 이제 세벌식 쓸줄 안다고 할 수 있을 정도가 돼서 나름 후기글을 써봅니다.
쓰고나니 기네요 ㄷㄷ 그래도 읽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사실 전...변태입니다(?)
사실 전 영문 키보드도 쿼티를 쓰지 않습니다. 콜맥이라는 걸 쓴 지 몇년 됐네요. 타자기 꼬이지 말라고 일부러 느리게 만든, 피로한 쿼티가 싫었는데 드보락은 뭔가 너무 모든게 휘저어지는 느낌이라 맘에 안들던 차에 콜맥이라는 게 있단 걸 알고 이걸 썼습니다. 한달정도 연습하니 적당히 쓸만해지고 3개월정도 쓰니 익숙해지더라고요. 1:1 매칭을 머릿속에서 돌리면서 타자를 연습하면 됩니다. (대신 쿼티를 까먹어서 남의 컴 쓰면 되려 타자가 느려지고 오타가 많아짐 ㅋㅋ)
그래서 한글도 세벌식을 써보고 싶어졌어요. 네 큰 실수였죠. 세벌식은 종류가 매우 많아요 390 391 최종 순아래 등등.. 심지어 새로 개발중인 세벌식도 있습니다. 전 2017년에 새로 나온 세벌식 모아치기 e-2017 (세모이 2017) 자판을 선택했습니다. 여러 세벌식을 연구하신 분이 만들었고 몇번의 개선/수정을 거쳐 나온 버전이기 때문에 + 모아치기가 가능하다는 것 때문에 + 피로도가 적은 테스트 결과 때문에 이걸 골랐죠. 결과는 참담했습니다.
# 적응기
처음에는 글쇠 위치조차 머리에서 떠올리기 힘들더라구요. 영문의 1:1 매칭과 자모음->초중종성 변환은 작업 난이도의 차이가 제 예상보다 10배쯤 심했던 것 같아요. 연습 초기에는 10분정도 타자 치면 머리가 과부하걸리는게 느껴질 정도였으니까요. 그리고 두벌식으로 치면 금방 끝날 걸 붙들고 있다는게 진짜 열받습니다(쉬운 길 생각은 항상 나게 마련입니다. 콜맥 초기에도 그랬어요). 한달쯤 하다가 사실상 포기했었습니다.
6월쯤 되니 뭔가 오기가 생기더라구요. 콜맥에 쓴 2배인 6개월만 더 하고 안되면 말자는 생각으로 컴 입력방식에서 두벌식을 과감히 삭제했습니다. 그리고 고통의 나날들을 보냈죠. 급하게 글 쓸 때는 폰으로 써가며 살았습니다. 엄지 두개보다 10배나 느린 열손가락... 그렇게 3개월쯤 쓰니 적당히(어디까지나 적당히입니다. 이 글을 쓰는 지금도 두벌식이 더 빨라요) 쓸만하더군요. 그래서 열심히 쓰다가 12월부터년 모아치기를 연습하기 시작했습니다.
이건 영상을 보여드리고 싶은데, 한 글자를 이루는 초중종성을 동시에 눌러서 한 타(?)에 한 글자씩 입력하는 방식이 모아치기입니다. 세벌식만 가능하고, 속기사분들이 속기 키보드로 모아치기 하는 영상같은 걸 보면 놀라울 지경입니다(속기 키보드의 세벌식은 일반 세벌식과 또 다릅니다. 약어나 매크로가 많이 있어 한번에 10글자씩 칠 수도 있어요.). 자리는 다 아니까 쉬울 줄 알았는데 이게 또 손가락 힘 배분 문졔도 있고 입력 flushing 문제도 있어서 싱각보다 적응이 잘 안됩니다. 한번에 2~5개정도의 자리를 떠올려 눌러야 되는 것도 난이도에 한몫 하고 한번에 치려니 손가락 위치가 바뀌는 경우도 있네요. 어쨌든 본격적으로 쓴지 8개월쯤 된 지금은 두벌식 키가 헷갈리는 경지(?)에 도달했습니다.
# 그래서 두벌식은?
흔히 근육기억이라 하죠 머리로는 어딘지 모르고 딱히 생각 안해도 몸이 자동으로 알아서 하는 그런거요. 제게 두벌식은 그런 존재가 됐습니다. 그리고 아마 점점 흐려지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https://youtu.be/MFzDaBzBlL0 여기 보면 비슷한 걸 시도한 얘기가 나오는데요, 유명하니 아시는 분도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여기 후반부에 보면 주인공이 다시 일반 자전거를 타는 부분이 있는데 제가 두벌식 키보드를 쓸 때 정확히 같은 일이 일어나요.
어디가 어딘지 무슨 키인지 전혀 모르고 이상한 키를 1분정도 막 누르면서 다 틀려요. 그러다 갑자기 짠 하고 두벌식이 잘 쳐집니다. 두벌식 배열을 떠올린 것도 아닌데요. 매번 신기한 경험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때 제가 스스로 세벌식을 쓸줄 안다고 할 수 있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하나 재밌는건 폰으로 타자 칠때는 또 자연스레 두벌식을 안틀리고 써요. 가끔 세벌식이 머리에 지나가 방해하기는 하지만 머리에 폰용 메커니즘은 키보드 매커니즘과 양립할 수 있게 저장되고 사용되는 것 같아요.
# 추천?
콜맥에 대해서는 강력히 추천합니다. 특히 영어를 많이 쳐야 하는 사람이라면 더더욱이요. 키맵 바꾸고 피로도가 엄청나게 줄었습니다. 익숙해지니 속도는 쿼티랑 비슷하거나 더 빠른 것 같구요.
세벌식에 대해서는... 글쎄요 세벌식이 더 빠르다 하는데 저같은 초보는 당연히 아직 모르고, 피로도도 아직은 잘 모르겠습니다. 안쓰던 근육으로 타자를 치려니(특히 모아치기) 힘은 더 드는 것 같아요. 시도할 가치는 있다 생각합니다만 콜맥처럼 만나는 모두에게 권하지는 못하겠어요. 일단 러닝커브가 어마어마합니다. 그리고 1년 가까이 썼지만 기존 타자 속도 따라가려면 멀었으니 성질도 많이 납니다. 뭐 암호를 안걸어도 보안이 되는 장점은 있습니다만, 그냥 암호를 거세요 ㅋㅋ 다른사람이랑 같이 뭘 하기가 힘들어지는 것도 있구요. 뭐 이런 이유들로 인해 세별식은 충분히 숙고하고 공부하고 도전하시길 권합니다.
# 앞으로?
뭐 일단 목표는 세벌식을 빨리 치게 되는 거고, 그 다음으로는 잃어버린 쿼티와 두벌식을 되살려보고자 합니다. 그럼 4개의 키맵을 쓰게 되는거죠. 못할 건 없다 생각합니다만 그게 됐다고 글 쓸 날이 언제 올 지는 장담을 못하겠습니다.
그럼 다들 입시에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며, 조만간 컴퓨터 글로 찾아오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학기4.5간다 1
디졋다과탑간다
-
캬캬
-
엄 2
.
-
준 0
.
-
식 0
.
-
아 인생망했네 3
오늘도 못잤다
-
기차지나간당 0
부지런행
-
@목표는 설체 1
복권 10만덕어치 정산 결과 손익: 561500-100000=461500 1등 2회...
-
아직도 ezㅋㅍㅅㅌ 계속 하심??? 이전했던데
-
이거 맞나...
-
2시간 30분 4
후에 봐요
-
현장에선..
-
입력만 있음..
-
그냥 머리가 하얘지는 그 느낌이 너무나 싫음요
-
심심한님께.. 5
제 똥글에 주제의 많은 지분을 갖고 계신 심심한님께 심심한 사과를 전합니다 다음엔...
-
1 10 틀려서 45였는데
-
라면 3
부셔 먹는중
-
게임잘하고십다 5
아오
-
터진다 3
식욕이
-
오공완 6
정신력에 한계
-
그래 사실 내가 1
에겐남이 되기위해 속눈썹을 붙이고 다닐 수도 있는거자나 그치
-
행복하세요.. 3
오늘은어제보다,, 나을거에요..
-
개늦었다 진짜
-
진짜너무하시네요 2
왜아무도댓글을안달아줘
-
네
-
연세 4
가고프다
-
저도 질문좀 31
깔끔하게 딱 질문만 받고 공부하러가게
-
다산 정약용...
-
질문 받습니다 31
없으면 질질 짤거임
-
고2 3
수시로 갈 생각인데 최저는 무슨 과목으로 맞추는게 좋나요?
-
심장은 두근대
-
전세계에 있는 모든 약을 구매하면 뭐게..? . . . 전세계약사기...
-
취업 난이도, 스펙트럼, 페이, 근무환경(지역이라든지..) 등등 다 고려했을 때...
-
하루 밤 새야함?
-
항상 느끼지만 본인 스스로를 깎아먹지 않는 게 중요한듯 16
결국 내 인생은 내가 사는거지 남이 살아주는 게 아니니까 인생에 굴곡이 없는 사람도...
-
안자는사람 1
노래추천해주ㅜ
-
왜 새르비 죽어써 15
아직 3신걸????
-
내공부동기부여임시발 트라우마 존나게옴
-
얼마범
-
이거왜이리좋냐 2
개맛도리인데
-
그 사람은 상당히 유머러스한 존재일 것임 보통은 판다가 ~~를 판다까지만 생각하거든
-
사자야 사자를 사자
-
5년 전의 낙서 귀엽자나.....
-
지듣노 0
-
안녕하세요 국가사입니다. 요즘 너무 바빠서 글을 잘 적지 못하고 있네요ㅎㅎ...
-
쿠팡 ^^ㅣ발거 2
일 이렇게 시키고 최저가 말이 되니? 밥값은 벌었다만 자고 인났는데도 뭔가...짜증나네
-
심심해 6
심심띠
-
쿵짝짝쿵짝짝 1
따라리라라리 어 사쿠라네?
-
첨삭 받으러 가면 한 반정도 날아갈거같긴한데
레벨무엇ㄷㄷ
글 재미있네요 ㅋㅋ

감사합니당덕코인 떡상 가능??
ㄴㄴ 불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