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장용) 슈퍼문 선지풀어보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0645295


본인이 풀면서 적은것들을 오르비에 쓰면서 보충된 풀이들
25번
1. 맨밑에 원일점원지점 뭐 이런 위치가 다른 천체 인력에 의해 바뀔수 있다 했으니까 달의 이심률도 변할 수 있으니까 적절함
2. 현재 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은 0.055인데 현재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은 0.017이니까 이심률이 달이 더 큼-> 달이 더 타원모양임-> 부적절
3. 각지름은 지구에서 보는 천체의 지름인데
금환 일식 일어날때는 태양을 달이 다 못 가리니까 태양 각지름이 달 각지름보다 큼-> 적절
4. 보름달의 크기는 각지름으로 판단할수 있는데 근지점일때가 원지점일때보다 가까움-> 가까우면 각지름 더 큼-> 원지점일때 각지름이 더 작으니까 적절함
5. 근일점=태양이랑 가까움=각지름 더 큼
원일점=태양이랑 멈=각지름 작음 =>적절함
26번
지문: 지구-태양 간 거리,지구-달 거리가 가까우면 조차가 커짐
1월에 조차 제일 크고 7월에 조차 제일 작음
그러니까 1월에 지구-태양 거리 가장 가까움(근일점)
1. 슈퍼문은 보름달이 지구랑 근지점일때 관측
이심률 변화가 없고 지구-달 위치는 근지점으로 일정하니까 1월일때 지구가 태양이랑 가깝고 7월일때 머니까 조차는 1월>7월(부적절)
2. 이심률에 변화 없으면 근지점보다 원지점일때 지구-달 거리 머니까->조차 작아짐(부적절)
3. 이심률에 변화 없고 7월으로 일정하면 슈퍼문(근지점) 일때 조차가 원지점일때 조차보다 큼 (부적절)
4. 달이 근지점일때로 일정한데
지구공전궤도의 이심률이 커지면 근지점은 더 가까워지고 원지점은 더 멀어짐 -> 근지점일때니까 지구-태양 간 거리는 더 가까워짐 -> 변화 이전보다 조차가 더 커짐(적절)
5. 4에서 보았듯이 원지점이면 태양-지구 거리 더 멀어지니까 조차 작아짐-> 변화 이전의 조차가 더 큼(부적절)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진심 이 문제 시험장에선 어떻게 풀었는지 아직도 가물하네요ㅋㅋㅋ
저거 기출문제 풀때 배경지식으로 쉽게 풀었던 기억이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