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in [321479] · MS 2009 · 쪽지

2011-11-09 13:14:56
조회수 573

지구과학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012619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 맨끝페이지에

혼동개념:프롤레마이오스의 천동설에서 별들이 매일 동에서 떠서 서로 지는 일주 운동은 천구의 회전으로 설명하지만 태양과 행성들의 일주 운동은 공전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지 않은가?
클리닉:프롤레마이오스의 천동설에서 중심에 위치한 지구는 자전도 하지 않는다. 지구 둘레를 별들이 고정되어 있는 항성구뿐만 아니라 달과 태양 및 행성들도 모두 지구 둘레를 하루에 한 바퀴씩 시계 방향(동에서 서)으로 회전한다. 또한 달과 태양 및 행성들은 천구에 대해 시계 반대 방향(서에서 동)으로 공전한다. 즉, 달과 태양 및 행성들은 지구 둘레를 하루에 한바퀴에 약간 미치지 못하게 회전(역행때 제외)하는 셈이다.

라고 되있는데 도대체 뭔말인가요?
항성구는 뭐고 천구에 대해 시계 반대방향으로 공전한다는건 뭐죠?
그리고 천동설은 태양이 지구 둘레를 하루에 한바퀴 도는거 아닌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힘들구마요.. · 277721 · 11/11/09 13:17 · MS 2017

    달과 태양 및 행성들은 지구 둘레를 하루에 한바퀴에 약간 미치지 못하게 회전(역행때 제외)하는 셈이다.

    이건 태양이 하루에 359씩 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결국 360도에 1도 모자르게 회전을 하게 되요..그래서 반시계방향으론 1도 회전한 효과가 나는거죠
    그래서 1년동안 하루에 1도씩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해서 360도 회전한 효과가 나요..그걸 말하는것 같아요.
    부족한것이 있으면 다른분이 더 설명해주세요

  • Babyface' · 330530 · 11/11/09 13:21

    이거 맞는말이에요
    보충하자면 하루에 태양은 360도 돌고 천구는 361도 도는걸로 설정해서 지구의 공전을 설명했죠..
    위에거 말한 태양의 359도는 천구를 기준으로 360/361해서 대략적으로 정해진 값입니다

  • 싸구려홍차 · 203635 · 11/11/09 22:11 · MS 2007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