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과 문과 너무 갈등되네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0096255
적성검사 그런거에서는 둘다 해당되고..반대로 말하면 둘 중 하나도 아닌 어정쩡한 사람..쩝 통합 통합 하지만 통합이 되지도 않을거같고...수학과학보다는 국어영어 좋아하는데 취업 생각하면 또 그렇고..참 고민되네요 으 잠 안와서 넋두리 한번 해봣슴다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0096255
적성검사 그런거에서는 둘다 해당되고..반대로 말하면 둘 중 하나도 아닌 어정쩡한 사람..쩝 통합 통합 하지만 통합이 되지도 않을거같고...수학과학보다는 국어영어 좋아하는데 취업 생각하면 또 그렇고..참 고민되네요 으 잠 안와서 넋두리 한번 해봣슴다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이과에서 문과가기는 쉽지만
문과에서 이과가기는 어렵습니다
흠....맞는말이네요
특별한 꿈같은거 없으면 이과가세요
좋아하는거 해요
사회는 적성 맞든 안 맞든 하면 성적 나오는 과목인데
수학 과학은 재능도 좀 필요하다고 봄
수학을 잘하면 선택권이 있지만 그렇지 않는다면 당신은 문과라는게 학계의 정설
저 복합성향이고 취업때매 오유에서 절대 이과가랬다가 ㅜㅜ 지금 화공대서 휴학반수해서 경영대갈거에요 ㅋㅋㅋㅋ . 성향검사는 더 객관적이고 보수적(?)으로, 하되 중요한건 "대학교 과 책" 미리 구글검색해 보시는게 엄청 필수 그거 내용목차보면 아 이런거구나 느껴서 성향 선택이 쉬워지는.
문과오면 자기전공 살리기 힘들고 대학와서 cpa나 행시 고시 등등 무언가를 추가로 해야됨
적성검사 절대 믿지 마세요. 수능 과목도 보지 마시고, 어느 학과가 끌리는지 생각하세요.
맞음 수능과목도 보지마시고 이거 팩트 학과 도서목차봐야됨
적성검사는 본인이하니 객관성이 결여될 우려가있죠 이분야는 카이스트 와이즈멘토 조진표님이 최고 저도 그거 유튜브서 듣고 경영과로 전과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