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시사 경제 이런거 뉴스보고싶은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9614759
정치는 현대사파트 빠삭하게 공부하고
나름대로의 철학을 공부하면 될거같은데
어느정도로 해야하나요?
물론 한계란 없지만 기본적인 수준 기준 ㅇㅇ
경제도 대충 알아는듣고싶은데 테셋수준으로는 무리겠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9614759
정치는 현대사파트 빠삭하게 공부하고
나름대로의 철학을 공부하면 될거같은데
어느정도로 해야하나요?
물론 한계란 없지만 기본적인 수준 기준 ㅇㅇ
경제도 대충 알아는듣고싶은데 테셋수준으로는 무리겠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정치나 시사는 근현대사 조금만 공부하셔도 될거에요 다양한 언론사의 뉴스를 보는게 포인트져
경제는 잘 모르겠어요ㅜㅜ
경제는 이득 주체와 소비 주체 위주로 생각하고 국어 기출 지문 정도에 상식과 친한 나라 사이 안 좋은 나라 알기
오 ㄳㄳ 경제 지문 좀 다시 읽어봐야 겠네여
원리자체는 굉장히 간단해요 결과물이 사람들이 합리적 행동을 안해서 이상한거지ㅋㅋㅋ
신문 꾸준히 읽고 생각을 많이 하세요 제는 저걸 하서 뭘 얻을까를
근데 기본 정치적(철학적) 베이스가 근현대사에 바탕을 두고있어서..
아예 깊게 아는 걸 원하시면 계보를 공부하시는게 최우선적으로 도움이 될겁니다. 객관적으로 보기도 좋고
음..그냥
원론적인 질문을 드릴게요
정말 정치인들처럼 직접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정도의 경제,역사 지식은 어느정도?
직접은 "불가능"하지만 알아는 먹을수 있는 정도는 어느정도?
정도라 함은 학부 몇학년 수준 따위의 것을 지칭하는 겁니당,,
그거는 사실 본인이 얼마나 스스로 계산적으로 살아 봤냐랑도 문제가 있는거 같네요. 저는 돈 관계에서 1번을 제외하고는 절대 손해를 안 볼 정도로 이해 타산에 있어서는 이기적임. 우선 이기적으로 생각하세요. 우리가 보기에 헛소리를 왜 할까?를 찾아보면 그 사람이 표를 얻는 방법인걸 알겁니다. 정치는 귀납보다는 연역에 영역 같네요
경제 역사 보다는 확고한 결단과 지금에 배경이 중요하고 모든 기초는 돈과 표라는 것 몽심
감사합니다
유시민 ‘나의 한국현대사’ 책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