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 영역, 과거는 반복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9536076
미래를 내다보고자 하는 자는 과거를 돌이킬지어다.
인간사는 선대의 그것을 닮게 되나니.
이는 그 사건들이 그때 살던 사람이든 지금 사는 사람이든
동일한 심정을 지닌 사람들에 의해 창조되고 생명을 얻었기 때문이며,
그로써 그것들은 같은 결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 마키아벨리 -
역사는 반복됩니다.
물론, 현재의 그 형태는 과거의 사건과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과거와 동일하지 않다는 뜻이 유사하지 않다는 것과 동치는 아닙니다.
다시 말해서, 오늘의 사건은 과거와 유사성을 보이며, 그 유사성을 깨달은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만이 있습니다.
우리는 수능 공부를 할 때, 과거 평가원 기출을 마르고 닳도록 풉니다.
기출을 푸는 이유는 과거 기출 문제가 올해 동일하게 나올 것이란 기대에 있지 않습니다.
단지, 그 기출을 관통하는 핵심 "아이디어"와 "개념"을 터득하기 위해서입니다.
즉, 기출을 반복 학습하는 과정에 자연스럽게 "새로운 문제 상황을 대처"할 수 있습니다.
과거는 반복됩니다.
물론, 과거의 모습이 오늘에 똑같이 일어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그럼에도, 우리가 과거를 공부하는 이유는 반성을 통해 오늘을 바라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과거"는 통계에 중요한 근거가 됩니다.
왜냐하면, 과거 자료가 오늘의 사건을 예측에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하나의 "표본"으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500원 동전 던지기를 생각해봅시다. 앞면과 뒷면이 완전히 동일하게 만들어 진 경우, 앞면이 나올 확률과 뒷면이 나올 확률은 각각 0.5로 동일합니다.
하지만, 잘 아시다시피, 500원 동전은 앞면과 뒷면이 동일하게 생기지 않았습니다. 앞면을 500이란 숫자면으로 정의할 때, 뒷면은 학이 있습니다. 이러한 동전을 던지면, 공기 저항이 앞면과 뒷면에 다르게 작용합니다.
결과적으로, 뒷면이 나올 확률은 70%로 앞면이 나올 확률인 30%보다 유의미하게 높습니다.
물론, 과학과 수학의 힘을 빌려, 뒷면이 나올 확률이 약 70% 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사례에선 이론적 확률이 아니라, 경험적으로 약 70%인 사실을 알았다고 가정합시다.
다시 말해서, 수 만번 내기를 해보니, 뒷면이 약 70% 비율로 나왔다고 가정합시다.
만약, 이런 동전 내기를 연세대학교 운동장에서 했다고 합시다.
이때도, 경험이 맞다는 전제하에 뒷면이 나올 확률은 70%로 뒷면에 내기를 거는 것이 유리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연세대학교 운동장이 아니라 고려대학교 운동장에서 내기를 하는 경우는 어떨까요?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는 동일한 장소가 아닙니다.
또한, 공기 흐름도 두 장소는 다를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는 뒷면에 내기를 거는 것이 유리합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지형의 차이가 확률에 유의미한 변화를 주리라 기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서, 연세대학교나 고려대학교나 결국 동일한 장소로 간주해도 된다는 겁니다.
그렇다면, 공기 저항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지역이라면 어떨까요?
에베레스트 정상이나 혹은 그와 유사한 공기 상황이 연세대학교 운동장과 다른 경우를 가정해 봅시다.
이 또한, 뒷면이 나올 확률이 더 높겠지만, 운동장 만큼 높다고 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이때는 지형의 차이를 완전히 무시하기 어렵습니다.
이 이야기에 들어있는 핵심은 한 가지입니다.
확률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존재한다.
우리는 그 변수가 얼마나 확률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지 판단하면 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확률과 변수가 "원서 영역"에 어떻게 작동하는지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봅시다.
지금부터 말씀드릴 이야기는 저의 2017학년도(2016년) 원서 상황입니다.
여러분도 한번 사례를 보며, 추론을 해보십시오.
먼저 성적 상황입니다. 누적 백분위 기준은 고속성장기를 채택했으며, 또한 입시 결과 자료 백분위도 고속성장기를 채택했습니다.
서울대 누적 백분위 : 4.02 (투 과목 응시 하였음)
연세대 누적 백분위 : 3.19
고려대 누적 백분위 : 3.19
한양대 누적 백분위 : 2.81
원서가 결정된 상황은 "다"군 중앙대입니다.
이제, "가"군과 "나"군을 결정하면 됩니다.
여기서는 편의를 위해 "나"군 원서 영역만 논의하도록 하겠습니다.
삼수를 한 상황에서 "나"군은 연세대를 반드시 최대한 높은 학과 합격해야 합니다.
여러분은 원서를 어떻게 쓰시겠습니까?
먼저, 5개년 누적 백분위 자료를 공개하겠습니다.
학과에 칠해진 색은 고속성장기가 제시한 2017학년도 합불합 예측입니다.
5개년 동안 3.19의 성적으로 한번이라도 합격할 수 있는 학과만 적었습니다.
또한, 왼쪽의 숫자는 2016년 기준 6개년 동안 변화한 "수시 이월을 포함한 정시 일반 전형 정원"입니다.
한번 이 자료를 보고,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원서를 썼을지 생각해보세요.
저는 모든 학과를 분석하지 않았고, 그 당시 제가 합격할 수 있는 학과를 추려서 그 학과를 심층 분석했었습니다.
여러분도 한번 나름대로 학과에서, 심층 분석을 할 선택지를 골라 보세요.
다음 시간에는, 제가 그 당시 해당 학과를 어떻게 분석했는지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저는 적성도 고려하며 3.19로 합격할 수 있는 가장 높은 학과를 합격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몇 주 전에 환승 당하고 오늘 둘이 꽁냥대는 사진을 봐버려서 뭔가 공부에 대한...
-
아무도없는곳에서혼자펜을잡아도
-
화학할까요 3
생명할까요
-
국어 사설 풀면서 기출도 주기적으로 보시나요?
-
테-멘 0
오늘도 감사합니다
-
쾅
-
이정도였나
-
죽엇음 1
꽥
-
빠른삭제 함 13
2년전이네 ㅅㄱ
-
수행평가 엄두도 안나던걸 ㅈㄴ 완벽하게 만들어줌
-
ㅇㅈ할까 6
술먹어서 기분 좋은데
-
롤할사람 1
ㄱ?
-
과제시작. 0
네시간전에시작할계획이었는데
-
주량 어떻게 되심 22
일단 난 1병이라고 말하고 다님 ㅋㅋ
-
너는 지금 뭐해 5
자니 밖이야
-
전 삼겹살이랑 곱도리탕
-
Chat gpt on
-
밸런스 게임 16
-
국어 영역 중 시간 줄이기 가장 수월한 영역은 어느 부분인가요? 1
문학, 독서, 화작(제가 화작러라) 중... 정답률은 그대로 유지하면거 걸리는...
-
현역.. 1
지금부터라도 열심히하면.. 올해 안에 정시로 끝낼 수 있겠죠.. 오늘 너무 충격적인...
-
최적쌤 윤성훈쌤 고민하다가 최적쌤 사문으로 시작하려고하는데 노베인데 개념은 코어강의...
-
반어와 반어적 표현은 다르다.
-
지역인재 농어촌은 해주면서 왜 밤에 일어나는 사람은 배려 안해줌?
-
2022교육개정 0
이랑 고교학점제 잘 아시는분 쪽지좀 주실 수 있으신가요... 물어볼게 있는데
-
머하지 5
진짜모름
-
심심하다
-
일단 한국문학 극혐하는건 둘째치고 비문학도 내가 이원준급의 배경지식을 얻을 수...
-
수악만 잘하는 사람도 잇나 탐구만 잘하는 사람도 잇나
-
하고싶다
-
현재 수분감 스텝 2만 풀고 있는데 현우진 해설이 가끔가다 별로인 것 같아요.....
-
이제 평생 배고프지 않을거임
-
탕 다음
-
진짜
-
긍정항등식은 어딨음
-
집에 가야겠다 0
왜 독서실에 에어컨을 안틀어놓는거야
-
술이나 먹자 6
안주를 사오자
-
a^n+2^n+1|a^(n+1)+2^(n+1)+1 자연수 a,n
-
자연수...
-
(4x-y)(4y-x)=30^6. x,y자연수(x,y)의 개수는?
-
확통사탐 기준 노베로 어디까지 가능할까
-
풍경이 아름답죠? 가는 길 외롭지 않게 응원해주세요. 하 집까지 겁나 머네 진짜
-
x^4-2y^2=1x,y 정수해 2개
-
아이폰이고 11
매번 나오는 색은 아님
-
무덤 속의 벙어리를 말한 셈이다
-
sqrt(x)+sqrt(y)=sqrt(z)자연수, x,y,z 해 무한개임
-
일단 정년 연장하는데 청년 일자리가 어떻게 늘어나냐 하니까 너무 극단적이라고...
-
보통어느정도 푸시나용
-
[자료] 공통+확/미/기 전범위 수학 실모 하나 뿌림 6
예에엣날에 만든 문제들 짜깊기해서 만든 문제라서 요즘 트랜드에 맞지 않을 가능성이...
재밌네요...ㅎㅎ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마키아밸리 인용 부분에 동일한 심정 아닌가요?
앗! 감사합니다 :)
어 대박,, 그런데 저런 자료는 어디서 구하는거에요??
어떤 부분 말씀이신가요?
그 5개년 누적 백분위 자료요!
코스모스핌님이 올려주신 고속성장기에 있습니다 :)
아! 정말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