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 이해 안되는것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945524

전 3번이라고 썼는데 정답은 1번, 즉 ㄱ 이 틀렸다는 말인데 이게 잘 이해가 안가서요.
1월 9일날 서방최대이각에 있으니 새벽에 동쪽 하늘에 보이고 3시간동안 관측 가능하다고 해설에 나와 있거든요.
이각이 45도 정도 되니 1시간에 15도 자전하니까 3시간 관측도 맞다는것 알겠고요..
근데 ㄱ 이 왜 틀린거죠? 새벽은 해 진후 라기 보다는 해 뜨기 전이라고 해야해서 틀린건가요?
근데 해 진 후에 라는 말도 틀리지 않잖아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9급공무원+삼반수 10
안녕하세요 저는 이과이고요 2018학년도 수능을 서울대 공대 목표로 재수를...
보통 지1에서 해진후는 해가진직후 초저녁을 이야기하고 해뜨기전은 새벽녘을 얘기하는걸로 알고있어요~
근데 ㄱ 이 해가 진 "직"후 가 아니고 그냥 해가 진 후 잖아요. 그럼 ㄱ도 맞는거 아닌가요??
해진후 약 3시간동안이면 해가진다음에 약 3시간이라 초저녁을 말하는게 아닐까요..
윗분말이 맞는듯요
지학에서는 해진후라고 하면 동방에서 관측되는것을 의미하고
해뜨기전이라고 하면 서방에서 관측되는것을 의미합니다
해진후 3시간 관측 가능 => 해 지자마자 바로 카운트 시작 후 3시간 관측 가능
아 제가 이상하게 생각한것 같네요. 근데 또 어떻게 생각하면 좀 이상한데
아 뭐지 ㅜㅜ
요즘 트렌드가 말장난이긴한데 저정도까지는 장난 안쳐요 ㅎㅎ 해진후 X시간이면 그냥 해진 직후 이고, 해뜨기전 X시간이면 해뜨기 직전이예요~ ㅎ
제가 이상하게 생각했나봐요... 아 전 이런게 짜증나네요 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