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동에 경제 괴수 분 있으신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939591
마리아는 소득이 얼마가 되든 소득의 3분의 1을 의상 구입에 지출하기로 결정했다.
1) 의상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얼마인가?
2) 의상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얼마인가?
- 저는 이렇게 풀었는데요... 우선 1번이고 2번이고간에 제시문의 조건을 '합당'하고 '수식적으로 한치의 오류도 없게' 수식화 하는것
그리고 왜 그런 수식을 만들고, 그 수식의 목적이 무엇인지 '아주 명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경제인강 해설을 보면
어영부영 뭐
" 소득의 3분의 1이 옷값이니까 옷값을 PQ라고 하면 소득이 3PQ일것이다. 고로 PQ/3PQ=1/3 이라는 식이 나오는데 여기서 3PQ(소득)이 변함에 따른 수요의 변화를 봐야겠지?
그럼 3PQ(소득)이 1.1배 증가했다고 치고 분모에 1.1을 곱해봐... 그럼 분자에도 똑같이 1.1을 곱해야하겠지? 그럼 소득의 변화율과 수요의 변화율이 같으니까 의상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1 즉 단위탄력적이야"
여기까지는 뭐 1번까지 푸는데는 이상 없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이런식의 어영부영한 붕 뜬느낌의 풀이를 2번에도 적용하면..
" 아까 처럼 PQ/3PQ=1/3이라는 거를 만들어봐 소득 3PQ는 그대로고 PQ에서 P가 증가한다고 치면.. 1/3이라는 값이 변화가 없으려면 PQ에서의 Q도 '똑같은' 비율로 감소해야겠지?"
쉽게말해서 가격 3%증가했으면 그만큼 수요량(의상구입량)이 3%감소해야하겠지? 그런데 다른 탄력성은 몰라도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를 붙여주기로 약속했으니까 -3/3 (수요량변화율/가격변화율)에 - 붙이면 1, 즉 단위탄력이지?"
이런식으로 된다는 겁니다.. 이러한 풀이는 대충 직관으로 어느정도 경제개념이 있으면 '받아들이고' 넘어갈 수는 있는데요.. 제 생각은 좀 다릅니다
1번은 물론 제 방식대로 풀어도 답이 일치해서 상관없는데, 2번문제가 답이 다르게 나와서요. 다른 핫바리 경제선생(강찬경 제외)도 아니고 학부 출신의 이창훈 선생님이 해설하셨기에, 제가 반드시 틀렸을 것이기에
제 오류를 찾아주십사하고 질문드려요.
----------
<제 풀이>
마리아는 소득이 얼마가 되든 소득의 3분의 1을 의상 구입에서 지출하기로 결정했다.
1)의상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얼마인가?
2) 의상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얼마인가?
-1) 제시문의 조건을 수식화하면,
지출금액/소득=1/3 이라는 공식이 나온다.(단, 여기서 지출금액=P*Q)
여기서 의상 수요의 소득탄력성을 물었으므로, 별다른 언급이 없기에 의상의 가격은 불변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분모인 소득이 3배 늘었다면, 분자인 지출금액에도 3을 곱해주어야 한다. 그런데 지출금액=P*Q이므로
Q가 3배 증가, 즉 수요량이 3배 증가한다. 따라서 의상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200%/200%=1 or 3/3=1이므로 단위탄력적이다.
이렇게 1번은 답이 같습니다 풀이도 좀 비슷하구요
2) 제시문의 조건을 수식화하면
지출금액/소득=1/3이다(단, 지출금액=P*Q)
여기서 의상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물었으므로, 별다른 언급이 없기 때문에 소득은 불변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분모인 소득은 놔두고, 분자만 따져보면 된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따져보기 위해, 분자인 지출금액=PQ에서, 가격이 3%증가했다고 해보자.
그렇다면 P*103/100*Q이므로 좌변과 우변(3분의1)을 같게하려면 분자에 다시 100/103을 곱해주어야 한다.
만약 100/103이 아니고, '가격이 3%증가했으니까 그만큼 수요량이 3%감소할 것이다'라고 생각한다면
97/100을 곱해주어야 하는데, 그렇게되면 좌변의 값이 1/3이 되지 않는다. 탄력성은 알 수 없다.
( 또다른 예로, 가격이 3배로 증가했을때, 지출금액=PQ가 P*3*Q이 되므로 좌변값을 1/3으로 만들기 위해선 Q에 1/3을 곱해주어야 한다.
그렇다면 가격은 200% 증가하였고, 수요량은 66.666..%감소 하였는데 그렇다면 탄력성은 66.66/200이 되므로 비탄력적이다)
이거 할 시간에 ebs하는게 낫겠지만, 궁금해서 참을 수가 없네요. 제 딴에는 논리적으로 헛점이 없다고 생각하는데.. 이창훈 선생님이 틀릴 리가 없기에
질문 드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잘자요
-
공부 안될때 1
수리논술 풀면서 놀았는데 논술이 점점 역사속으로 사라져간다 흑흑
-
이번주에 강기분 독서랑 문학 1주차씩 했거든요. 근데 현강처럼 몰아서 듣는 거...
-
그나마 건전한 걸로 가져옴..
-
옯스타 아는사람 2
통통튀는 확통이 개찐따 키모 이 사람 옯스타 아는 사람 있음?? 세명 다 동일인임
-
하루만 니가 돈벌고 공부해봐
-
수특 한문 0
성어랑 단문만 끝내도 3-4 등급 받을 수 있나요??
-
왜ㅜ
-
다시 한번더 얇고 긴 옯생 모드로 가야지
-
어른되면 고향 돌아가서 밥벌이는 하면서 틀어박혀살고 싶은데
-
색수
-
닥치고 고양이 아닌가 락돌, 노웨이숲, 러시안블루 << 존나 개귀여움
-
Ebs 연계 0
김젬마쌤 듄강의 좋나요? 지금 김승리쌤 커리타다가 실력부족이슈로 젬마쌤으로...
-
술 먹고 나니까 옛날 생각이 나서 오르비에 와봤습니다. 이 정도 아이민이면 아주...
-
팔로워분들께 쓰는 글입니다. (파란 글씨는 링크입니다. 클릭 시 이동합니다.)...
-
심심해라 5
커뮤에서마저도 내사람들이랑만노는구나 도파민도없고
-
나도 공익마렵다 0
-
이렇게 건전하구나 몰랐네
-
제 실력은 2등급 중간이에요 글구 작년 실모 남은 거 하프모의고사처럼 풀려는데 공통...
-
복무할땐 ㅈ같지만 지나고나니 선택의 폭이 넓어요
-
예쁜 여자 좋아
-
암기를 존나못하네
-
성적 오르겠죠..? 올라야하는데.. 2월부터 지금까지 일요일 제외하고 하루...
-
지문의 결, 흐름대로 문제를 내는구나.. 이 결을 잘 이해했냐고 묻는구나..
-
다음에 알려줌
-
ㅇㅇ
-
고대 높공은 2
92 98 2 99 100 정도로 갈 수 있을ㄴ가요..
-
동거 4
나도 제로콜라 빈캔들이랑 동거중인데 ㅁㅌㅊ? 무려 5캔이나됨
-
정병애니 입갤 ㅋㅋㅋ 쓰르라미울적에는 그래도 처음부터 쉽지 않았는데 이번에는 훅 들어오네
-
1~4 듣고잇는데 그냥 사칙연산 가르치는데..
-
수학으로 죽여줄게? 이런 짤 있지않나 있는분
-
국어는 일단 tim 듣고있고 tim안하는 날에는 매월승리,간쓸개,본바탕,이매진...
-
하나 써뒀는데 언제 올리지
-
남녀 동거 9
친구링연락하다가 충격받아서 글올려여 제가 재수 중이라 몰랐는데 지금 대학생 남녀가...
-
어떤 n제랑 비슷한 수준인가요?
-
태어나서 기출은 두문제 틀림 17수능 현장응시 전주 역사마을? 그거랑 2409...
-
누구 탈릅함? 4
ㅈㄱㄴㅈㄱㄴ
-
오르비 잘자요~
-
근데 군대 생활관에서 ㄹㅇ 다들 여군 성희롱하고 그럼? 2
여군 꿀빤다고 욕하는 건 봤는데
-
수학7시간 ㄹㅇ 극혐
-
힝 ㅠㅠ 8
엄마가 나보고 술냄새난다고 방에서 나가래 ㅠㅠ
-
친구가 성인임 8
밥 사준대
-
분명 해설풀이보다 내가 하려는 풀이가 훨씬 간결하고 항상 추구하던 풀이인데 마무리를...
-
시즌 7 when?
-
물2 1
25수능 물1 만점베이스로 지금부터 시작하면 만점 가능한가
우선 제가 수리 가형 수험생이라 이창훈이라는분이 어떤분인지 모르겠으나
두번째 문항의 답은 1번으로 그 강사님의 답이 맞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고 내용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지출금액/소득=1/3 즉 이를 편하게 p*q=k 이라 정의 (단 p는 상품의 가격, q는 수요량, k는 소득의 삼분의일) 이 방정식은 맞습니다.
2.이 다음이 문제인데요 글쓰신분은 단순하게 가격이 몇퍼센트 올랐다고 해서 p에 어떤 숫자를 곱하고 지출 총량 k가 일정하므로
그 어떤숫자의 역수를 q에 곱하는 식으로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구하셨는데 이는 결론적으로 틀린 풀이입니다.
그 이유를 설명드리면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어떤 점에서 순간 변화율을 측정하는 도구이지
어떤 구간에서의 평균 변화율을 측정하는 도구가 아닙니다.
즉 p가 얼마큼 변했으니까 q가 얼만큼 변할꺼야
따라서 p,q에서 3p,1/3q 로 변할때나
p,q에서 2p,1/2q 로 변할때는 모두 글쓴분이 하신방식대로 탄력성을 구하면 각각 다르게 나오게 됨니다
문과 미적분에 포함되있는지는 모르겠으나 순간 변화율과 평균변화률의 차이라고 할까요.
즉 탄력성이라는것은 특정 점에서의 변화율로 구해지는것이기 때문에 글쓰신분처럼 구간으로 넒게보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정의와도 어긋나게 됨니다.
아마 고등학교 경제 범위에서는 구체적인 함수를 다루지않고 탄력성 개념도 직관적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제 설명이 조금 어려우실수도 있을겁니다, 대학교에서 구체적인 함수를 다뤄보지않는다면 약간 붕뜬 느낌을 받으실수도 있구요
대학가서 더 공부해보시길 권해드리는 바 입니다 ^^;;;
오... 감사합니다 바바예투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