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별 행정고시 2차 합격자 + 대학별 로스쿨합격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911316
http://news.lec.co.kr/gisaView/detailView.html?gisaCode=L001002006540030&tblName=tblNews&menuName=&pressNum=654&photoYN=Y


서울대 84
고려대 58
연세대 40
성균관대 18
한양대 15
이화여대 7
서강대 6
중앙대 6
부산대 5
건국대 4
경북대 3
동국대 3
전남대 2
충남대 2
원광대 1
동아대 1
KAIST 1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잇올 중간에 나오면 이감 시즌 6은 수령을 못 하나요? 이미 결제 다 했는데...
카이스트..으악 사촌형 생각나네ㅜㅜ
근데 이거 전수조사 아니에요
2차합격생 중 90%정도만 조사한겁니다
서강대..
1. 쪽수가 많이 부족하다
2. 빡센 학점관리땜에 고시와 병행하기 힘들다
3. 비교적 취업이 잘 되므로 고시쪽에 눈을 잘 안돌린다.
4. 학풍상 고시와는 좀 거리가 있으며, 학교 측의 고시지원이 별로다.
학교마다 고시반은 따로 있지 않나요?
학점관리도 요즘은 어느학교나 다 상대평가로 바뀌었는데... 무슨말이신지
비교적 취업이 잘되는거랑 고시랑은 다른 얘기 같은데..그럼 고대 연대 성대 한대는 취업이 안되서 상위권?
서강대..
1. 쪽수가 부족하지만 전교생이 대부분 경영 부전공을 하려고 한다..그래서 경영 원전공생들 불만이 높다..이럴거면 왜 경영학과를?
2. 빡쎈 학점관리를 한다....만 그건 다른 학교도 마찬가지다..ㅋㅋ
3. 대기업이나 금융권에 취직이 좋지 판검사나 회계사, 고급공무원이 뭐가 좋냐라고 말하는 사람 한명도 없다..ㅋㅋ
여하튼 핑계다..실상은 고시 합격자가 별로 없어서 사회에서 힘이 없고 결집력도 없다..졸업생들은 서로 소 닭보듯 닭 소보듯..
(서연고성한은 취직이 안되서 고시만 본다???????????????)
4. 학풍상 고시와는 거리가 있다..가 아니라 고시공부하는 사람 따로 있고 학점관리해서 취직이나 하자는 사람 따로 있는 건 다른 학교도
마찬가지다..서강대나 건국대나 학교 분위기는 마찬가지다..
솔직히
쪽수부족해서 절대수 딸리는건 맞는말인데
학점관리 빡세서? 취업이 잘되서? 학교측의 고시지원? 다 개소리에요
서강대에서 반수해서 갈아탄놈도 서강대 별로 다를빠 없다고하더이다 어디서나 요즘엔 학점관리 빡신건 마찬가지
아무리 서강대가 학사관리를 철저하게 한다고해도 서울대에서 A받기가 쉬울까 서강대에서 A받기가 쉬울까요?
비교적 취업이 잘된다고요? 그럼 서연고는 취업이 안되서 고시에 목숨을거나??
학교지원도 개소리죠... 스카이대학도 고시반 들어가봐야 공부할자리 마련해주는거랑 고시반끼리 모의고사보는거? 그정도밖에 없습니다. 그정도는 서강대도 해줘요
학풍이란거는 어느정도 영향력이있을수있습니다.
또 인원수적은대학이라 절대수로 평가할경우 불리함이 분명히 있습니다 이건 맞아요
이런 서강대측에서 불합리함을 없앨려면 '합격률'로 평가를하면 되겠죠
사실 말그대로 '대학에 재학하는 학생들의 역량'만을 평가하려면 응시자수 대비 합격률로만 평가하는게 맞죠
찾아본 자료에 의하면 행시합격률이 서연고다음 시립대 서강대순이네요(시립대도 ㅎㄷㄷ하네요 시립대가 서강대보다 아마 더 인원수작은걸로아는데 그거때문에 그런듯?)
그러나 어차피 사회에서는 무조건 쪽수입니다.
쪽수가 부족하다는거자체가 이미 대학선택에있어서 디스어드벤티지의 요소가 충분하죠
머리수 부족한거 말고는 다 핑계인듯.
전기 후기 때 모학교가 정원 대비 사시 합격률은 쩔었는데 숫자 적어서 인정 못받았었죠 ㅋㅋ 무조건 쪽수라는 말이 맞는 것 같아요
서강대에서 반수했는데 이게 맞는듯요
요새는 어떤 곳이든 학점관리하기가 힘들어요. 서강대나 스카이나 솔직히 학점관리하기 어려운것 다 비슷함
서강대생인데요, 이딴 댓글 써서 어그로좀 끌지 마세요
괜히 욕처먹는거 보면 기분 개더러운데
저중에 한명은 대단하신 국회의원 빽이 있겠구만.. ㅋㅋ
행시의 굴욕..ㄷㄷ
노숙ㅋㅋㅋ중의적이닼ㅋㅋ
서강대까는사람들중 서강경갈수잇는사람 없을듯
글쎄요. 그건 아닌것같네요.
다른 아웃풋들도 저런 비율을 유지할까요? 예를 들면, 외국계 기업 입사자 서울대:연대=84:40.. 대략적으로?
고대문과 확실히 강하네요. 동아대 법대 알아줬는데...
서강대 전교생이 성대나 한양대의 몇분의 일인데 저러는 건가요?
문과는 서>성한 이라고 들었는데..
절반정도 될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