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테크닉 [353839] · MS 2010 · 쪽지

2011-10-22 00:21:59
조회수 253

생1 간단한 질문 한개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908993

적아세포증이요. 꼭 어머니까 Rh- 이어야먄 일어나냐요?

예를들어, 어머니가 Rh+,
              첫째가 Rh-
              둘째가 Rh+ 면요.

첫째 출산시에 어머니의 Rh+가 첫째한테 항원으로 인식되서 항체가 생성되고, 그게 어머니한테 옮겨가서 있다가

둘때 생기면 어머니 몸안에 있던 항체가 둘쨰한테 가서 항원-항체 결합 반응 하지 않나요? (즉, 적아세포증)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ratiotest · 278954 · 11/10/22 00:24 · MS 2009

    첫째 출산시 태아의 항체가 모체로 이동해서 둘째 출산시에 영향을 줄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첫아이를 출산한 뒤 둘째 아이를 임신할때까지 시간이 어느정도 걸릴텐데...
    그 사이에 항체가 수명을 다하게 되죠~

  • prinkipia. · 255081 · 11/10/22 00:25 · MS 2008

    그게 옮겨가서 어떻게있어요 이미 엄마 적혈구에서 다없애버릴텐데요

  • 긱계여 · 374038 · 11/10/22 00:27 · MS 2011

    전혀.. Rh- 여야만되요

  • 극겸 · 263575 · 11/10/22 00:28 · MS 2008

    한 마디로 쉽습니다. 한 사람에게 rh 응집원 D 와 rh 응집소 d 가 동시 다량 존재하면 죽게 됩니다.

    어머니는 rh+니까 응집원 D 가 있고 응집소 d가 없는 상태인데요,. d 가 보이는 즉시 D와 응집해서 없어져 버리지

    남아 있을 수가 없습니다. 얘를 들어 님이 A 형인데 B 형한테 수혈을 극소량 받았다면 B 형의 피는 모두 응집되어 파괴되는

    원리랑 같죠.

  • 알파테크닉 · 353839 · 11/10/22 00:32 · MS 2010

    오... 전부 답변 감사합니다!!!

  • 한심한 · 380964 · 11/10/22 02:13 · MS 2011

    꼭 Rh-여야만합니다.

    죄송하지만 예시에 조금 오류가 있는거 같은데요..
    태아의 Rh 항원이 존재한다면 출산시에 출혈로 인해 태아에서 모체로만 항원이 이동해요.
    그리고 태아혈관과 모체혈관은 반투막이어서 출혈로 인한 이동 아니면
    평상시에는 항원이 붙어 있는 적혈구가 이동을 할수가 없어요. 항체만 이동 가능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