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니부어와 칸트 관련해서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9066239
공책에만 적어두고 출처를 안 표기해 놨어서 이게 0인지 x인지 헷갈리네요ㅠㅠㅜㅜ
니부어는 칸트와 달리 사회구조가 개인행위의 도덕성을
좌우할수 있다고 본다
저는 칸트가 아예 저런말을 언급한적이 없으니까(개인윤리학자) 저 선지도 맞을꺼라 생각했는데 맞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금이 원시시대냐? 무당이 나라를 좌지우지하는 꼴이라니ㅋㅋㅋㅋ 으휴...기가차서...
-
지금까지 정책들이 시장에 유동성 공급하려고 부채를 서민에게 전이하는 방식으로...
-
이번 두산 구조조정 기업매각은 한국이 망한다는 신호탄같은 역사적 순간임누군가는...
ㅇㅇ 맞음
이거 18대수능 13번 3번선지에요 ~~ 맞습니다
근데 저렇겐안나오고 칸트와 니부어 위치를 바꿔서 틀린선지로나왔어요
ㅇㅇ 칸트는 구냥 개인 윤리만 잘 되면 사회 윤리도 잘 된다고 함 ㅋㅋ
그럼 저 선지는 ‘달리’가 들어가니까 틀린거 아닌가요 ?ㅜㅜ
니부어는 칸트와 달리 사회구조가 개인행위의 도덕성을 좌우할수 있다고 본다.
칸트와 달리 = 칸트는 개인 윤리 잘 되면 사회 윤리 잘 됨 근데 니부어는 칸트와는 다르게! 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는 거 아닌가요? 이건 국어라서 어떻게 설명 드려야 할지 모르겠는데ㅠㅠ 달리라서 틀렸다고 생각하시는 부분이 어떤 거예요?
만약에 선지가 마찬가지로였다면 틀렸겠죠..
1. 칸트와 마찬가지로 사회구조가 개인행위의 도덕성을 좌우: 칸트 논리가 아니라서 틀림
2. 칸트와 마찬가지로 개인 도덕성이 향상되면 사회 도덕성도 향상: 니부어 논리가 아니라서 틀림
감사합니다 순간 헷갈렸어요ㅠㅠㅠㅠㅠㅠ짱짱
cf. 칸트는 평화를 실현하기 위해 사회 제도의 개혁과 같은 사회 윤리적 해법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럼 저 선지는 ‘달리’가 들어가니까 틀린거 아닌가요 ?ㅜㅜ
감사드립니다 !!
칸트는 개인윤리니 사회적인 측면을 언급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