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aaan [295711] · 쪽지

2011-10-19 09:00:50
조회수 1,917

지구과학 몇가지 질문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95644




1.진앙에서 더 멀리떨어진 지점 B가 있다고 칩시다.
 
그런데 진앙 바로 옆에 있는 A 보다 진도가 더 크게 일어났어요.(같은 지진)

그렇다면 B의 암반이 A의 암반보다 더 더 약하다고 말하려면 반드시 지반위의 상황이 같다는게 전제되에 되죠?

저 수능완성 문제 땜에 질문

2.저기 첨부한 8번문제요. 왜 A지점이 C지점보다 해수면의 높이가 높죠?

A가 태풍의 눈 지점이니 해수면이 더 낮아야 되는거 아닌가요?

3.기압골,이동성고기압,망원경 조립순서,이거 시험에 나오나요?

수능완성에 떡하니 나와있길래.. 기압골은 자이스토리 풀때 교육청에도 안나온거같고 기상캐스터가 말한것만 기억나는데

이동성 고기압은 뭔지 모르겠고

조립순서는 파인더 정렬-극축정렬-관찰 이정도만 알고있으면 되지 않나요?

파인더 정렬 순서하고 그런거만 알면 될거 같은데










EBS 과탐 풀지 맙시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화이트블루 · 334537 · 11/10/19 09:26 · MS 2010

    4번, 3번, 2번인가요?

  • 궁듸팡팡 · 327209 · 11/10/19 09:36 · MS 2018

    지금 질문하신분께서 태풍의눈은 하강기류니까 해수면이 더 낮아야된다..라고 생각하시는걸로 보이는데요(제생각엔)
    그런데 저는 하강기류는 분명이있지만 하강기류가 내려오는과정에서 옆으로 퍼지고 다시 주위 상승기류타고 올라가면서 다시 내려오고..하면서
    구름한점없고..지상에서는 바람도안부는...그런 현상이 나타나는걸로 보여요
    만약 하강기류가 강해서 해수면이 주위보다 낮아지려면 태풍의눈이 고요할수가 없을거같아요

  • 궁듸팡팡 · 327209 · 11/10/19 09:39 · MS 2018

    아 설명이 이상한데... 태풍의 구조 사진보시면.. 중간부분으로 갈수록 상승기류가 강해지는데.

    완전 태풍의 눈 10K~50K 사이에서는 약한 하강기류가 같이 발생해요..그래서 오르락내리락하면서 회오리바람처럼 부는데

    완전히 지상까지 내려오지 못해서 청명한 하늘만보이고 밑에는 바람도 안부는...그런거에요 해수면의 높이는 B>C>A 일거 같아요..

  • 지구과학 · 383980 · 11/10/19 11:25 · MS 2017

    1.뭔소리죠. 지반의 상황이달라서 진도가다르게 나타났는데 지반의상황이같다고 전제되다니요

    2.태풍의 눈은저기압입니다. 저기압이니까 상승기류 따라서 해수면이 상승하죠.화학시간에수은의높이 측정할때 생각해보세요. 대기압이높으면 그만큼 누르는힘이 세져서 수은기둥의 높이가 증가하죠

    3.기압골은 지2내용이시니 넘어가시구요. 이동성고기압은 그냥 고기압이구나하고푸세요.

  • 궁듸팡팡 · 327209 · 11/10/19 11:31 · MS 2018

    제가 잘몰라서 비밀글 이렇게 썼거든요

    태풍의 구조 사진보시면.. 중간부분으로 갈수록 상승기류가 강해지는데.

    완전 태풍의 눈 10K~50K 사이에서는 약한 하강기류가 같이 발생해요..그래서 오르락내리락하면서 회오리바람처럼 부는데

    완전히 지상까지 내려오지 못해서 청명한 하늘만보이고 밑에는 바람도 안부는...그런거에요 해수면의 높이는 B>C>A 일거 같아요..


    이렇게 설명한게 맞나요?ㅎ휴ㅠㅠ

  • 지구과학 · 383980 · 11/10/19 11:39 · MS 2017

    아니요. 해수면의 상승=>저기압입니다. 태풍의눈에 약한하강기류가나타난다해도 상공에 나타날뿐입니다. 그래프를보시면 a지점이 확실히 기압이낮다는걸 알수있습니다.

  • 궁듸팡팡 · 327209 · 11/10/19 11:41 · MS 2018

    답글 자세히 보시면... 하강기류만 일어나는게아니라 제가 하강기류가 "같이" 나타난다고...약해서 지상에 내려오지 못해서 하늘은 맑게 보인다고 썼는데..같은말 아닌가요

    당연히 주된건 저기압이죠 제가 맞게 생각한거 맞죠?>ㅠㅠ

  • 지구과학 · 383980 · 11/10/19 11:45 · MS 2017

    네 맞음

  • qwas123 · 383075 · 11/10/19 12:03 · MS 201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112전화번호 · 377254 · 11/10/19 13:45 · MS 2011

    기압골 2005수능에나왔는데요 먼지는알아야돼요

  • 112전화번호 · 377254 · 11/10/19 13:48 · MS 2011

    지1 자이스토리 H005번에나오네요 기출제대로안푸신거같네요

  • 지구과학 · 383980 · 11/10/19 20:52 · MS 2017

    기압골 뭔지몰라야된다는게아니라 내용을 몰라도된다는겁니다. 편서풍파동모르면 기압골이 왜생기는지 원리조차 설명못하는데 수능문제 그거몰라도 풀수있습니다. 기출님보다 많이분석했구요, 작년6평 18번문항도 엄연히말하면 회합주기 내용이니 지1하는학생이 회합주기도 알아야겠네요? .그리고 님 말조심하세요. 꼭그렇게 마지막에 그딴식으로 첨언해야 직성풀리시는성격인거같은데 듣는사람 기분더럽습니다.

  • 112전화번호 · 377254 · 11/10/19 21:51 · MS 201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112전화번호 · 377254 · 11/10/19 21:51 · MS 201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산화구리 · 372788 · 11/10/19 17:13

    2번은 폭풍해일때문입니다. 태풍의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면서 흘러드는 공기덩어리는 각운동량을 보존하며 중심에 가까울수록 풍속이 커지고, 원심력도 강해져 중심부에 들어갈 수 없어 태풍의 눈이 만들어지고 약한 하강기류가 발달합니다. 따라서 단열압축이 일어나 온도가 증가하고 상대습도가 내려가 구름의 생성이 약하기 때문에 맑습니다. 저기압으로 인해 바닷물이 수렴하여 태풍의 눈이 기압이 가장 낮아 해수면의 높이가 높습니다. 이를 폭풍해일이라고 합니다. 폭풍해일은 지2에 나옵니다.